붙으려면 인문” 전략 확산으로 ‘사탐’ 쏠림 심화
수험생들이 대학 합격 확률 극대화를 최우선으로 택하면서 2026학년도 수시에 '사탐런(사회탐구 선택 쏠림)'이 본격화됐다. 그 여파로 인문계는 지원 열기가 커졌고, 자연계는 지원이 눈에 띄게 위축됐다. 서울대·연세대가 자연계 사탐을 불허하고 고려대는 허용하면서, 인문계 쏠림과 자연계 이탈, 그리고 자연계 내부의 고려대 집중 현상이 더 뚜렷해졌다. 14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진행된 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등 주요 10개 대학 수시 원서접수 결과 지원자 수는 인문계가 전년보다 1만5450명(8.2%) 증가한 반면, 자연계는 6705명(3.2%) 감소했다. 경쟁률 역시 인문계는 20.59대1에서 21.87대1로 상승했으나, 자연계는 25.25대1에서 23.82대1로 떨어졌다. 서연고(서울대·연세대·고려대)에서도 인문계 지원자는 103명 늘어난 반면, 자연계 지원자는 3436명 줄었다. 경쟁률은 인문계가 15.06대1에서 15.05대1로 비슷했지만, 자연계는 16.57대1에서 15.36대1로 하락했다. 대학별로 보면 서울대는 인문계 지원자가 346명 줄었지만, 연세대는 339명, 고려대는 110명이 각각 늘었다. 자연계에서는 서울대가 1455명, 연세대가 2402명 감소했으나 고려대는 421명 증가했다. 이는 고려대가 올해부터 자연계에서도 사탐 응시를 허용한 반면, 서울대·연세대는 불허한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전체 경쟁률은 서울대가 8.12대1(전년 9.07대1), 연세대 15.10대1(16.39대1)로 하락한 반면, 고려대는 20.35대1로 소폭 상승했다. 수학 선택 과목에서도 확률과통계 응시자 비중이 전년 47.3%에서 57.1%로 크게 늘면서 순수 문과생도 증가, 인문계 경쟁 구도가 한층 치열해졌다. 사탐 고득점자가 대거 발생하면서 인문계가 유리하다고만 보기는 어렵다는 분석이다. 반면 자연계는 의대 모집 정원 축소에다 사탐 불허 대학 지원자 감소가 겹치며 입시 환경이 불리해졌다. 특히 수시에서는 수능 최저 충족 여부가 중요한 변별력이 될 전망이다. 내신 불이익도 수능 최저를 충족하면 극복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이사는 "2026학년도 수시에서 사탐런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인문계 지원자는 증가하고 자연계는 감소하는 양상이 뚜렷하다"라며 "2027학년도는 현행 수능체제 마지막 해인 만큼 사탐런이 더 강하게 나타나 입시 지형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