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용사 ETF 중위권 경쟁 가열… 업계 지각변동 이끌까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는 ETF 시장에서 중위권 자산 운용사들의 점유율 경쟁이 한층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차별화된 운용 전략을 내세운 자산운용사들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어 시장 순위에도 변화가 일어날 전망이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종가 기준 ETF 점유율 상위 5개사는 삼성자산운용(38.80%), 미래에셋자산운용 (35.61%), KB자산운용(7.72%), 한국투자신탁운용(7.04%), 신한자산운용(3.01%) 순이다. 이어 키움투자자산운용(2.39%), 한화자산운용(2.30%), NH아문디자산운용(1.23%) 등이 뒤를 이었다.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ETF 시장의 양강 체제가 여전히 견고하지만 이들의 점유율은 지난해 말 대비 각각 1.45%포인트, 1.28%포인트 감소했다. 이와 달리 중위권 운용사인 한국투자신탁운용, 신한자산운용, 키움투자자산운용 등 세 곳은 일제히 점유율을 높였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올해 시장 점유율을 2.16%포인트 끌어올리면서 KB자산운용과 점유율 격차를 1%포인트 이내(0.68%포인트)로 줄였다. 신한자산운용도 지난해 말 대비 0.82%포인트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키움투자자산운용의 경우 지난해 말 점유율 2.23%에서 0.16%포인트 상승한 2.39%를 기록하면서 한화자산운용을 앞서며 6위를 차지했다. 이같은 중위권 자산 운용사들의 성장은 차별화된 운용 전략이 주효한 것으로 평가됐다. 한투운용은 산업 트렌드를 주도하는 빅테크, 반도체 등에 집중한 상품출시에 나서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김승현 한국투자신탁운용 ETF컨설팅담당은 "ACE ETF는 변동성 장세에서도 빅테크,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철저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미래 장기 성장 테마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며 "투자자들에게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장 상황에 맞는 ETF를 퀄리티있는 콘텐츠에 담아 장기 분산 투자를 제안한 점이 주효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CE ETF는 올 상반기 수익률 TOP10 내에 가장 많이 진입한 운용사가 되는 등 수익률 성과를 낸 점도 점유율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신한자산운용도 국내 유일 조선업 집중투자형 ETF인 'SOL 조선TOP3플러스'를 출시한 데 이어 투자자들의 월배당 니즈를 빠르게 파악해 국내 최초로 월배당 ETF를 내놓는 등 차별화된 전략으로 투자자들을 공략했다. 중위권 운용사들은 이색적인 테마의 ETF 등 타사와 차별화할 수 있는 상품을 선보이고 있는 데다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리브랜딩에 나서는 등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위권 운용사들은 앞으로도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자산운용업계 한 관계자는 "중장기 성장 테마를 발굴하고, 최신 산업 트렌드를 반영해 장기적으로 꾸준하고 차별화된 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는 상품을 출시하는 한편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적시에 투자 콘텐츠를 투자자에게 공급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