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프로그램' 실망감 속에도 외국인 '사자'...변동성 확대
최근 한 달간 한국 주식시장의 기대감을 키웠던 '밸류업 프로그램'이 실망스러운 평가를 받으면서 국내 증시가 이틀 연속 약세를 보이고 있다. 저주가순자산비율(PBR)주를 통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유입은 지속되고 있지만 변동성 확대 우려가 커지면서 증시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정부가 시장의 기대치에 못 미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안을 발표하자 국내 증시가 혼조를 보이고 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날 0.77% 하락한 것에 이어 연속으로 0.83% 하락하면서 2625.05에 마감했다. 이달 들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세부안이 발표된 26일까지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증시에서 약 7조3414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동일 기간 기관은 약 744억원, 개인 투자자는 약 6조7310억원씩 순매도했다. 앞서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업 자율에 맡기는 권고 형태로 밸류업 프로그램이 꾸려진다면 차익매물이 나올 공산이 크다"며 "밸류업 프로그램 논의 이후로 한국 증시에 대규모로 들어온 외국인이 다른 행보를 보일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고 당부한 바 있다. 실제로 발표 직후 오전 중에는 외인과 기관의 실망 매물이 쏟아지면서 장중 코스피지수 낙폭이 확대됐다. 하지만 오후 들어서 외국인들의 순매수세가 회복되면서 다시 코스피는 약보합 마감했다. 26일 코스피시장에서 외국인은 1187억원 어치의 주식을 사들였다. 반면, 기관과 개인은 각각 862억원, 477억원을 팔아치웠다. 이날 외국인들이 코스피에서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삼성전자(612억원)로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대표적인 저PBR 종목으로 꼽히는 현대차(299억원)도 2번째로 많이 순매수한 모습을 보였다. 김 연구원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다양한 방안, 특히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배당 확대와 관련해 기업과 투자자에 세제 혜택을 준다면 그때부턴 저평가 기업에 대한 옥석 가리기가 진행될 것"이라며 "지금까진 기대감으로 모든 종목이 올랐지만 향후에는 주주친화정책을 강화할 수 있는 산업과 기업에 관심이 더 집중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날인 27일에도 장중 외국인들은 실망 매물을 출회시키며 순매도로 반전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오후 투심이 회복되면서 순매수세로 마감했다. 더불어 이날 개인도 순매수로 전환되며 국내 증시로 다시 복귀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코스피의 약세는 지속됐다. 외국인은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495억원 어치를 순매수했으며, 개인은 1654억원을 사들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밸류업 프로그램 모멘텀은 어제부터 일단락됐지만, 수급을 보면 여전히 저PBR 종목들에 대해 외국인 자금 유입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며 "오늘 외국인 순매수 상위권에는 대표적으로 우리금융지주, 현대차, 신한지주, 삼성물산, 하나금융지주 등이 위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금융주 등 일부 저PBR 종목들은 '옥석 가리기'가 진행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금까지 정책 기대감 측면에서 접근했다면 이제부터 금융주는 장기 관점에서 옥석 가리기가 나타날 전망"이라며 "주주 환원 여력과 의지가 반영된 중장기 주주 환원정책의 유무와 정책이 시장에서 얼마나 설득력을 갖는지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