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금융 차기 회장 레이스 '3파전'…이달 말 결론
DGB금융그룹을 이끌 차기 회장 후보가 3명으로 좁혀지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력한 사내 후보군인 황병우 대구은행장이 이름을 올린 가운데 2파전 양상이 점쳐지던 이경섭 전 농협은행장이 빠지고 김옥찬 전 KB금융지주 사장과 권광석 전 우리은행장이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업계에선 의외라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DGB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14일 DGB금융 CEO 최종후보군으로 권광석 전 우리은행장, 김옥찬 전 KB금융지주 사장, 황병우 현 대구은행장 등 3명을 선정했다. 앞서 금융권에서는 김태오 현 DGB 회장의 적자로 평가받는 황병우 현 대구은행장과 지난 2018년 김 회장과의 경합에서 최종 경선까지 올랐던 이경섭 전 NH농협은행장 간의 맞대결이 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금융권에서는 현안인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만큼 회추위가 차기 과제에 보다 적합한 후보군을 선정했다고 관측했다. DGB금융의 차기 과제로는 경영효율화, 디지털 전환을 통한 영업 확장, 비은행 부문 수익성 확대 등이 꼽힌다. 지난해 DGB금융의 영업이익경비율(CIR)은 47.6%다. 전년 대비 5.96%포인트(p)에 달하는 하락에도 여전히 은행권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DGB금융이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이후 경쟁해야 하는 4대 금융지주는 40% 수준(우리 43.5%, 신한 41.4%, KB 41%, 하나 38.7%)을 유지하고 있어,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경영효율화가 시급하다. 또한 대구은행과 기존 시중은행 간 자산규모 체급 차이가 커 정면승부가 어렵고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이자 수익성 악화 전망이 나오는 만큼, DGB금융에게는 디지털 전환을 통한 비대면 영업 확장 및 비은행 부문 수익성 강화도 함께 요구된다. 김옥찬 전 KB금융지주 사장은 2016년 1월부터 22개월간 KB금융 사장을 지냈다. 국민은행에서 재무부문 부행장을 지내기도 한 그는 조직 슬림화를 통한 재무 효율성 개선, 은행 부문과 비은행 부문의 연결을 통한 수익성 강화 등의 성과를 남겼다. 권광석 전 우리은행장은 2020년 3월부터 2년간 우리은행을 이끌었다. 권 전 행장은 재임 동안 우리은행의 디지털 전환과 영업 채널 다각화에 주력했고, 지역 내 다수의 영업점이 인적·물적 자원을 공유하는 '밸류그룹 제도'를 도입해 경영효율화도 성사시켰다. 두 명의 외부 후보자가 기존 예측을 뒤집고 최종 후보군에 이름을 올리며 다크호스로 부상했지만, 금융권에서는 아직까지 황병우 행장이 우세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DGB금융이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통해 전국구 금융그룹으로의 전환점에 선 만큼, 임기 동안 큰 실책 없이 대구은행을 이끌었고 DGB금융 내부 사정에도 밝은 황 행장이 가장 안정적으로 DGB금융을 이끌 수 있는 후보자라는 분석이다. 최종 후보자는 2주간의 추가 검증을 거쳐 2월 말께 발표될 예정이다. DGB회추위 관계자는 "남은 경영 승계 절차에서도 회추위의 독립성과 공정성, 객관성을 견지해 최고의 역량과 전문성을 갖춘 최종후보자를 추천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