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외환당국, 외국 금융기관 국내 외환시장 참여…등록절차 개시

정부와 한국은행이 국내 외환시장에 참여할 외국 금융기관의 등록 신청을 받는다. 등록을 완료한 외국 금융기관들은 내년 1월부터 국내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현물환, 외환스왑 및 선물환을 거래할 수 있다. 한국은행은 18일 '외국 금융기관의 외국환 업무에 관한 지침'이 시행됨에 따라 국내 외환시장에 참여할 외국 금융기관 등록절차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등록을 완료한 외국 금융기관들은 내년 1월부터 국내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현물환, 외환스왑 및 선물환을 거래할 수 있다. 앞서 글로벌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사전수요를 조사한 결과 30여개 기관들이 참여의향을 표명했다. 국내외환시장 전반의 인프라 및 외환거래 규제·관행의 개선작업도 추진한다. 선도은행 제도 개편 등 그간 주요 외환시장 참여자 의견 수렴·논의과정에서 발굴된 과제별로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다음달 중 외환건전성 협의회를 통해 확정할 계획이다. 외환당국은 내년 상반기 시범운영기간 외환시장 구조개선 제도들이 안착할 수 있도록 제도이행상호아과 시장영향을 점검한다. 또 내년 7월부터 개장시간이 익일 오전 2시까지 연장되는 데 따라, 구조개선 관련 제도들이 정식 시행될 것에 대비해 모의거래를 실시하는 등 제반 준비를 강화할 계획이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3-10-18 10:59:42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현대엔지니어링, 벤틀리시스템즈 GDAI 구조공학 부문 우승

현대엔지니어링이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벤틀리시스템즈 주관 '2023 고잉디지털 인프라 어워드(GDAI)'의 '구조공학'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고 18일 밝혔다. 벤틀리시스템즈가 주최하는 GDAI는 인프라 디지털 발전을 도모하고자 지난 2004년 첫 시상을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12개 부문 4700개 이상의 프로젝트에 상을 수여했다. 올해 GDAI 역시 전 세계적으로 51개국 235개 단체에서 300여 건의 프로젝트가 출품됐다. 12개의 부문별로 각 3개 회사만이 결선에 진출해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수상식에 초청받았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자체 개발한 '토건 자동화 설계 프로그램'을 이번 GDAI의 구조공학(Structural Engineering) 부문에 출품해 한국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결선에 진출했다. 경쟁사였던 인도의 L&T와 일본의 라이즈 스트럭츄럴 디자인을 제치고 해당 부문에서 우승이라는 쾌거를 이뤘다. 현대엔지니어링은 벤틀리시스템즈에서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해 자동화 설계 프로그램을 자체 개발했다는 점에서 큰 차별성을 인정받았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앞으로도 자체 기술개발은 물론, 산학연 기관과의 업무협약과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더욱 향상된 기술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앞장서겠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10-18 10:27:23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현대건설, 산학 협력체계 구축...유망 스타트업 발굴

현대건설이 건설업 연계 우수 스타트업 발굴과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확장을 위한 산학 협력에 나선다. 현대건설은 지난 16일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교와 스타트업 공동 발굴 및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각각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현대건설과 두 대학은 이번 협약을 통해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협력 ▲유망 창업 기업 공동 발굴 ▲창업 지원을 위한 인적·물적 자원 교류 ▲창업 기업을 위한 산학 연계 특화 프로그램 발굴 및 운영 ▲창업 기업을 위한 자금 조달 및 투자 유치 등에 긴밀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현대건설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산·학계간 활발한 교류를 통해 창업 지원 및 혁신기술 발굴에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성균관대·한양대에 현장 지원을 통한 실증 환경 및 현업 전문가 멘토링, 투자 기회 등을 제공하고 두 대학은 현대건설에 스타트업 관련 정보 공유, 전문 멘토단 및 기술사업화 연계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창업중심대학으로 선정된 성균관대, 한양대의 창업 지원 네트워크를 활용해 유망 스타트업과 혁신기술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협력 기회를 확보할 계획이다"라면서 "대·중소기업간 상생협력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산학 협력으로 오픈이노베이션을 확대해 건설업계 혁신을 견인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10-18 10:20:47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카드News]롯데카드·하나카드·삼성카드

롯데카드가 쇼핑 부문 포인트 적립과 할부 혜택을 강화했다. ◆ 포인트 2배 적립 및 30개월 무이자 할부 제공 롯데카드는 디지로카앱 띵샵에서 '띵 더블데이' 및 '띵 제로데이' 행사를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오는 20일까지 '띵코인'을 2배로 적립한다. 행사 기간 적립 대상 상품을 결제하면 상품가의 최대 10%를 띵코인으로 돌려준다. 추가 적립은 내달 6일까지 제공한다. 오는 29~31일에는 '띵 제로데이' 행사가 열린다. 5만원 이상 결제 시 최대 30개월 무이자 할부를 지원한다. 띵코인 적립 및 할인 쿠폰 이용은 중복 적용도 가능하다. 모바일 교환권 및 국민행복바우처 상품은 제외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디지로카앱 띵샵은 롯데카드 고객에게 다양한 상시 혜택과 특가 혜택을 제공하는 회원 전용 쇼핑몰이다"라며 "최대 36개월 무이자 할부를 제공하는 장기무이자 혜택도 마련했다"고 말했다. 이호성 하나카드 대표이사가 마약근절 캠페인에 참여했다. ◆ 경찰청·마약퇴치운동본부 합동 진행 하나카드는 이호성 대표를 필두로 마약근절을 홍보하기 위한 '노 엑시트(NO EXIT)' 캠페인에 참여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지난 4월부터 경찰청과 마약퇴치운동본부 등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진행하고 있다. 중독 위험성의 경각심을 높이고 관련 범죄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마련했다. 이 대표는 기동호 코리아에셋투자증권 대표의 추천을 받아 이번 캠페인에 참여했다. 다음 참여자로는 윤태훈 고려신용정보 대표이사와 이동하 중외홀딩스 사장을 지목했다. 이 대표는 "이번 캠페인을 통해 모든 시민들이 마약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마약과 마약범죄 없는 깨끗한 사회가 될 수 있도록 하나카드도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삼성카드가 알뜰폰 요금제를 신규 출시했다. ◆ 5G·LTE 요금제 6종 선봬 삼성카드는 미디어로그와 협업을 통해 알뜰폰 요금제인 'S 플러스'를 공개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요금제는 미디어로그가 운영하는, 삼성카드 회원 전용 유심 요금제다. 합리성에 초점을 맞춰 가입 절차 등의 편의성을 높였다는 설명이다. 5G 요금제 2종, LTE 요금제 4종으로 구성했다. 소비자의 통화·문자메시지·데이터 사용량 등에 따라 요금제를 선택할 수 있다. 출시 기념행사도 진행한다. 가입 회원을 대상으로 캐시백을 지급한다. 오는 12월 31일까지, 요금제에 가입하고 삼성 신용카드로 통신 요금을 납부한 회원에게 캐시백을 최대 7만원 지급한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미디어로그와 협업을 통해 고객들이 쉽고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회원전용 알뜰폰 요금제를 출시했다"고 말했다. /김정산기자 kimsan119@metroseoul.co.kr

2023-10-18 10:20:44 김정산 기자
기사사진
투교협, 초·중·고 금융교육 활성화를 위해 학교금융교육 발전협의회 구성

금융투자협회 산하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는 18일 학교 금융교육 활성화를 위해 현직 교사들과의 협의체인 '학교금융교육 발전협의회'를 구성해 금융투자교육원에서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투교협은 청소년들의 금융이해력을 제고하고 교사들의 금융교육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학교 금융교육 현장의 상황과 교사들의 요청 사항을 기반으로 올해 초 서울, 경기, 대구·경북 등 각지에서 초, 중, 고 교사들 대상 방문간담회와 교사대상 특강을 개최해 왔다. 초등학교 금융 수업안 및 고등학교 '금융과 경제생활' 인정교과서 감수, '찾아가는 금융학교', '금융투자체험관 교육' 등의 다양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학교금융교육 발전협의회는 '투교협' 간사인 한재영 금융투자교육원장, 초등학교 교사 3인, 중학교 교사 2인, 고등학교 교사 2인 등 총 8인으로 구성됐으며, 분기별 1회씩 '투교협'의 학교금융교육 지원관련 주요 안건에 대한 협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재영 금융투자교육원장은 "최근 교사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학생들과 교사, 그리고 학부모들 사이에서 투자와 자산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학교 금융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 현직 교사들과의 긴밀한 협의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콘텐츠와 교구재 등을 투교협 차원에서 열심히 지원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3-10-18 10:19:42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미래에셋, 자사주 1000만주 매입…"주주가치 적극 제고"

미래에셋증권은 적극적으로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자사주 매입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이번에 취득 예정주식은 보통주 1000만주로 유통주식 수의 약 2.1%에 해당한다. 미래에셋증권은 내년 1월 18일까지 3개월 이내에 장내 주식시장에서 매수를 완료할 예정이다. 이번 결정은 주주친화정책의 일환이다. 주주들의 기대를 충족하고, 주식가치를 높이는 등 주주가치 제고에 방점을 뒀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해 어려운 시장환경에도 불구하고 2022 회계연도 배당금 1234억원, 자사주 1000만주(약 867억원)를 소각하며 주주환원성향 32.9%를 보인 바 있다. 특히 2021년부터는 글로벌 트렌드에 따라 현금배당 뿐만 아니라 자사주 매입·소각까지 포함한 주주환원율로 주주환원 정책을 관리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최근 3년간 배당 4416억원, 자사주 매입 6639억원(소각 4111억원)을 진행했으며, 2018년 이후로 총 보통주 8850만주 매입(6100만주 소각)한 바 있다. 최대주주인 미래에셋캐피탈은 2018년 이후 보통주 약 5500만주 이상을 매입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이번 자사주 매입은 주가 저평가 상태를 개선하고 주주권익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그룹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며 "미래에셋증권은 2024년부터 3년간 적용될 보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현재 검토 중이며, 앞으로도 주주와 함께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3-10-18 10:16:38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삼양식품, 3분기 호실적 전망…"목표주가 상향" -IBK투자증권

IBK투자증권은 18일 삼양식품에 대해 3분기도 큰 폭의 이익 성장이 가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은 '매수', 목표주가는 기존 17만원에서 24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삼양식품의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2939억원, 32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8.9%, 68.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컨센서스 대비 매출은 상회하고 영업이익은 부합한 수준이다. 김태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9월 불닭볶음면 중국향 수출이 대폭 증가했을 것으로 전망되고, 미국을 비롯해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에서도 양호한 판매실적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며 "국내에서도 불닭볶음면과 삼양라면 중심의 판매 호조세 이어지고 시장점유율도 개선될 전망이다"고 설명했다. IBK투자증권은 삼양식품의 중장기 성장 잠재력이 여전하다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 국내외 불닭볶음면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오는 2025년 5월 완공 예정인 밀양 제2공장 준공 이후 생산 능력이 약 20~25% 증가하는 만큼 수출 성장 잠재력이 유효하다"며 ""수출 제품 평균판매단가(ASP)가 내수보다 10% 이상 높아 미국, 중국, 동남아 등 수출 확대에 따른 중장기 측면의 마진율 개선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3-10-18 10:07:04 원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