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코스피는 활발, 코스닥은 주춤…자사주 소각 양극화 심화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 시행이 1년 가까이 된 가운데, 코스피 상장사들은 자사주 소각을 적극 확대하는 반면, 코스닥 상장사들은 정체된 모습이다. 이는 코스피 상장사에 비해 코스닥 상장사의 대부분이 중소기업으로 구성돼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3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연초부터 이달 30일까지 코스피 시장에서 자사주 소각 공시가 66건으로 전년(28건)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소각 금액 역시 4조1801억원에서 12조142억원으로 급증했다. 이에 반해 코스닥 시장에서 자사주 소각 공시는 33건으로 전년 동기(22건)보다 늘었으나, 금액은 2031억원으로 오히려 전년(2084억원)보다 감소했다. 자사주 소각은 기업이 보유한 자기 주식을 이익잉여금으로 매입한 후 소각하는 방식으로, 발행 주식 수가 줄어들어 주당순이익(EPS)과 주당순자산(BPS)이 상승하는 효과를 낸다. 이는 기업이 주주 가치를 높이고 자본 수익률을 개선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밸류업 전략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코스닥 기업들은 자금 여력이 부족해 자사주 소각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고 있다. 코스피 시장에서는 삼성전자, SK스퀘어 등 대기업뿐만 아니라 신한지주, 하나금융지주, 메리츠금융지주 등 금융지주사들이 적극적으로 자사주를 소각하고 있다. 반면, 코스닥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보유 현금이 적고 최근 수익성까지 낮아지면서 주주 환원 정책을 추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코스닥 상장사 1153곳의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7조8777억원, 4조3075억원으로 각각 6%, 29% 넘게 감소했다. 이준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주주 환원은 기업이 여유 자금을 확보한 상황에서 진행할 수 있는 정책"이라며 "하지만 많은 코스닥 기업은 생존 자체가 불투명한 경우가 많아, 주주 환원보다는 경영 안정성을 우선 고려할 수밖에 없다. 결국 수익성이 충분히 확보된 이후에야 주주 환원이 가능하며, 현재 코스닥 기업이 주주 환원에 미온적인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소각, 배당 등에 과도한 자금을 투입할 경우, 연구개발이나 신규 투자에 사용할 여력이 줄어들면서 장기적인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주주 환원과 성장 투자 사이에서 균형 잡힌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주주 환원 확대나 투자 계획 공시는 기업 가치 평가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생산적 투자 기회를 제한하는 방향으로 진행돼서는 안 된다"며 "특히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서는 자본 지출을 통해 수익성과 성장성을 높이는 것이 기업 가치 제고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5-03-31 14:32:36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BNK경남은행, 'CS 담당 직원 집합연수'

BNK경남은행은 고객만족도 제고를 위한 'CS엔젤 신통방통 집합연수'를 실시했다고 31일 밝혔다. 창원 본점 대강당에서 열린 신통방통 집합연수에는 각 영업점에서 고객응대 업무를 리드하는 CS(Customer Satisfaction)엔젤과 금융소비자를 위한 제도를 기획하는 본부부서 직원 등 총 150여명이 참석했다. 연수에 참석한 직원들은 영업점 현장 고객의 소리와 CS제도 개선사항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 외부 전문가 특강을 수강했다. 이날 강연에는 SNS에서 '유손생'으로 활동 중인 유슬기 수어통역사가 강사로 참여해 수어의 이해를 비롯해 기초 수어와 은행 업무 관련 수어 등을 안내하며 청각 장애인을 응대하는 방법을 교육했다. 또한 정수경 공감드림컨설팅 CS강사로 참여해 셀프리더십, CS리더로서의 고객서비스 경험 관리, 함께 일하는 직원들과 즐겁게 일하는 환경 만들기 등에 관한 강의를 진행했다. 김경옥 BNK경남은행 금융소비자보호 담당임원 상무는 "이번 연수를 통해 참여 직원들이 금융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한발짝 더 나아갔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장애 여부와 무관하게 은행을 방문한 모든 고객들이 보다 편안한 금융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5-03-31 14:17:10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관세 전쟁·인플레 이중고…가상자산 '좋은 날' 끝났나

가상자산 시장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 확산에 위험자산 선호가 위축됐고, 인플레이션 우려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도 늦어지고 있어서다. 지난 달 11만 달러를 목전에 뒀던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 가격은 8만달러 전후까지 내려 앉았다. 31일 가상자산 시황 중계사이트인 코인마켓캡 따르면 가상자산 대장주인 비트코인 가격은 이날 오후 1시 20분께 1BTC당 약 8만1400달러(1억1950만원)에 거래됐다. 이는 24시간 전보다 1.96% 하락한 수준이다. 지난 1월 22일 기록했던 연중 최고가인 10만6136달러 대비로는 약 23% 하락했다. 주요 알트코인(비트코인 이외의 가상자산)의 하락폭은 더 컸다. 가상자산 시가총액 2위인 이더리움(ETH)은 연중 최고가 대비 약 51.1% 하락했고, 시총 3위인 리플(XRP)도 36.4% 하락했다. 대표적인 밈 코인인 '도지코인(DOGE)'과 '오피셜트럼프(TRUMP)'의 낙폭은 각각 59.6%, 86%에 달했다. 가상자산 가격이 하락을 지속하는 것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 전쟁'이 격화하면서, 미래에 대한 불확설성으로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달 들어 멕시코·캐나다·중국에서 수입되는 대다수 물품에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이어 모든 국가로부터 수입되는 알루미늄, 철강 제품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했고, 내달 3일부터는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 의약품·반도체 등에 대한 관세도 논의 중이다. 또한 트럼프는 오는 4월 2일 미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에 동등한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관세'를 공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비롯한 현지 언론들은 트럼프가 최대 20%의 관세를 전 세계에 부과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내에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하면서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이 늦어지는 것 또한 가상자산 가격을 끌어내리고 있다. 미 연준은 작년 12월 17~18일 개최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25bp(1bp=0.01%포인트)의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9월(50bp), 11월(25bp)에 이은 3연속 금리 인하다. 연준의 금리 인하 이후 가상자산 시장의 기대감은 최고조에 달했다. 비트코인 가격은 사상 최고가인 10만8000달러 수준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올해 2월 말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나오면서 가상자산 가격은 하락 전환했다. 지난 28일(현지시간) 미 상무부는 2월 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5%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측치에 부합하는 수준이지만,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지수 상승은 2.8%를 기록해 전망치를 웃돌았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확산하면서 연내 2회 금리 인하라는 연준의 통화정책에도 제동이 걸렸다. 시카고거래소(CME)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지난 28일(현지시간) 뉴욕 금리선물 시장에서는 연준이 오는 5월 6~7일 개최되는 FOMC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18.53%로 전망했다. 지난해 12월 18일 전망치(50.29%)와 비교해 31.76%p나 낮아졌다. 김민승 코빗 리서치 센터장은 "트럼프가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2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며 강경한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가상자산 시장에서 자금의 리스크오프(위험회피)가 발생하고 있다"며 "미국이 수입하는 대부분의 물건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미국 물가나 연준의 금리 인하 계획 등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해석이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5-03-31 14:16:04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주택연금, '소상공인 대출 상환 목적 인출' 허용

한국주택금융공사(HF공사)는 오는 4월 1일부터 소상공인 등을 지원하기 위해 주택연금 제도를 개선하고, 개별인출금 사용처를 확대한다고 31일 밝혔다. 주택금융공사가 새롭게 선보이는 소상공인대출 상환용 주택연금은 소상공인인 본인이나 배우자가 주택연금 개별인출금으로 국가·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을 갚을 수 있도록 개별인출 한도를 대출한도의 50% 초과 90% 이하로 확대했다. 신청인이 '소상공인확인서'로 소상공인 자격을 증빙하면 주택연금 첫 수령일로부터 6개월 내에 수시로 대출 상환자금을 인출할 수 있다. 단, 해당 상품을 이용할 경우 소상공인인 본인 또는 배우자는 주택연금 첫 수령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폐업신고를 해야 하며 인출한 금액은 대출상환 용도로만 사용해야 한다. 또한 주택연금 이용고객의 담보주택이 재건축 등 정비사업 대상이 되어 분담금을 납부해야 하는 경우에도 대출한도의 최대 70%까지 개별인출이 가능해진다. 개별 인출금으로 납부할 수 있는 분담금은 개별인출 신청일 이후 납부 예정인 금액으로, 신청인은 개별인출 실행 후 1개월 내에 분담금을 납부해야 한다. HF공사 관계자는 "이번 제도개선으로 대출금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분들과 정비사업에 참여하는 주택연금 가입자가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고령층 노후생활 지원을 위한 주택연금 제도 운영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5-03-31 14:10:22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농식품부-환경부, 가축분뇨처리 실태 3개월간 합동점검

농림축산식품부와 환경부가 지자체 및 유역환경청 등과 합동으로 '2025년 상반기 가축분뇨 합동 지도·점검'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 봄철 퇴비·액비 살포가 활발해지는 시기, 가축분뇨 적정 관리·처리를 통한 환경오염 방지에 목적을 둔다. 지도·점검은 4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실시된다. 가축분뇨 배출시설 및 처리시설,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가축분뇨 관련 영업장(가축분뇨 수집·운반업, 재활용업, 처리업 등) 약 2000개소가 대상이다. 이번 지도·점검은 농식품부와 환경부가 협업을 통해, 기존 단속 중심의 점검에서 벗어나 현장에서 위반하기 쉬운 행위에 대한 교육·홍보 등도 함께 추진한다. 이를 통해 농가 및 가축분뇨 관련시설의 자발적인 환경개선 참여 유도 및 환경보전 인식 제고를 추진한다. 특히, 봄철 농번기에 축산농가나 경종농가가 지켜야 하는 가축분뇨 및 퇴비·액비 관리의무를 중심으로 지역단위 교육·홍보를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또 ▲가축분뇨 또는 퇴비·액비의 하천 주변 또는 농경지 등 야적·방치 ▲농경지 등에 가축분뇨 살포·투기 ▲가축분뇨 배출시설 및 처리시설 관리기준(악취, 방류수 수질기준 등) 미준수 ▲무허가·미신고 배출시설 및 처리시설 설치·운영 ▲변경허가(신고) 미이행 등 가축분뇨 및 퇴비·액비의 부적정 관리로 인한 수질오염 및 악취 발생 등을 지도·점검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도·점검을 통해 환경관리 우수시설을 발굴할 경우 우수시설에 대한 포상을 추진하여 환경과 상생하는 축산업 발전도 도모할 계획이다. 안용덕 농식품부 축산정책관은 "이번 지도·점검 협업을 통해 봄철 미부숙 퇴비·액비 살포로 인한 악취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가축분뇨 적정 관리 인식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

2025-03-31 13:55:35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우리투자증권, 고객 친화형 '우리WON MTS' 출시

우리투자증권이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우리WON MTS'를 31일 정식 출시했다. 31일 우리투자증권에 따르면 회사는 '우리WON MTS' 출시로 리테일사업도 본격화하며 'IB와 디지털이 강한 종합증권사'로의 도약에 나선다. '우리WON MTS'는 고객 중심의 사용자 경험(UX)에 초점을 맞춰 최적의 디지털 투자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직관적이면서 모바일 환경에 최적화된 사용자 화면(UI)을 기반으로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빠른 주문 체결과 실시간 시장분석 기능을 통해 전문투자자 수준의 정보 접근성도 제공한다. 또한 AI기반의 ▲맞춤형 콘텐츠 ▲개인화 알림시스템 ▲실시간 뉴스 연동 기능 등 투자결정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탑재했다. 남기천 우리투자증권 대표이사는 "우리WON MTS는 고객이 더 쉽고 빠르게 직관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플랫폼"이라며, "디지털 금융 혁신을 바탕으로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종합증권사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우리투자증권은 '우리WON MTS'를 단순한 주식거래 앱을 넘어서 해외주식/채권, 연금, AI기반 자산관리 서비스까지 연계하는 종합 디지털 금융플랫폼으로 발전시킨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AI콘텐츠 고도화 ▲차별화된 금융정보 제공 ▲고객 맞춤형 자산관리 등 고객 중심 기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우리투자증권 관계자는 "우리WON MTS는 단순한 거래플랫폼을 넘어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투자여정'이라는 콘셉트에 맞춰 디지털 금융파트너로서 진화해 나갈 것"이라며, "국내주식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자산과 글로벌 투자기회까지 지속 확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3-31 13:50:01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공매도 재개에 코스피 2500선 붕괴

공매도 전면 재개에 국내 증시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공매도 재개 불안감과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를 앞두고 불안 심리가 확대된 것으로 풀이된다. 오전 11시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39% 급락한 2496.97에, 코스닥지수는 1.84% 떨어진 680.95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피 2500선이 붕괴된 것은 지난달 10일 이후 처음이다. 공매도 재개로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입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됐으나 오히려 외국인은 코스피에서만 6600억원을 순매도하고 있다. 기관과 개인이 각각 5100억원, 1100억원씩 순매수하며 하방을 방어하고 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특히 대차잔고가 급증한 종목들 위주로 하락세가 두드러진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공매도가 시작되면 주가 변동성이 빠르게 확대될 것"이라면서 "대차잔고가 급증한 종목이 흔들리면서 지수가 방향성을 잃을 수 있다"고 말했다. 코스피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이 장중 6%가량 폭락했으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주를 비롯한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 대부분이 2% 이상의 하락세를 기록 중이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는 종목은 KB금융뿐이다. 코스닥에서는 2차전지주인 에코프로 형제주가 동반 급락하면서 에코프로비엠은 10만원선이 깨졌다. 코스닥시장에서는 기관과 개인이 각각 370억원, 720억원씩을 순매수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은 1100억원 가량을 팔아치우고 있다.

2025-03-31 13:35:00 신하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