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10대 그룹'도 참여한다...밸류업에 진심은 증권사는?
LG전자가 10대 그룹 최초로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공시'에 동참한 가운데 증권사들의 밸류업 관련 움직임들이 확산되고 있다. 키움증권에 이어 미래에셋증권이 밸류업 본 공시를 냈으며, 증권사 내 자사주 매입·소각 흐름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27일 KB증권은 홈·모바일 트레이딩 시스템(H·MTS)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전용관을 오픈했다고 밝혔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만을 위한 별도 페이지를 제공한 증권사는 KB증권이 유일하다. 지난 5월에도 저평가된 국내 대형 우량주의 상승 전망을 기반으로 한 관련 종목을 안내하는 'KB Again BUY KOREA' 전용관을 오픈했으며, 2일에는 밸류업 공시 안내와 관련된 별도 페이지를 공개하기도 했다. KB증권 관계자는 "상장기업이 자발적인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수립하고 공시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투자자가 공시된 계획을 투자 판단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본시장 선순환 구축에 적극 참여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27일부터 밸류업 프로그램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자 증권·금융업계도 움직임을 보이는 모습이다. 밸류업 공시는 정부 주도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기업 현황 자체 진단과 기업가치 제고 목표·계획, 이행 평가·소통 계획 등의 계획이 담긴 문서를 공시 형태로 공개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까지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 밸류업 계획을 자율공시한 기업은 10곳으로 0.38%에 불과하다.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예고하는 안내 공시를 낸 기업(14곳)을 합치더라도 참여율은 0.92%에 그치면서 저조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증권·금융업계가 그나마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평가가 나온다. 21일에는 LG전자가 10대 그룹 중 최초로 밸류업 공시 예고에 참여하면서 분위기를 끌어올린 만큼 밸류업 공시에 참여하는 상장사도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상장사 중 가장 처음으로 밸류업 공시를 낸 곳도 키움증권이다. 지난 22일 미래에셋증권도 자기자본이익률(ROE) 10%를 넘기고, 2026년까지 주주환원율을 35%까지 올리겠다는 내용을 담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했다. 아직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증권사는 키움증권과 미래에셋증권 두 곳뿐이다. 다만 금융지주 계열 증권사인 KB금융·우리금융지주·메리츠금융지주·신한지주·BNK금융지주·하나금융지주 등 6개사는 그룹 차원으로 밸류업 공시에 동참했다. 밸류업 경쟁으로 점화된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세전이익 5000억원 이상을 창출하고, 2030년까지 자기주식 1억주 이상을 소각하겠다는 계획이다. 1억주를 소각할 경우, 최대주주 지분을 제외한 실질 유통주식수가 4억1000만주에서 3억1000만주로 약 24% 감소한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2월에도 자사주 1000만주를 매입·소각했으며, 지난 8일부터 오는 11월 7일까지 자사주 1000만주를 추가 매수한 후 전량 소각할 예정이다. 총 2000만주의 자사주를 소각하게 되는 것으로, 올해 가장 많은 자사주를 매입·소각한 증권사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자사주 1억주 이상 소각 계획은 주주환원정책을 적극 실행해 주주이익을 제고하겠다는 의지"라며 "이번 기업가치 제고 계획 발표를 계기로 기업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을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NH투자증권도 지난 3월 자사주 417만주를 매입한 뒤 4월 내 소각했다. 이는 2011년 이후 13년 만에 진행된 자사주를 매입·소각이며, 향후에도 추가적인 자사주 매입·소각을 실시한다는 입장이다. 키움증권 역시 지난 14일 자사주 총 105만주를 소각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외에도 KB금융지주, 하나금융, 신한금융지주 등 증권사를 갖고 있는 그룹사들이 자사수 소각을 진행하고 있다. 자사주 소각은 유통 주식 수를 줄여 기존 주식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어 가장 확실한 주주환원 정책으로 꼽힌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