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도서관, 534만 명 이용… 맞춤형 북큐레이션·독서 프로그램 강화
고양시 도서관이 지난해 총 534만 1,822명의 이용객을 기록하며 지역 독서문화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이에 따라 올해는 더욱 다채로운 북큐레이션과 독서 프로그램을 운영해 시민들의 독서 경험을 한층 풍성하게 만들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고양시 도서관이 시민들의 다양한 독서 욕구를 충족시키고, 지역사회 독서문화를 선도하는 역할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더 많은 시민들이 독서의 즐거움을 만끽하며 배움의 기회를 누릴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고양시 공공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대출된 도서는 성인 부문에서는 김호연 작가의 '불편한 편의점', 어린이 부문에서는 '흔한남매' 시리즈로 나타났다. 성인 인기 도서 순위에서는 정지아 작가의 '아버지의 해방일지', 이미예 작가의 '달러구트 꿈 백화점'이 뒤를 이었고, 어린이 부문에서는 홍민정 작가의 '고양이 해결사 깜냥', 히로시마 레이코 작가의 '전천당'이 높은 대출 수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작별하지 않는다'와 '소년이 온다'도 순위권에 오르며 독자들의 꾸준한 관심을 받았다. 지난해 한 해 동안 고양시 공공도서관에서 대출된 총 도서는 373만 4,637권으로, 이 중 231만 3,915권(약 62%)이 어린이자료실에서 대출됐으며, 전자책과 오디오북도 33만 3,878건 이용되며 디지털 자료 활용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시는 도서관 누리집 시스템을 더욱 안정화해 불편함 없는 독서 환경을 조성할 방침이다. 올해 고양시 도서관은 계절, 사회적 이슈, 특정 주제를 반영한 맞춤형 북큐레이션을 운영한다. 지난달 20일 새롭게 개관한 강촌공원 책쉼터는 이달까지 2024 대한민국 그림책상 수상작을 전시하며, 가좌도서관은 볼로냐아동도서전에서 활약한 한국 작가들을 주제로 'BIB 수상 한국 작가 깊이 보기' 전시를 진행해 도서전에 대한 특별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식사도서관에서는 예비 초등학생을 위한 '처음 학교에 가요!' 북큐레이션을 운영하고, 신년을 맞아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을 주제로 '작심 일년'을 위한 자기계발 도서도 추천한다. 각 도서관에서 진행하는 북큐레이션은 고양시 도서관센터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독서문화 활성화를 위한 도서 추천 서비스도 강화된다.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제공되는 '도서관통' 서비스는 매월 새롭게 선정한 주제에 맞는 추천 도서를 소개하며, 현재 2만 8천여 명이 구독 중이다. 또한, 사서들이 직접 책을 추천하는 '도서발굴단'도 운영되며, 성인 도서발굴단은 네이버 블로그에서 주제별 서평을 제공하고, 어린이 도서발굴단은 매년 2회 어린이 및 부모를 위한 책꾸러미를 제작해 대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연령별 어린이 추천 도서 대출 서비스인 '안녕, 책꾸러미'는 18개 도서관 어린이자료실에서 이용 가능하다. 모든 추천 도서는 고양시 도서관센터 누리집의 자료 검색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양시는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독서 프로그램을 확대할 예정이다. 지역 서점 및 작가들과 협업해 독서문화 플랫폼을 구축하고,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독서 행사를 마련한다. 오는 4월 도서관 주간, 9월 독서의 달 행사, 10월 고양 독서대전 등을 통해 독서문화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을 다채롭게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도서관 이용과 더불어 디지털 자료 접근성을 높이고자 전자책·오디오북 서비스 강화와 도서관 누리집 시스템 안정화를 추진해 독서 경험을 더욱 원활하게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고양시는 시민들의 도서관 이용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공공도서관의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기존 도서관 공간을 활용한 독서 공간 조성과 도서관 내 스마트 도서관 도입 등 편리한 도서 대출·반납 시스템을 확대해 시민들의 독서 편의를 극대화할 예정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도서관이 단순한 책 대출 공간을 넘어 시민들이 함께 소통하고 배움을 나누는 열린 문화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도를 이어나갈 것"이라며 "독서를 통해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독서문화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