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김홍성 시인의 히말라야 탐방기 '트리술리의 물소리' 발간

시인이자 오지전문 잡지 기자 출신인 김홍성이 '트리술리의 물소리'를 펴냈다. '트리술리의 물소리'는 히말라야 석청 구입을 목적으로 했던 우리나라 최초의 탐방기이다. 트리술리 강을 거슬러 오르며 9일 동안 펼치는 여정으로, 골골이 깃들어 사는 원주민 부족들의 인심과 풍정을 싱그럽게 그렸다. 그리고 사라져 가는 자연의 삶을 안타까운 필치와 사진이라는 기록으로 풀어냈다. 염소를 기르고 감자를 심고 기장 죽을 먹는 농부, 아직도 풀 짐 지는 아낙, 소주 고는 모녀, 눈길을 맨발로 걷는 셀파, 퇴락한 법당, 목 잘린 불상, 헛간에서 짐승과 같이 자는 사람들, 달밤에 처자들까지 나와 춤을 즐기는 마을, 똥 천지인 똥동네. 온통 가난하고 허름하지만 그들이야말로 비길 데 없이 순박하고 진실하다. "히말라야의 석청은 두 가지가 있다. 한 가지는 가네 무아(먹는 꿀)이고 다른 한 가지는 나가네 무아(못 먹는 꿀)이다. 가네 무아는 사람이 먹는 꿀이다. 나가네 무아는 사람이 못 먹는 꿀이지만 야크나 버팔로 혹은 염소 등이 병이 났을 때 먹인다. 네팔 사람들은 절대로 나가네 무아를 먹지 않는다. 사람이 나가네 무아를 큰 수저로 한 수저만 떠먹어도 잠시 후 몸을 못 가누고 쓰러진다. 아무리 건강한 사람도 정도를 넘기면 쓰러지고 만다. 그러나 죽지는 않는다. 거의 죽을 지경까지 가서는 차츰 살아난다."p. 62. "소변을 보려고 밖으로 나왔을 때 헛간 쪽으로 가 보니 벽이 없는 지붕 밑에서 사람과 짐승이 한데 어울려 자고 있다. 대들보 위에는 닭들이 앉아 있고, 마이타의 어린 조카들은 책상보만 한 누더기 속에서 새끼 염소를 껴안고 있다. 사람 기척에 놀라 일어나 앉은 마이타 동생 부부는 거의 알몸이다. 미안하다, 미안하다고 거듭 말한다. 그러나 그들 곁의 버팔로 송아지는 뭐가 그리 미안하냐는 듯 태연자약하게 여물을 씹고 있다. 하늘의 별은 여전히 총총하다. 달은 더욱 둥두렷하다." pp. 102-103. 작가는 말한다. "사진은 묘한 것이다. 사진에 고착된 과거의 인물과 풍경은 아무리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다. 인물도 풍경도 변함없이 거기 그대로 있다. 같이 갔던 동료들과 현지 고용인들도 그곳을 걸으며 구슬땀을 뚝뚝 떨구고 있다." 이 책은 그런 변화 이전의 모습, 즉 수백 수천 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던 히말라야 산간 오지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담고 있다. 반면 "트리술리 하류에는 수력 발전소가 생겼고, 도로와 전봇대는 계속 티베트 국경 쪽 산으로 깊이 파들어 갔다. 외국인 관광객들은 나날이 늘어나더니 예전에는 오직 걸을 수밖에 없었던 길을 지프로 왕래한다. 사흘 나흘 길을 몇 시간만에 주파하게 되었으나 자동차 도로 건설 현장은 히말라야 산악 지대 전역에 퍼져 있다."는 안타까움이 드러낸다. 저자는 중앙대 문예창작과 졸업 후 십여 년 동안 트레킹, 여행 잡지 편집장을 지내기도 했다. 1990년대 초 히말라야와 티베트 라다크로 훌쩍 떠났다. 산에 순응하며 오순도순 살아가는 오지마을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서다. 여전히 여리고 순한, 가난하지만 피붙이처럼 정겨운 이웃들이 모여사는 곳. 그들과 부대끼며 한솥밥을 나누고 등짐을 같이 지기도 한다. 그는 오늘도 히말라야의 오지를 '순례' 하듯 걷고 있다. 그는 영락없는 '걷기 여행자'다. 저서로 시집 '나팔꽃 피는 창가에서', 기행문집 '히말라야 40일 간의 낮과 밤', '천년 순정의 땅, 히말라야를 걷는다'등이 있다으며 카트만두의 밥집 '소풍'을 운영하며 지낸 순박한 나날을 담은 '우리들의 소풍'(2008)을 펴냈다. 현재 미디어피아 전문 작가로 활동하면서 '피케 기행' 시리즈를 연재하고 있다.

2019-07-25 17:24:35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오늘의 운세] 7월 25일 목요일 (음 6월 23일)

[쥐띠] 36년 간교한 속삭임이 많으니 굳은 의지가 필요. 48년 귀인을 만나서 새로운 투자를 하게 된다. 60년 자식이 마음에 안 들어도 내가 낳은 걸 어쩌겠나. 72년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84년 심신이 고달픈 하루. [소띠] 37년 자식의 어려움을 보살펴야 할 때. 49년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이니 우선 시작을 하자. 61년 마음을 너그럽게 가지면 세상이 아름답다. 73년 기회가 왔을 때 잡을 수 있는 능력을 키우자. 85년 달걀로 바위 치는 행동은 자제. [호랑이띠] 38년 놓친 고기 아까워 말고 잡아 둔 고기를 잘 간수. 50년 옛것을 버리고 새것을 취할 때 좋은 운이 들어 온다. 62년 걱정이 해소되고 마음이 즐거운 날. 74년 흐지부지될 수 있으니 문서로 남겨라. 86년 마음을 편안하게. [토끼띠] 39년 시작한 일에 기대를 많이 했지만 실리는 없다. 51년 변화의 운이 들어오니 망설이지 말자. 63년 부모님의 건강과 안부를 챙겨야 할 때. 75년 벌을 두려워하면 좋은 꿀을 얻을 수 없다. 87년 초지일관하여 끝까지 견디자. [용띠] 40년 고집부리지 말고 아랫사람의 충고를 듣자. 52년 결과도 중요하나 과정을 무시하지 마라. 64년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 날 구멍은 있다. 76년 바람이 불면 흔들릴 수 있으니 조심. 88년 제살이 아프면 남의 살도 아픔을 명심. [뱀띠] 41년 말은 마음을 담으니 가려서 하라. 53년 밤을 이겨 낸 자만이 찬란한 새벽을 볼 수 있다. 65년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르고 지출을 하게 된다. 77년 사람을 사랑한다는 것은 축복. 89년 쉽게 얻은 재물은 쉽게 나간다. [말띠] 42년 호의가 계속되면 상대는 당연한 권리로 착각. 54년 건강을 위해서 등산을 해보자. 66년 마음이 아픈 하루이니 위로가 필요. 78년 바람이 불고 비가 오니 비옥한 땅이 될 것이다. 90년 내키지 않는 술자리를 피하자. [양띠] 43년 마음은 청춘이나 몸이 따라주지 않는다. 55년 마른 논에 물들어오듯이 어려움이 한 번에 해결. 67년 올바른 처신이 구설수를 예방. 79년 늦은 깨달음이지만 이제라도 정신을 차리자. 91년 상쾌한 바람이 불어오니 저절로 상쾌. [원숭이띠] 44년 나이 든다는 것이 새삼 느껴진다. 56년 푸른색은 쪽에서 나왔지만, 쪽빛보다 푸르다. 68년 두드리면 열릴 문이니 최선을 다해서 두드려라. 80년 가는 사람도 잡아야 할 때가 있다. 92년 상대의 실수가 내게 새로운 기회. [닭띠] 45년 내가 믿음을 가져야 남도 설득시킬 수 있다. 57년 헛된 망상은 몸과 마음을 상하게 한다. 69년 행복은 내가 만족하면 그만. 81년 일 처리를 단독으로 하지 마라. 93년 무지가 지식보다 더 큰 확신을 주니 조심. [개띠] 46년 세상에 우연한 행운은 결코 없다. 58년 가족은 하늘이 맺어준 인연, 친구는 내가 선택한 가족. 70년 새는 날아가면서 뒤를 돌아보지 않는다. 82년 인생의 목표를 다시 한번 점검. 94년 주변 사람과 함께 돈 벌 기회가 온다. [돼지띠] 47년 삶의 중심에 자기 자신을 두자. 59년 좋아도, 싫어도 금방 내색하면 일이 꼬이게 된다. 71년 해 저무는 강가에 홀로 서 있는 기분. 83년 감나무 밑에서 감 떨어지기를 기다리고 있다. 95년 독불장군은 외롭고 실수가 따른다.

2019-07-25 06:32:15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주속으로] 싸우지 않고 이기기

전쟁과 평화라는 유명한 톨스토이의 소설이 있다. 영화로도 나와 청순한 오드리 햅번의 매력에 세계의 많은 이들의 심금을 울렸다. 누가 말했는지 잘 기억이 나진 않지만 평화란 전쟁과 전쟁 사이의 휴지기라고 하며 평화를 지키기 위해 전쟁을 할 수 밖에 없다는 역설적인 이유로 전쟁은 끊임없이 이어져 왔다. 과거 인간이 생존을 위해 사나운 맹수와 싸우기도 했고 때로는 먹을거리를 위해 또는 유흥을 위해 사냥을 즐겨왔다. 때로는 다른 부족을 공격하여 패권 다툼을 하던 모양새가 점점 규모를 더하고 커져 지금은 핵전쟁이라는 자멸의 단계까지 다다르게 된 것을 보면 아직도 영역다툼과 먹거리를 위해 국지전을 벌이던 선사시대로부터의 유산인 듯싶다. 최근에 트럼프대통령이 또 한 번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판문점을 방문한 것까지는 그렇다 치겠는데 SNS 제안으로 북한의 김정은을 만나 전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것이다. 이 사안을 두고 사람들은 변칙의 의외성이 주는 효과를 만끽하였다. 트럼프 미대통령이 그렇게 좌충우돌 하는 이유가 왜 그러는 것일까. 언젠가 필자는 트럼프의 말 속에 담겨진 담대함이나 치밀한 계산에 대하여 여타 글에서 언급한 적이 있지만 이번에도 역시나! 하는 확신을 더할 수 있었다. 트럼프가 태어날 때부터 자금력이 대단한 집안에서 태어나 금수저에 해당하는 환경을 가졌지만 사업을 운영하고 꾸려나가는 방식이나 과정은 확고한 자신만의 원칙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가 공표한 책 '거래의 기술'에서도 면면히 보이고 있다. 자주 과장과 허세를 보이지만 그러한 이면에는 분명 자기만의 계산이 있는 것이다. 그는 실제로 대담한 제안을 하지만 상대방은 혹여나 하면서도 그 제안을 받아들인다. 결국 트럼프의 뜻대로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것이다. 그는 '손자병법'을 아주 좋아한다고 어느 글에선가 본 기억이 있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가장 상수라고 손자가 강조했듯이 트럼프는 나중에 웃는 방법이 뭔지를 알았을 것이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 그러려면 상대방을 잘 알아야 한다. 인생의 지피지기. 바로 역(易)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조언이라 믿고 있다.

2019-07-25 06:19:55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