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메가히트상품스토리]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롤케익=파리바게뜨 '실키롤케익'

국내 베이커리 문화는 파리바게뜨의 탄생 이전과 이후로 나뉘어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88년 국내에 처음 프랑스풍 베이커리 문화를 선보인 파리바게뜨는 30년 이상 베이커리 업계를 선도해오고 있다. 과거에는 단순하게 양산빵을 중심으로 진열, 판매하는 매장이 주를 이뤘던 반면, 1988년 6월 파리바게뜨 광화문점이 문을 열면서 윈도우 베이커리 문화를 고객에게 선보이기 시작했다. 매장에서 직접 빵을 굽는 베이크오프(Bake-off) 방식을 도입해 갓 구운 신선한 빵을 만날 수 있도록 한 것도 파리바게뜨가 국내 최초다. 이후 가맹점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점포 수와 인지도를 늘린 파리바게뜨는 크루아상, 페이스트리, 바게트 등 프랑스풍 제품을 중심으로 하되, 다양한 제품들을 개발하며 모든 세대의 입맛에 맞는 제품들을 선보였다. 그 중에서도 1988년 5월 11일 출시한 파리바게뜨 '실키롤케익'은 30년 넘게 스테디셀러에 자리매김했다. 전용 밀가루에 신선한 달걀과 버터를 넣고, 부드럽고 폭신한 스폰지케이크에 버터크림과 건포도가 더해진 식감이 특징이다. 선물하기도 좋고 함께 나눠 먹기도 편해 꾸준한 사랑을 받으며 선물류 카테고리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 2020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롤케익으로 기네스 월드레코드로부터 공식 인증을 받기도 했다. 파리바게뜨는 실키롤케익의 우수성과 판매 성과를 전세계에 널리 알리고자 세계 신기록 등재를 추진했고, 지난 2020년 일정 기간 최다 판매된 제품을 선정하는 방식으로 기네스 세계기록 인증을 받았다. 2015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5년간 한국, 중국, 미국, 싱가포르, 베트남 등 5개국에서 1249만8487개가 팔렸다. 약 12초마다 1개씩 팔려나간 셈이다. 판매된 제품을 길이로 환산하면 약 3000㎞로 프랑스 에펠탑(300m) 높이의 9300배, 에베레스트산(8848m) 높이의 339배다. 기네스 인증을 받은 후로는 1일 평균 판매량이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제 2의 전성기를 맞기도 했다. 젊은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입소문을 타며 '기네스롤'이라고 불리는 등 특별한 선물로 재조명됐다. 지난해 파리바게뜨는 실키롤케익이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롤케이크'로 등재된 지 4주년이 된 것을 기념해 한정판 제품 '1988 실키롱케익'을 선보여 눈길을 끌기도 했다.'국민 롤케이크'로 오랜 시간 사랑 받은 케이크라는 의미를 담아 기존 실키롤케익 대비 두 배의 길이인 47cm 크기로 제작해 용량 대비 합리적인 가격으로 맛과 재미 모두 잡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편, SPC그룹은 올해 파리바게뜨의 글로벌 사업 조직을 개편하는 등 해외 사업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글로벌 조직에 아시아태평양·중동·아프리카(AMEA) 본부를 신설했으며, 이는 올해 초 본격 가동 예정인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 제빵 공장 완공을 앞두고 실시한 것이다. 2조 달러 규모의 세계 할랄(Halal) 푸드 시장 공략을 위해 현지 시장 경험이 많은 경영자들을 전진 배치한 것으로 풀이된다. SPC그룹은 미국에서도 텍사스주 벌리슨 시에 현지 생산공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으며, 아메리카 본부는 미국과 캐나다를 중심으로 향후 진출 예정인 중남미 지역까지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SPC그룹 관계자는 "해외 각 지역 본부의 책임과 권한을 확대해 글로벌 사업을 현지화 하고, 국내 본사가 보다 효과적으로 해외 법인들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번 조직개편을 실시했다"고 말했다. 파리바게뜨는 현재 미국, 캐나다, 프랑스, 영국, 중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총 14개국에 진출했으며, 630여 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2030년까지 1만2000개 매장 달성이 목표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

2025-01-09 14:40:41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창원시,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전용 승강장 확대

창원시는 특별교통수단 누비콜 이용자의 편의 제공을 위해 특별교통수단 전용 승강장 설치를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시는 지난달 창원중앙역에 이용자들의 안전한 승하차를 위해 특별교통수단 전용 승강장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창원중앙역을 시작으로 관내 주요 역, 종합병원 등에 꾸준히 특별교통수단 전용 승강장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동안 특별교통수단 이용자들을 위한 전용 승강장이 없어 ▲승하차 시 사고 위험 ▲차량 대기 시 운전원과의 소통 애로 등 불편 사항이 있었으나, 이번 특별교통수단 전용 승강장 마련으로 교통약자의 이동 안전성 확보와 공공 서비스 만족도 향상이 기대된다. 특별교통수단 누비콜이란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교통약자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휠체어 탑승 설비를 장착한 차량이다. 창원시는 현재 110대의 특별교통수단 차량을 운행하고 있으며 보행상 장애인으로서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등 3882명이 이용하고 있다. 이종근 교통건설국장은 "교통약자의 안전한 이용 환경 조성과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해 꾸준히 교통 시설 이용 편의 및 환경 개선 방안을 수립·시행하고, 적극적인 의견 수렴과 소통으로 교통약자 복지 증진에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2025-01-09 14:40:36 손병호 기자
기사사진
이현재 하남시장, 초이동 주민과의 대화에서 “교통 편의성 개선 총력 다할 것”

하남시(시장 이현재)는 9일 초이동 주민과의 대화에서 교통 편의성 개선을 위한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청취하고, 주요 현안을 차질 없이 추진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현재 시장은 이날 오전 초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진행된 주민과의 대화에서 △하남광암 공동주택지구 이주대책 마련 △관내 초·중학교 학구 변경에 따른 버스 탄력적 운영 △강동일반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교통대책 필요 등 지역 현안을 주민들과 논의했다. 먼저 하남시는 교산신도시 기업이전대책 부지로 하남광암 공동주택지구가 지구지정된 상황에서 초이동 원주민에 대한 이주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이주주택 단지 내 주민이 요구하는 주차장 확대, 도시가스 공급 등 생활기반시설이 반영되도록 LH와 적극 협의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관내 초·중학교 학구 변경에 따른 버스 운영과 관련해선 버스 배차간격이 길어 학생들의 통학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만큼 통학시간에 맞춰 배차간격을 줄이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검토한다는 계획을 전했다. 이와 함께 강동일반산업단지 개발사업으로 초이동 지역의 교통 체증이 우려되는 만큼 주민의견이 반영된 교통 대책 수립에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시장은 이날 질의응답 시간에 나온 '산업단지 내 레미콘 분진, 소음 문제를 해결해달라'는 의견에 대해 "초이상생협력협의회를 1월에 구성해 동 자체에서 운영할 계획"이라면서 "비산먼지 대책에 대해선 정기적으로 점검을 강화하고, 비산먼지 발생 감시 요원을 배치하겠다"라고 답했다. 또한, '마을버스 정류소에 부스가 설치되지 않아 불편이 크다'는 민원에 대해서는 "김성수 경기도의원의 도움을 받아 냉난방시설과 온열의자 등의 편의시설을 갖춘 스마트쉘터 버스정류소 설치 사업 예산을 확보하게 됐다"라며 "초이동에도 시범적으로 1~2곳에 스마트쉘터 버스정류소를 설치하는 방안에 대해 적극 검토하겠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세종~포천 고속도로 하남시 구간인 12공구 시공업체인 DL건설은 이날 고속도로 개통으로 인한 교통편의 증대 효과를 주민들에게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지난 1일, 세종~포천 고속도로 남안성 분기점(JC)에서 남구리 나들목(IC)까지 총연장 72.2㎞의 왕복 6차로 구간이 개통됐다. 이번 개통으로 남안성 JC에서 남구리 IC까지의 주행거리는 약 19.8㎞ 단축(92.0㎞→72.2㎞)되었으며, 이동시간은 약 49분 감소(88분→39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남시는 남북으로 관통하는 이 고속도로를 통해 수도권제1순환선,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등 주요 교통망과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서울은 물론 경기 북부와 남부로의 이동이 더욱 편리해졌다. 세부적으로 하남시 구간(7.8㎞)에는 △초이IC △서하남JC △하남감북톨게이트가 위치해 있다. 초이IC는 하남미사 공업지역과 교산지구 기업이전 단지가 위치한 감초로와 연결되며, 황산~초이 간 도로 및 동남로 연결도로와 인접해 교산지구의 접근성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고덕IC와 미사대로가 연결되어 하남시가 추진 중인 K-스타월드, 캠프콜번, 교산신도시의 교통 편의성이 개선돼 기업유치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전망이다. 아울러, 경부고속도로와 중부고속도로를 비롯한 주요 고속도로와의 연계를 통해 전국 주요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높아져 하남시가 물류 거점 및 첨단산업의 중심지로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하남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세종~포천 초이IC~남한산성 터널 구간(3.5㎞)의 도로 이용에 따른 주민 불편이 없도록 진출입로, 도로표지판, 방음벽 등을 철저히 점검했다. 특히, 하남감북톨게이트(감북교) 인근 초이동 송림마을 구간에서는 소음방지 대책을 현장에서 세심히 확인하며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했다. 초이동 송림마을의 교통소음 우려와 관련해, 하남시는 한국도로공사에 방음벽 높이 상향을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이후 국민권익위원회 조정을 통해 송림마을 280m 구간 방음벽 높이를 기존 2m에서 3.5m~4m로 높이고, 소음감쇠기를 설치해 고속도로를 개통했다. 앞으로 하남시는 2025년 완료 예정인 감일제1육교(재가설) 및 광암로(부체도로) 잔여 공사 구간에 대해 지속적으로 점검을 진행하며,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 환경을 조성해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주민들이 요구하는 초이IC의 명칭을 하남초이IC로 변경하기 위해 한국도로공사와의 협의를 이어가며 건의서를 지속적으로 제출할 예정이다.

2025-01-09 14:40:16 유진채 기자
기사사진
울산과학기술원, 불확실성 상황서 뇌는 ‘타인 모방’해 의사 결정 입증

불확실한 상황에서 무조건 남들을 따라 하는 결정이 뇌에서 나타나는 대체 전략이라는 사실이 계산 신경 과학적으로 입증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정동일 교수팀은 미국 버지니아 공대 연구진과 함께 불확실성 상황에서 타인 선택이 개인 의사 결정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는지 분석한 연구 결과를 9일 내놨다. 사회적 맥락에서 의사 결정은 개인의 선호와 타인의 선택을 통합한 가치 판단 과정을 거쳐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뇌가 개인의 선호 정보에 접근할 수 없을 때, 어떤 전략을 취하는지를 밝힌 연구다. 연구에 따르면 뇌는 타인의 선택이라는 사회적 정보를 '휴리스틱' 전략을 통해 의사 결정에 반영한다. 개인 선호를 반영한 가치 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남의 선택을 무조건 모방하는 지름길을 택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뇌의 섬피질(insula) 혹은 배측 전측 대상 피질(dorsal anterior cingulate cortex; dACC)에 부분 손상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섬피질이나 배측 전측 대상 피질은 불확실성 정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실험 참가자들은 두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게임을 반복해서 진행했다. 각 옵션을 선택할 때마다 정해진 확률로 보상이 주어지며 하나는 보상 범위가 넓은 위험한 옵션, 다른 하나는 보상 범위가 좁은 안전한 옵션이다. 일부 시행에서는 다른 참가자들의 선택을 확인한 후 결정할 수 있었고, 나머지 시행에서는 타인의 선택을 보지 않고 스스로 결정해야 했다. 실험 결과, 뇌 손상이 있는 참가자들은 예상과 같이 위험 선호도에 따른 가치 평가가 불가했으며 타인의 선택을 본 이후 결정을 내리는 사회적 상황에서 타인의 선택을 따라 하는 동조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개인의 선호가 아직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불확실성 상황이나 개인의 선호도가 뚜렷하지 않은 경우 모두 개인 선호에 기반한 가치 판단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정동일 교수는 "개인 선호도가 뚜렷하지 않은 사람들이 때때로 주위 사람들 의견에 더 민감하게 휘둘리는 이유를 설명한 연구"라며 "중독과 같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하는 것뿐 아니라, 개인의 선호를 확립하는 교육적 접근도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계산 분석 생물학 지인 플로스 계산 생물학(PLoS Computational Biology)에 지난달 2일 자로 공개됐다.

2025-01-09 14:38:24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청송군, 국토교통부장관 기관표창 수상

청송군은 지적 재조사사업을 통해 국가 공간정보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24년도 지적 재조사업무 우수기관'으로 선정되며 국토교통부장관 기관 표창을 수상했다" 고 9일 밝혔다. 청송군은 2013년 청송읍 덕리1지구를 시작으로 2024년까지 총 17개 지구 4,190필지의 사업을 완료했으며, 나머지 사업 지구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현재 국비 1억 7천여만 원을 확보해 청송읍 금곡1지구(845필지)를 지정하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경계 상담을 위한 현장사무소 운영, 국·공유지 관련기관 협업을 통한 경계 조정, 고정밀 드론 정사영상 제공 등 적극적인 사업추진으로 지적행정 발전에 크게 기여하며 전국 우수기관으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뒀다. 지적재조사사업은 디지털 지적을 구축하는 국책사업으로, 실제와 맞지 않는 지적공부 등록사항을 정비하고, 경계 조정을 통해 토지소유자 간 경계분쟁을 해소하며, 토지 모양 정형화를 통해 이용 가치를 높이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이번 지적재조사업무 우수기관 표창은 군민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로 함께 이뤄낸 값진 성과"라며, "협조해 주신 군민들께 깊이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지적재조사사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5-01-09 14:37:39 손기섭 기자
기사사진
Hyundai Motor Group to Invest 24.3 Trillion KRW This Year for Change and Innovation, the Largest Investment in History

Amid an uncertain domestic and global business environment, Hyundai Motor Group is making a large-scale domestic investment to strengthen its future competitiveness, with a focus on South Korea as a hub for mobility innovation. Hyundai Motor Group announced on the 9th that it plans to invest a record-high 24.3 trillion KRW in South Korea this year. This year's investment is a 19% increase compared to the previous record of 20.4 trillion KRW in 2024, marking an increase of 3.9 trillion KRW. Hyundai Motor Group's decision to make its largest-ever domestic investment this year is based on the judgment that continuous and stable investment is essential to overcome the increasing uncertainties and secure future growth drivers. In his New Year's message this year, Chairman Euisun Chu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perspective and attitude needed to face crises, the ongoing transformation and innovation through Hyundai Motor Group's continuous improvement, and the significance of the DNA for overcoming crises. He encouraged employees by saying, "We have always faced crises, overcome them excellently, and emerged stronger after each crisis." Hyundai Motor Group will allocate 11.5 trillion KRW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R&D), 12 trillion KRW for ongoing investments, and 8 trillion KRW for strategic investments. The R&D investments will be used to secure key future capabilities, including enhancing product competitiveness, electrification, software-defined vehicles (SDV), hydrogen products, and the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ies. Hyundai Motor Group will flexibly respond to changes in electric vehicle demand by leading with high-performance, fuel-efficient hybrid models, next-generation hybrid systems, and extended-range electric vehicles (EREV). Hyundai Motor Group plans to steadily expand the development of new electric vehicle models and accelerate the transition to electrification. Hyundai aims to establish a full lineup of 21 electric vehicle models by 2030, ranging from economy models to luxury and high-performance vehicles. Kia, on the other hand, will complete its full lineup of 15 electric vehicle models, including various purpose-built vehicles (PBV), by 2027. In the SDV (Software-Defined Vehicle) field, the goal is to complete the development of an SDV pace car featuring high-performance electric and electronic architecture for vehicles by 2026 through in-house software development. The project aims to expand this technology to mass-produced vehicles. Ongoing investments will be directed towards expanding production facilities to support the transition to electric vehicles (EVs) and the development of new models, innovating manufacturing technologies, and enhancing infrastructure such as customer experience centers. Hyundai Motor Group will make large-scale investments in the construction of dedicated EV factories this year as well. Last year, Kia launched the Gwangmyeong EVO plant and began production of the small electric vehicle EV3. In the second half of this year, the group plans to complete the Hwaseong EVO plant and start full-scale production of customer-specific PBV electric vehicles. The Hyundai Ulsan dedicated EV factory, currently under construction with the goal of starting operations in the first half of 2026, plans to begin mass production with an electric ultra-large sports utility vehicle (SUV) model, followed by a variety of other vehicle types. Strategic investments will be allocated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key future businesses, including autonomous driving, software (SW),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When classified by business sector, the investment in the finished vehicle sector amounts to 16.3 trillion KRW. In addition to the finished vehicle sector, 8 trillion KRW will be invested in other sectors such as parts, steel, construction, finance, and other businesses to discover new ventures and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core businesses. A Hyundai Motor Group official stated, "To realize humanity's dream of 'safe and free mobility and a peaceful life,' we will continue to secure future growth drivers through active investments, constant improvement of ou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hanges and innovations, without being shaken by internal and external business environment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09 14:37:3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영양군, 2025년 신년 언론관계자 간담회 개최

영양군(군수 오도창)은 2025년 을사년(乙巳年) 새해를 맞이해 1월 9일 영양군청에서 언론관계자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간담회는 민선 8기 전반기 △공모사업 46건, 1,784억 원 예산 확보 △농민수당 58.7억 원 지급 △전국 최대 규모의 계절 근로자(994명) 확보했으며, △자작나무숲 관광지 명품화사업(47억 원) 및 치유누리길 조성(8.9억 원) △밤하늘 청정 에코촌 조성사업(120억 원) △장구메기습지 보호지역 지정 등 생태관광 일번지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또한 '산나물축제' 및 'HOT페스티벌' 등 지역 대표 축제를 통해 400억 원 이상의 경제효과를 창출했고 지난 해 처음 개최한 '꽁꽁 겨울축제'는 3만여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등 축제의 다각화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했고 △LPG배관망 보급 △노후생활기반 조성 △농촌공간 정비 사업 △건강검진비 지원사업(1,820명) △바로민원처리반 등 정주여건 개선, △국도 31호선 선형개량사업(1,068억 원) △답곡터널, 자라목재터널 개통 △지방도 920호선 확포장 공사 등 교통'오지'에서 교통'요지'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 등 성과를 설명했다. 민선 8기 전반기 닦은 초석 위에 2025년 새해에는 지방소멸위기 극복을 위해 △전국 최초 '난민 재정착 시범사업'으로 유엔 난민기구를 통해 미얀마 난민 40가족 정착 △영양 소방서 개서로 소방공무원 유입 △300세대 규모 바대들 주거단지 조성 △삼지리 체류형 전원마을 10호 조성 △청기리 정주형 작은농원 20호 조성 등 다양한 시도를 추진하며 △노지고추 스마트 영농기반 조성(252억 원) △논범용화 용수공급체계 구축(215억 원) △엽채류 특구 지정 전문단지(71억 원) △과실전문 생산단지(26억 원) △채소류 스마트팜 확대(55억 원) 등 작물 다각화, △농업근로자 기숙사 설립 △선바위 복합문화형 농특산물 직판장 조성(24억 원) △농산물 유통시설 신축(16억 원) △상품성 제고 지원(20.8억 원) 등 농가는 농사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남북9축 고속도로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반영 △안동~영양~영덕 철도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영양 진입구간 터널화(258억 원) △영양읍 관문도로 4차선 개설(122억 원) △지방도 918호선 선형개량 △마령~산해 위험도로 개선(382억 원) 등 '사통팔달' 영양을 위한 교통사업 추진과 △자작나무숲 에코촌 조성(126억 원) △국립 치유의 숲 유치(75억 원) △국제밤하늘보호공원 '오로라 돔' 및 정원, 커뮤니티공간 조성(120억 원)△칠성 별천지 오토캠핑장 조성(40억 원) △바대들 주거단지 조성 사업(152억 원) △농촌협약사업을 통한 버스터미널 복합화(366억 원) △영양초등학교 운동장 지하 공영주차장 조성(117억 원) △자연재해 위험지구 정비(550억 원) △읍·면단위 실내 체육관 건립 △감북골 국궁장 조성 등 머무르고 싶고, 살기 좋은 영양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을 다짐했다. 오도창 영양군수는 "2025년 을사년은 변화와 도약으로 영양군에 행복을 더하는 해이다."라며 "언론관계자 분들이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앞으로도 지역 발전의 징검다리 역할을 해주시길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2025-01-09 14:37:22 김태우 기자
기사사진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회, 부산중기협동조합 신년 인사회 개최

중소기업중앙회는 8일 중기중앙회 부산회관에서 '2025 부산 중소기업협동조합 신년 인사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신년 인사회에는 ▲허현도 중소기업중앙회 부산울산회장 ▲김병수 부산중소기업협동조합협의회 명예회장을 비롯한 업종별 중소기업협동조합 이사장 30여 명이 한자리에 모여 대한민국 경제의 재도약을 다짐했다. 특히 신년 인사회를 마친 뒤 참석자 전원이 인근 음식점에 방문해 부산시가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지원을 위해 진행 중인 '부산형 착한 결제 캠페인'에 동참했다. 부산형 착한 결제 캠페인은 인근 가게에서 미리 결제하고 재방문을 약속해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상생형 캠페인이다. 허현도 회장은 이 자리에서 "올해는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저출생·고령화와 생산성 감소, 자국 우선주의 확산까지 겹쳐 제조업 강국 대한민국의 성장 엔진이 꺼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소기업인들이 올해를 전망하는 사자성어로 '인내심을 발휘해 어려움을 이겨낸다'는 뜻을 가진 인내외양(忍耐外揚)을 선택했다"며 "현실 고난이 제아무리 크더라도 중소기업계가 힘과 지혜를 모은다면 새로운 성장의 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와 함께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 등으로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소상공인·자영업자의 경영 안정과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부산 지역 중소기업협동조합 61개와 조합원사인 7000여 개 중소기업이 '부산형 착한 결제 캠페인'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겠다"고 밝혔다.

2025-01-09 14:36:13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진도군산림조합-강진군산림조합, 상호기부로 고향사랑기부 동참

진도군은 진도군산림조합과 강진군 산림조합이 고향사랑기부제 상호기부에 동참했다고 밝혔다. 진도군산림조합과 강진군산림조합 임직원들이 강진과 진도에 서로 200만 원씩 기부하면서 지역발전을 응원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진도군산림조합 허용범 조합장은 "고향사랑기부 활성화와 정착을 위해 우리 산림조합 직원들이 마음을 다해 동참했다"라고 전했다. 김희수 진도군수는 "허용범 진도군산림조합장님, 윤길식 강진군산림조합장님을 비롯한 직원분들께서 지역을 위해 고향사랑기부에 동참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기부금은 군민의 복리 증진 사업을 위해 소중하게 사용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진도군 관계자는 "202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진도군 고향사랑기부제 '지정기부'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라고 전했다. 기부에 참여하려면 '고향사랑e음' 사이트에 접속해 '특정사업에 기부하기'를 선택 후 "보배섬 진도의 아이들을 지켜주세요"를 클릭 하면 된다. 또한 가까운 NH농협은행과 지역 농·축협을 방문해도 기부할 수 있고, 기부액 10만 원까지는 전액, 10만 원 초과분은 16.5%의 세액공제 혜택이 있으며, 총 기부액의 30%에 상당하는 답례품을 받을 수 있다.

2025-01-09 14:33:35 이대호 기자
기사사진
양산시, 2024 지역안전지수 생활안전 분야 '1등급' 달성

양산시는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4 전국 지역안전지수' 6개 분야 중 생활안전 분야에서 1등급을 달성하고, 감염병 분야에서 1등급 상승해 전반적인 안전수준이 지난해 보다 나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안전지수는 행정안전부에서 2015년부터 지역별·분야별 안전수준과 안전의식 등 안전 역량을 1~5등급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1등급에 가까울수록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주민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생활안전 분야에서 1등급을 받은 것은 경남도 8개 시 가운데 양산시가 유일하다. 전국 75개 시 중 상위 10% 도시에 부여되는 최우수 등급으로 양산시민의 생활안전은 우리나라 75개 시 중 상위 7위 내로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수치다. 이는 양산시가 2019년부터 추진해 지난해 11월 획득한 국제안전도시 공인 인증과 함께 경찰·소방 등 유관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종합적인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해 온 결과라는 분석이다. 양산시 관계자는 "2024년 지역안전지수 생활안전 분야 1등급 달성은 양산시가 안전한 도시로 성장하는 중간 성과"라며 "현재 부족한 분야에 대해서도 맞춤형 안전 관련 사업의 확대 추진을 통해 시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도시 환경을 조성해 나가는데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5-01-09 14:33:12 손병호 기자
기사사진
사천시, 소상공인 카드 수수료 및 마케팅 지원 추진

사천시는 경기 침체 및 고물가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관내 영세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 도모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특별한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관내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소상공인 카드 수수료 지원 사업과 마케팅 활성화 지원 사업을 각각 시행할 예정이다. 소상공인 카드 수수료 지원 사업의 대상은 사천시에 사업장을 두고 있는 2024년 매출액이 3억원 이하인 소상공인이다. 지원 대상 소상공인에게는 2024년 카드 매출액의 0.5%, 업체당 최대 30만원을 지원한다. 1월 13일부터 2월 14일까지 시청 지역 경제과 및 사업장 소재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을 받는다. 소상공인 마케팅 활성화 지원 사업은 2025년 1월 1일 이후 홍보 마케팅에 소요된 실제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업체당 최대 50만원을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사천시에서 6개월 이상 사업장을 영위하고 있는 2024년 매출액이 3억원 이하인 소상공인이다. 지원 분야는 ▲키워드·배너 광고 ▲중개 플랫폼 수수료 ▲SNS 마케팅 ▲홈페이지 구축 비용 등이며 오프라인 마케팅으로는 ▲현수막·배너·판촉물 제작비 ▲광고 수수료 등이다. 지원을 받으려는 소상공인은 1월 13일부터 3월 21일까지 구비 서류를 갖춰 시청 지역 경제과 및 사업장 소재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신청하면 된다. 소상공인 카드 수수료 및 마케팅 활성화 지원 사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시 홈페이지 '공고/고시/시험'을 참고하거나 지역 경제과로 문의하면 된다. 한편, 지난해는 카드 수수료 지원 사업으로 관내 소상공인 902업체에 1억 8000만원, 마케팅 활성화 지원 사업으로 195개 업체에 9000만원을 각각 지원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지원 사업들이 어려운 시기에 소상공인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2025-01-09 14:32:56 손병호 기자
기사사진
통영시, 정보공개 종합평가 ‘최우수 기관’ 선정

통영시가 행정안전부 주관 '2024년 정보공개 종합평가'에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고 9일 밝혔다. 정보공개 종합평가는 정부와 공공기관의 정보공개를 활성화하고 정보공개제도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2019년부터 행정안전부가 매년 시행하고 있다. 2024년에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등 총 554개 기관을 대상으로 ▲사전정보 공표 ▲원문 정보공개 ▲정보공개 청구처리 ▲고객 관리 ▲제도 운영 총 5개 분야, 11개 지표를 정량·정성 평가 방법으로 평가를 진행했다. 통영시는 5개 분야, 11개 평가지표에서 기초지자체 평균을 웃돌며 골고루 우수한 성적을 거뒀으며, 특히 ▲원문 정보공개-원문 정보공개 충실성 ▲정보공개 청구처리-비공개 세부기준 적합성 ▲고객관리-고객 수요 분석 실적 평가지표에서 만점을 받아 최우수 등급을 받는 쾌거를 이뤘다. 천영기 통영시장은 "2024년 정보공개 종합평가 결과 최초로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는데, 이는 시민의 알 권리를 위한 통영시의 지속적 노력의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사전정보와 원문 공개 분야를 확대·개선해 투명하고 신뢰받는 행정, 최초와 최고로 만드는 새로운 통영을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5-01-09 14:32:44 손병호 기자
기사사진
고환율에 홀로 웃는다...전력기기 업계, 외환 차익으로 수익성 확대 ‘기대'

최근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며 산업계 전반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전력기기 업계에는 수익성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이는 모습이다. 전력기기 사업의 대부분은 해외 사업 확대가 매출 성장을 이끌고 있어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외환 차익 증가 효과를 누릴 것으로 기대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전력기기 기업들이 4분기에도 견고한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내 인공지능(AI) 구동을 위한 데이터센터 증설이 늘어나면서 변압기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전력인프라 교체 필요성은 높아질 것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글로벌 AI산업에서 미국이 패권을 쥐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추가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관측된다. 더욱이 고환율까지 실적 성장의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 2024년 12월 초 비상계엄 사태로 1430원대까지 오른 뒤, 같은 달 19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에서 2025년 금리인하 횟수를 조정하겠다는 발표를 내놓으며 1450원을 돌파했다. 이후 27일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표결 직후 1470원을 돌파했고 현재까지 1450원대 환율을 기록 중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력기기 업계는 북미 매출 증가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를 누릴 것으로 관측된다. 원·달러 환율 상승과 더불어 초고압 변압기 투자 완료 등을 고려할 때 수익성 상승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분석이다. 증권가에서도 전력기기 업계의 4분기 실적이 상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HD현대일렉트릭의 4분기 실적은 매출액 9855억원으로 전년대비 23.6%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능력 확충과 계절성으로 인한 지렛대 효과에 고환율 수혜가 더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3분기 북미 배전변압기의 공백이 있었으나 4분기는 원활한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HD현대일렉트릭 공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10월과 11월 사우디아라비아 기업과 체결한 '380㎸ 고압차단기 및 변압기' 계약에 적용된 환율은 각각 1357.6원과 1295.7원이다. 현재 환율이 1500원선을 뚫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상황에서, 기존 계약의 수익성이 환율 상승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LS일렉트릭의 4분기 매출액은 1조1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2% 오른 수치일 것으로 예상된다. 영업이익은 887억원으로 전년대비 30.3% 증가할 전망이다. 전력인프라 부문에서 북미향 변압기 매출로 고환율 수혜가 있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효성중공업 또한 긍정적인 성과를 거둘 것으로 보인다. 4분기 매출액은 1조4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7%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영업이익은 1258억원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 대비 98.5% 증가한 수치다. 다만 일각에서는 고환율로 인한 국내 경기 둔화 우려 등 불확실한 상황이 여전히 존재해 무조건적인 낙관은 어렵다는 지적도 따른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전력기기 업계 전반적으로 수출 규모가 늘고 있는 만큼 실적 측면에서 고환율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고환율 기조가 지속될 경우 원자잿값 상승 등 사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AI기술 발전, 북미의 노후 전력망 교체를 비롯해 유럽의 재생에너지 확대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전력기기 시장의 호황은 올 한 해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차현정기자 hyeon@metroseoul.co.kr

2025-01-09 14:31:37 차현정 기자
기사사진
"합격" 대학 '이중등록' 금지 원칙…"추가 합격 등록시 유의"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른 박시현 학생은 정시전형에 지원한 A대학에 합격해 등록을 마쳤다. 그리고 얼마뒤 가장 원했던 B대학으로부터 추가 합격 통보를 받았고, 시간이 촉박해 바로 등록했다. 두 대학에 등록한 셈이다. 이래도 될까? 9일 2025학년도 대학 입학전형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시모집에서 합격한 대학에 이미 등록을 한 사람이 다른 대학 정시모집에 충원 합격해 그 대학에 등록하고자 할 경우, 먼저 등록한 대학을 포기한 후 충원 합격 대학에 등록하는 게 원칙이다. 동일 학기에 두 개 이상의 대학에 동시에 등록하면 '이중 등록'이 된다. 이는 교육부 지침에 따라 금지돼 있다. 간혹 수험생들이 단순히 등록 취소 의사만 전달하면 충분하다고 오해하기도 하지만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가 판단하는 등록 기준은 '등록금 납부 여부'이다. 이미 등록한 대학에 취소를 할 경우 단순히 의사 전달만 해서는 안 되며, 등록금까지 환불받아야 등록 취소로 인정된다. 대교협은 이중 등록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대입지원방법 위반 사전예방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일시적인 이중 등록은 처벌 대상으로 간주하지 않으며, 수험생이 즉각적인 시정 조치를 취하면 문제가 해결된다. 그럼에도 이중등록은 다른 수험생들의 입학 기회를 박탈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중 등록으로 인해 충원하지 못한 인원은 그대로 결원이 되기 때문이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특히 충원 합격자 통보 마지막 날의 경우 이중 등록자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등록 의사가 없을 경우 빠르게 등록 포기해서 다른 수험생들에게 기회가 넘어가도록 해야 한다"라며 "이중 등록을 피하는 것은 자신의 입학을 지키는 동시에 다른 수험생들에게도 간절한 기회를 보장하는 일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이현진 메트로신문 기자

2025-01-09 14:30:3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올해부터 월세, 신용카드로 낸다…추가수수료 부담

올해부터 집주인에게 신용카드로 월세를 낼 수 있다. 부동산 임대차 계약에 따른 월세를 신용카드로 납부할 수 있는 서비스가 올해 상반기 내 정식 시행될 예정이다. 기존에는 혁신금융서비스를 신청한 일부 카드사에서만 월세 카드결제가 가능했지만 모든 카드사로 해당 서비스가 확대된다. 금융위원회의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보면 월세·중고거래 등 개인 간 거래에서 카드 거래를 일부 허용키로 했다. 금융위는 사회 변화에 따라 새로운 금융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생겨나는 만큼 이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제도 개선에 나섰다. 월세 신용카드 서비스는 임차인이 임대인 동의를 받아 카드사에 서비스를 신청하고 결제하면 카드사가 임대인에게 임대료를 입금하는 구조다. 월 임차료 납부 한도는 200만원이다. 즉, 연간 최대 2400만원의 월 임차료를 신용카드로 지불할 수 있는 서비스다. 다만, 카드수수료 외에 납부 대행 수수료 1%가 붙고, 체크카드로는 서비스가 불가능하다. 금융위는 지난 2020년 12월 "당장 수중에 현금이 없더라도 카드대금 납부시까지 신용공여를 받을 수 있다"는 취지에서 혁신금융서비스 지정 기업에 월세 신용카드 납부 서비스를 허용했다. 현행법상 신용카드는 금융위에 등록된 개인사업자 번호와 단말기가 있는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지만 예외를 허용해준 것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한 발 더 나아가 모든 카드사가 해당 서비스를 출시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 일각에서는 월세 신용카드 서비스가 활성화될 지 여부는 미지수란 평가도 나온다. 신용카드로 월세를 납부할 경우 기록이 남아 집주인 등 임대인 동의를 받기가 쉽지 않아서다. 더구나, 카드 수수료에 1% 가량을 얹는 추가 수수료도 소비자에겐 부담이다. 금융위는 아직 구체적인 수수료가 확정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2025-01-09 14:30:33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크래프톤, CES2025서 엔비디아와 함께 만든 AI 'CPC'소개

크래프톤이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CES 2025'에서 엔비디아와 공동 개발한 인공지능(AI) 기술 'CPC'를 선보였다. 크래프톤은 지난 8일(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퐁텐블로 호텔에서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탄생한 혁신적인 AI 기술을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강욱 크래프톤 딥러닝본부장은 엔비디아와 개발한 AI 협업모델 'CPC'를 발표했다. 이 본부장은 "CPC는 엔비디아 에이스(ACE) 기술로 구축된 게임에 특화된 온디바이스 소형 언어 모델(On-device SLM for Gaming)을 기반으로 게임 이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캐릭터"라며 "기존 논 플레이어 캐릭터(NPC)와 달리 이용자와 대화하고 협력하며 상황을 유연하게 파악해 대응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크래프톤은 PUBG IP 프랜차이즈와 인조이(inZOI)를 포함한 다양한 게임에 CPC를 확대 적용해 이용자 경험 혁신을 이어가겠다"며 "CPC가 게임 업계의 새로운 기준점이 될 수 있도록 최적화와 표준화 작업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AI 기술이 게임 산업에 가져올 큰 변화를 믿고 엔비디아와의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지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행사에서는 CPC가 적용된 PUBG IP 프랜차이즈와 인조이의 시연 영상도 공개했다. 먼저 PUBG IP 프랜차이즈 영상에서는 이용자와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고, 상황에 맞춰 전략을 세우며 플레이 스타일을 세밀하게 조정하는 등 고도화된 작업을 수행하는 'PUBG Ally'의 모습을 담았다. 인조이 영상에서는 '스마트 조이(Smart Zoi)'를 선보였다. Smart Zoi는 사람처럼 특색 있는 성격과 감정을 지닌 CPC로 이용자와의 깊이 있는 상호작용을 통해 높은 몰입감과 생동감 넘치는 시뮬레이션 경험을 제공한다. 크래프톤은 CPC가 적용된 게임을 최초로 체험할 수 있는 시연대를 마련해 참석자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었다.

2025-01-09 14:29:31 최빛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