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포스코그룹, 세상에 가치를 더하는 '대학생 브랜드 앰배서더 6기' 모집

포스코그룹이 '포스코그룹 대학생 브랜드 앰배서더'(이하 포대앰)를 5년 만에 재개하고 참여 대학생을 모집한다. 포대앰은 포스코가 미래세대와의 소통을 위해 2015년 발족한 대학생 기자단으로, 2019년까지 5년간 총 92명의 수료생을 배출한 뒤 코로나19로 인해 잠정 중단되었다. 포스코그룹은 엔데믹을 맞아 기존 프로그램을 한층 업그레이드하여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재개하기로 했다. 포대앰 6기는 기존의 기자단 활동을 넘어 포스코그룹의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고 브랜딩 캠페인을 직접 기획하는 홍보대사로 활동 범위를 넓힌다. 포대앰 6기에 선발되는 멤버들은 오는 3월부터 약 6개월간 포스코그룹의 브랜드 슬로건 '세상에 가치를 더합니다, Green Tomorrow With POSCO'를 전파하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하게 된다. 포스코그룹은 멤버들이 6개월간 의미 있는 경험을 통해 브랜딩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실무자 멘토링은 물론, 인당 월 50만 원의 활동비와 각종 인센티브를 지급한다. 브랜딩 캠페인 기획 최우수 팀에게는 500만 원의 상금도 수여한다. 특히 과거 포대앰 5기까지 철강회사 포스코 및 철과 관련한 콘텐츠 제작에 주력했던 것과 달리, 6기는 포스코그룹의 이차전지소재, 트레이딩/에너지, 건설 등 여러 사업회사와의 협업을 통해 보다 더 다양한 사업 분야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포스코그룹 사업장 탐방, 스포츠 경기 관람, 미션 콘테스트 등 다채로운 오프라인 활동을 병행하면서 멤버들 간의 활발한 교류도 이뤄질 예정이다. 포대앰 6기 모집 대상은 서울을 중심으로 활동이 가능한 대학교 재·휴학생 으로, ▲영상기획(대본작성/연출) ▲영상촬영 ▲영상편집 ▲영상참여(연기/MC) 등 분야별로 세분화해 모집한다. 참여를 희망하는 대학생은 포대앰 공식 사이트에서 지원서를 작성한 뒤 2월 25일까지 제출하면 된다. 1차 전형 결과는 공식 사이트와 개별 안내를 통해 발표된다.

2024-02-14 09:51:21 김상복 기자
기사사진
경북지식재산센터, 'IP나래 및 중소기업 IP 바로지원 사업' 수혜기업 모집

포항상공회의소(회장 문충도) 경북지식재산센터는 지난 2월 13일 2024년 상반기 'IP나래 프로그램'과 '중소기업 IP 바로지원'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IP나래 프로그램 사업은 본사 기준 포항시, 경주시, 영천시, 경산시, 영덕군, 청도군, 울진군, 울릉군 등 경북도내 8개 시군에 소재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며, 창업기업의 지식재산(IP) 역량 강화를 통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성장 가능한 기업이 되도록 IP(지식재산) 전문 컨설팅을 지원한다. IP나래 프로그램 사업은 올해부터 지원자격이 창업후 7년 이내 중소기업을 포함하여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 등 23개 신산업분야의 경우 창업후 10년 이내 중소기업까지 지원범위가 확대되었고, 이번 1차 모집기간은 2월 6일부터 3월 4일까지이다. 중소기업 IP 바로지원 사업은 경영현장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IP(지식재산) 애로사항을 적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맞춤형 사업으로, 지난 5일부터 예산 소진시까지 연중 수시로 모집하며, 본사 기준 경상북도내에 소재한 모든 중소기업은 지원할 수 있다. 중소기업 IP 바로지원 사업의 수혜기업으로 선정될 시 특허맵, 특허기술홍보영상, 디자인개발, 브랜드개발, 국내출원비용, 해외출원비용(PCT) 등의 세부 지원사업을 1년간 최대 2건, 2천만원 범위내에서 종합적으로 지원한다. 경북지식재산센터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기술기반 창업기업의 시장생존력을 높이고 중소기업의 지식재산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청을 원하는 기업은 지역지식재산센터 사업관리시스템에 회원가입 후 해당 공고를 확인하여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되며, 신청에 관한 문의는 경북지식재산센터로 하면 된다.

2024-02-14 09:50:46 이상호 기자
기사사진
영주시,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위한 준비 박차

영주시는 지난 2월 13일 오후 시청 제1회의실에서 기회발전특구 지정 신청을 위한 '영주시 기회발전특구 기본계획 및 전략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기회발전특구는 정부의 핵심 균형발전정책 중 하나로, 지방에 기업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세제 및 재정지원, 규제특례, 정주여건 개선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구역이다. 이날 보고회는 송호준 영주부시장, 심재연 영주시의회 의장을 비롯한 시의원, ㈜베어링아트, SK스페셜티(주), 영주상공회의소 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용역사의 기본계획 설명과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시는 2024년 상반기 기회발전특구 지정 신청을 목표로 이번 용역에서 ▲특구 지정을 위한 영주시 현황 및 산업 분석 ▲영주형 기회발전특구 전략 수립 ▲특구 내 기업 수요예측 및 영향 요인 조사 ▲영주시 특화형 지원 및 규제개선 사항 발굴 등을 수행한다. 송호준 영주부시장은 "기회발전특구 지정은 영주시의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유일한 방안"이라면서, "상대적으로 낙후된 경북 북부지역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 영주형 기회발전특구 전략을 신속히 마련해 특구 지정에 차질이 없도록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2024-02-14 09:49:20 김동국 기자
기사사진
종합청렴도 ‘2년 연속 2등급’ 고양시…‘청렴 1번지’ 노린다

- 2년 연속 종합청렴도 '우수' …청렴체감도 상승하며 청렴도시 입지 굳혀 - 반부패·청렴 신규시책 다양화…'청렴 최우수기관' 도약의 해로 - 자체감사 내실화, 사전예방 감사시스템 운영…신뢰받는 감사행정 추진 이동환 시장 "시민 눈높이 맞는 청렴시책 추진해 청렴특례시 만들겠다" 고양시는 국민권익위원회에서 실시한 '2023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경기도 특례시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2등급을 달성했다. 시는 반부패·청렴 정책을 확대하고 자체감사 내실화와 실효성 있는 사전예방 감사체계 운영으로 올해 청렴1등급을 달성해 청렴특례시로 도약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시민 눈높이에 맞춰 더 높은 수준의 청렴도를 달성하기 위해 부패취약 분야 개선 등 다양한 청렴시책을 발굴·추진하고 효과적인 사전감사체계를 운영해 올해는 청렴 최우수기관으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2년 연속 청렴도평가 2등급 달성…청렴도시 입지 굳혀 공공기관 종합청렴도평가는 매년 국민권익위원회에서 공공기관의 청렴수준을 평가해 청렴인식과 문화를 확산시키기 위해 실시한다. 각급 기관별로 청렴체감도와 청렴노력도, 부패실태를 종합 평가해 국민에게 공개한다. 고양시는 이번 종합청렴도평가에서 전국 시 단위 평균보다 5.6점이 높은 82.2점을 받아 지난해에 이어 우수등급에 해당하는 종합청렴도 2등급을 달성했다. 특히 지난해보다 청렴체감도가 한 단계 상승하며 국민권익위원회 주관 종합청렴도 평가 최초로 청렴체감도와 청렴노력도 모두 2등급을 받았다. 청렴체감도 향상에는 공직사회 청렴 일상화를 통한 내부체감도 향상이 효과를 나타냈다. 시는 부정청탁, 갑질, 이해충돌 사례 등을 웹툰과 카드뉴스 형식으로 제작, 내부 인트라넷에 제공해 업무를 시작하는 직원들이 자연스럽게 청렴한 마음가짐을 가지고 법률 지식을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매주 수요일 아침이면 사무실 내에서 활기찬 음악과 함께 생활 속 청렴이야기 등을 담은 청렴콘텐츠가 흘러나오도록 '청렴방송'을 진행해 직원들의 청렴의식을 높이고 있다. 청탁금지법, 이해충돌방지법 등을 주제로 한 청렴 골든벨과 시민·공직자가 공감할 수 있는 창의적인 반부패·청렴 슬로건을 제안하는 공모전, 기업인과 함께하는 청렴교육, 청렴 캘리그라피 액자 제작 등 부서별 특성을 살린 자율적인 청렴시책들도 내부청렴도를 높였다. ◆엠지세대 토크콘서트 등 신규시책 다양화…청렴'최우수기관'정조준 시는 올해 시민이 공감하고 신뢰하는 청렴 '최우수기관'도약을 목표로 반부패·청렴 정책을 보다 다양하게 추진할 방침이다. 먼저 공직사회 내 세대간 가치관을 이해하고 상호 존중하는 조직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간부공무원과 엠지(MZ)세대 공무원을 대상으로 청렴토크콘서트를 새롭게 진행한다. 이동환 고양시장이 직접 무대에 올라 직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청렴을 주제로 대담을 이어갈 계획이다. 또 갑질문화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를 진행해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신규공무원들에게는 기관장이 친필로 청렴서한문을 전달해 시 구성원으로서 청렴실천의지를 높인다. 지난해 시작된 청렴방송은 직원들이 직접 방송문안 공모부터 녹음, 방송까지 참여하도록 해 공직사회에 '청렴의 일상화'를 뿌리내릴 계획이다. 더불어 외부체감도 향상을 위해 시 산하기관과 청렴협의체 운영을 강화해 기관별 청렴시책을 공유하고 민간 기업과 소통하는 청렴거버넌스 간담회도 확대한다. 버스정보시스템에는 청렴문구를 표출해 시민들의 청렴인식을 높이는 등 다양한 청렴활동으로 지역사회 전반에 청렴문화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실효성 있는 사전 예방 감사 시스템 운영…시 재정 건전성 확보 자체감사는 내실화해 공정하고 투명한 감사행정을 추진할 방침이다. 올해는 18개 기관 중 상반기는 도로건설사업소와 덕양구청, 하반기는 일산동구청과 고양도시관리공사 종합감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시는 올해 감사계획을 시 홈페이지에 미리 공개해 관련 제보를 적극수렴하고 공직비리 신고 활성화를 위해'공직비리 익명신고시스템'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시정운영과 시민생활에 밀접한 분야는 특정감사를 실시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사전 개선한다. 상반기에는 재정운용실태와 지방보조금을 점검해 재정건전성을 확보하고 하반기에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노후 교량 등 공공시설물 안전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할 계획이다. 아울러 다양한 분야의 전문지식과 실무경험을 갖춘 '시민감사관'과 '외부전문가'를 적극 활용한다. 현재 전문분야 15명과 일반분야 5명, 총 20명으로 구성된 제6기 시민감사관이 활동 중이며 9월에는 제7기 시민감사관 20명을 새로 위촉할 예정이다. 주요정책 집행에 앞서 일상감사와 계약심사 시행으로 집행, 계약, 예산관리 등의 적법성?타당성을 사전점검해 예산을 절감하고 사업 효율성을 높인다. 자체발주한 주요 공사장은 전문가 합동 멘토링을 진행한다. 공사현장의 감독관 부당행위 여부, 설계도면 적정시공 여부, 위험요소 등을 확인해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시공사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공익신고제도를 안내해 업무 효율성을 높일 예정이다.

2024-02-14 09:49:08 안성기 기자
기사사진
서울우유협동조합, 단백질시장 성장세에 관련 제품군 누적 매출 1000억 돌파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서울우유 단백질 제품군 누적 매출액이 1000억원을 돌파했다고 14일 밝혔다. 서울우유는 그동안 유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꾀하는 한편 건강, 체력 관리에 대한 높아진 소비자 니즈 및 헬시플레저 트렌드에 주목하며 고품질의 우수한 국산 원유를 사용한 단백질 신제품을 선보였다. 서울우유 단백질 제품군 가운데 '고단백 저지방' 우유는 지방 함량은 낮추고 기존 우유 대비 단백질 함유량이 1.8배 높인 기능성 우유다. 출시 1년 만에 연간 누적 판매량 4600만개 돌파, 하루 평균 12만8000개(200ml 기준)의 판매고를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이와 함께 단백질 55g을 함유한 '프로틴 우유'와 에너지 충전에 심혈을 기울인 '프로틴 에너지' 2종(초코, 커피), 동·식물성 균형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 9가지를 함유한 '초유탄탄 프로틴 플러스', 슬라이스 치즈 중 가장 높은 단백질을 함유한 '고단백치즈' 등 다양한 단백질 제품들이 매출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하며 소비자들에게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서울우유협동조합 이규정 마케팅본부장은 "서울우유는 소비자 신뢰를 바탕으로 다양한 카테고리의 단백질 제품군을 선보였다"며 "전 연령층이 건강 관리에 진심인 만큼 소비자 니즈를 세분화 하고 평소 식사만으로는 부족한 단백질 및 각종 영양성분을 간편하게 보충할 수 있도록 제품 다각화를 위한 연구, 개발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울우유 제품은 전국 일반 유통점 및 서울우유 공식 온라인몰 '나100샵' 등의 채널에서 구매 가능하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

2024-02-14 09:39:12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삼성자산운용, KODEX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 상장

삼성자산운용은 국내 최초로 글로벌 비만치료제 기업으로만 구성된 KODEX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 상장지수펀드(ETF)를 상장한다고 14일 밝혔다. KODEX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 ETF는 비만치료제의 선두 주자인 노보노디스크와 일라이릴리를 각 25%씩 담는다. 유럽 시가총액 1위인 노보노디스크는 '위고비'로 유명한 비만치료제 시장의 개척자로서 2023년 시장 점유율이 94%에 달하는 핵심 회사다. 일라이릴리는 현재 전 세계 헬스케어 분야의 시가총액 1위 제약사로 골드만삭스는 2030년 비만치료제 시장에서 일라이릴리가 풍부한 재원과 시스템 등을 활용해 약 50%의 점유율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미국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에서 비만 치료제로 임상 중인 글로벌 제약사 8개를 선별해 동일 가중방식으로 투자한다. 이 중에는 임상결과에 따라 기술 수출 기대감 등으로 잠재 성장률이 높은 4개의 강소제약사 기업도 포함된다. 이미 세계적인 제약사인 베링거인겔하임과 비만치료제 개발 관련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한 덴마크의 질랜드 파마, 지난 2월 긍정적인 비만치료제 임상 1상 종합 결과를 발표해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의 높은 관심이 예상되는 미국 바이킹 테라퓨틱스 등이 포트폴리오에 포함된다. KODEX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가 동일 가중방식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것은 단순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종목을 선별해 투자할 경우 비만치료제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강소제약사를 충분히 담지 못하는 한계를 고려한 것이라고 삼성자산운용은 설명했다. 세계비만재단인 아틀라스의 2023년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81억 명 중 10억 명이 비만 인구다. 이후 2035년엔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비만과 과체중으로 분류될 만큼 비만은 헬스케어 분야에서 주된 영역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골드만삭스는 비만치료제가 2023년 60억 달러 수준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50%의 성장률을 보이며 약 1000억 달러(136조원) 시장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천흥 삼성자산운용 매니저는 "비만 치료제 시장은 이제 개화하는 단계로 세계적으로 높은 수요가 예상된다"며 "미국 FDA와 유럽 EMA 승인 혹은 임상 중인 기업으로만 ETF를 구성해 높은 시장 성장세가 상품에 직접 반영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데 중점을 뒀다"고 말했다. KODEX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 ETF는 iSelect 글로벌 비만치료제 TOP2 Plus를 기초지수로 한다. 구성종목은 10개, 매년 6월과 12월 정기 지수변경을 진행하며 총 보수는 연 0.45%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2-14 09:34:40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비수기 2월에 '전국서 3만 가구' 서둘러 분양 나선 이유가?

통상 분양 비수기로 통하는 2월에 전국에서 3만 가구가 넘는 아파트가 공급된다. 지난해 미뤘던 분양 물량이 포함됐지만, 이례적으로 많은 물량이다. 특히 수도권에서만 지난해 대비 3배에 달하는 1만7000가구가 분양이 예정되면서 2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이달 전국에서 36개 단지, 3만645가구(임대 포함)가 신규 분양될 예정이다. 수도권에 분양 예정 물량은 1만6645가구로, 관련 조사가 시작된 2000년 이후 2월 기준으로 가장 많은 물량이다. 지역별로 경기(8700가구)가 가장 많고, 이어 서울(4485가구), 인천( 3460가구) 등이 뒤를 이었다. 수도권 분양 물량은 지난달(1만7255가구)보다는 감소했지만, 지난해 동기(5435가구) 대비 3배 증가했다. 지방은 광주(4045가구)에서 분양 물량이 가장 많고, 충북(2330가구), 전북(1914가구) 경북(1668가구), 부산(1532가구), 충남(1363가구) 순으로 나타났다. 대전과 울산, 강원, 경남, 세종은 예정된 분양 물량이 없다.분양 시장에선 내달 청약제도 변경에 따른 청약홈 홈페이지 운영 중단과 4월 총선 등의 영향으로 건설업계가 분양 물량을 이달로 앞당기면서 분양 물량이 급증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지난해 미뤘던 분양 물량까지 이달에 예정되면서 분양 물량이 더 늘어났다. 다만 분양 예정 물량이 실제 공급될지 미지수다. 전반적인 주택 경기 침체에 고금리 장기화 분양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주택 수요가 줄면서 건설업계가 분양 일정으로 고심하고 있기 때문이다.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통상 2월에 분양을 하지 않지만, 올해는 3월 청약홈 홈페이지 개편부터 4월 총선 전까지 분양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일부 사업장만 이달로 분양을 앞당겼다"며 "나머지 사업장에 대해서는 분양 일정을 총선 이후로 미루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실제 한국부동산원은 청약제도 관련 규칙 개정에 따라 내달 4일부터 22일까지 청약홈 홈페이지를 개편한다. 다자녀 기준을 3자녀에서 2자녀로 바꾸고, 배우자 통장 가입 기간 합산, 신생아 특별공급 신설 등 청약제도 변경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서다. 전문가들은 예정된 물량이 실제 공급될지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2024-02-14 09:31:38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전월 넘어서…송파 대단지 인기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지난해 12월 수치를 넘어서면서 주택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매매량이 많은 아파트를 살펴보니 대체로 정주 여건이 좋은 송파구, 강동구, 양천구 등의 대단지로 나타났다.14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전날 기준 1월 서울 아파트 매매는 1937건으로 전월 1826건을 넘어섰다. 1월 거래는 2월 말까지 집계되는 만큼 월말까지 몇 백 건이 더 추가될 수 있다.송파구(139→151건), 강남구(96→110건), 성동구(80→91건), 영등포구(79→85건), 동작구(76→104건), 마포구(70→88건), 서대문구(70→75건) 등에서 이미 전월 실적 넘어선 상황이다. 올 들어 서울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아파트를 줄 세워 보면 교통이나 학군이 우수하거나 신축이라 실거주가 편리한 대단지 아파트가 주를 이뤘다.부동산 정보업체 아실에 따르면 올 들어 서울에서 많이 팔린 아파트를 보니(임대 제외) 서울 송파구 잠실동의 잠실엘스(5678세대)·리센츠(5563세대)와 가락동 헬리오시티(9510세대)가 각각 13건으로 최다였다.송파구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5539세대, 12건)이 그 다음을 차지했다. 강동구 상일동 고덕아르테온(4066세대)과 양천구 신월동 신월시영(2256세대), 목동센트럴아이파크위브(3045세대)가 각각 10건으로 집계됐다. 한편 정주여건이 좋은 신축, 지역 대장단지 선호는 지난해부터 이어지는 추세다. 2023년 한 해 동안 많이 팔린 아파트를 봐도 올해 거래량 상위권에 명단에 이름을 올린 아파트와 많이 겹친다.헬리오시티가 318건으로 1위에 올랐다. 강동구 고덕동 고덕그라시움(4932세대, 230건), 송파구 신천동 파크리오(6864세대, 225건), 목동센트럴아이파크위브(183건), 리센츠(150건), 강북구 미아동 SK북한산시티(3830세대, 139건), 잠실엘스(129건), 관악드림타운(3544세대, 120건), 강동롯데캐슬퍼스트(3226세대, 119건), 고덕래미안힐스테이트(3658세대, 117건) 등에서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2024-02-14 09:30:37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증시 개미군단 6兆 규모 저PBR株 집중 매도 나선까닭은?

개미 군단이 이달 들어 유가증권시장에서 6조원 넘는 매도 폭탄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매도세가 저PBR(순자산비율)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부 정책 발표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는 가운데서도 최근의 주가 상승을 차익 실현 기회로 활용하는 모습이다.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들은 이달 들어 코스피에서 6조5686억원을 순매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 들어 지난달 말까지 2조8611억원을 순매수하던 흐름과 사뭇 대조된다. 개인 투자자들이 순매도 상위에는 52주 신고가 랠리를 펼치고 있는 기업들이 대거 이름을 올렸다. 실제 개인은 이달 들어 현대차(1조7699억원), KODEX레버리지(5042억원), SK하이닉스,(4229억원), 기아(3401억원), 삼성전자우(3354억원), 삼성물산(3264억원), 삼성전자(2811억원), KB금융(2461억원), SK스퀘어(1866억원), 한미반도체(1766억원), 삼성생명(1708억원), 하나금융지주(1490억원), 신한지주(1425억원) 등을 주로 팔았다. 상장지수펀드(ETF)인 KODEX레버리지와 삼성전자 등을 제외하면 모두 이달 들어 52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기업들이다. 특히 현대차의 경우 대표적인 저PBR주로 주목을 받으면서 전날 장중 26만1000원까지 올라 지난 2021년 1월26일(26만500원) 이후 약 3년 만에 최고가를 경신했다. SK하이닉스 역시 전날 15만원에 마감해 종가 기준 2000년 11월16일(수정주가 15만1148원) 이후 23년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랐다.이밖에 삼성전자우, 삼성물산, KB금융, 한미반도체, 삼성생명, 신한지주 역시 전날 52주 신고가를 다시 썼고 기아, SK스퀘어, 하나금융지주는 지난주 52주 신고가를 기록한 바 있다. 개인이 이들 기업을 대거 팔아치우고 있는 것은 연초 부진을 겪던 지수가 지난달 중순을 기점으로 가파르게 오르자 일부 차익 실현에 나서며 포트폴리오를 재정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 등 저PBR주에 대한 관심은 유효하지만 단기 급등에 따른 매물 출회 가능성 및 업종별 순환매 장세 가능성을 염두에 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개미 군단이 팔아치운 물량은 대부분 외국인들이 받아냈다. 외국인은 이달 들어 코스피에서 5조4044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특히 현대차(1조4060억원), SK하이닉스(4804억원), 삼성전자(4550억원), 기아(3798억원), 삼성전자우(3492억원), 삼성물산(2817억원), KB금융(2675억원), 하나금융지주(1732억원), 한미반도체(1456억원), SK스퀘어(1416억원) 등을 사들였다. 순매수 상위 종목 대부분이 개인 순매도 상위 종목과 일치했다.

2024-02-14 09:30:36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제주반도체 주가 고공행진 어디까지 가나?

올해 '온디바이스 AI' 시장이 급속도로 확산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제주반도체의 주가가 거침없다. 제주반도체는 모바일용 메모리 생산기업으로, 온디바이스 AI의 핵심 메모리 LPDDR(저전력 더블데이터레이트)을 생산하고 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제주반도체의 주가는 2만99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장 초반 6% 넘는 강세를 보인 제주반도체의 주가는 나흘 동안 20% 이상 올랐다. 이에 앞서 지난해 11월 중순 4000원대에서 거래되던 제주반도체는 '온디바이스 AI' 수혜주로 알려지면서 주가가 지난 1월말 장중 3만8550원까지 치솟았다. 불과 2개월 반만에 주가가 8배 넘게 급등한 것이다. 이에 제주반도체는 지난달 25일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되고, 전날 투자주의 종목에도 이름을 올렸다. 단기 급등으로 이달 초 제주반도체의 주가는 조정 국면을 겪었지만, 최근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ARM이 호실적에 나흘 만에 주가가 2배 급등하면서 반도체 테마에 대한 투심이 쏠렸다. 이런 가운데 올해부터 온디바이스 AI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LPDDR 수요 확대 기대감에 제주반도체에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몰린 것으로 뉴시스는 보도했다.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온디바이스 AI 시장 선점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향 차세대 D램인 'LPCAMM(LowPower Compression Attached Memory Module)'를 놓고 경쟁을 하고 있다. LPCAMM은 저전력이 특징인 LPDDR 칩을 여러 개 묶어 고용량 모듈로 구현한다. 이러한 이유로 LPCAMM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노트북 등 전력 효율성과 공간 절약이 중요한 IT기기에 필수 제품으로 알려져 있다. 오강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LPCAMM 탑재 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가장 큰 고민거리인 탑재 면적을 최대 60% 축소할 수 있다"면서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에 맞게 성능은 최대 50%, 전력 효율은 70%까지 개선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이어 "D램 3사(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는 LPCAMM이 가진 장점을 통해 온디바이스 AI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고, 고객사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기술 경쟁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제주반도체는 LPDDR4(저전력 더블데이터레이트)를 생산해 고객사에 공급하고 있다. 제주반도체는 지난 2018년 512M LPDDR2를 시작으로 1G LPDDR2(2019년), 2G LPDDR(2020년) 등을 개발했다. 연내 출시를 위해 신제품 LPDDR5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온디바이스 AI가 적용된 AI PC, AI 스마트폰은 메모리 반도체 수요를 촉발하는 새로운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기기에서 AI 지원하기 위해서는 고성능, 고용량 하드웨어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기당 메모리 채용량이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2024~2025년 생성형 AI는 온디바이스 AI를 통해 급속히 확산될 전망"이라며 "클라우드 연결 없이 구현되는 온디바이스 AI는 개별 기기(스마트폰·노트북 등)에서 맞춤형 데이터 제공이 가능하고, 보안 강화에 유리해 AI 보편화의 결정적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향후 AI 반도체 시장은 고성능 저전력 메모리와 주문형 반도체(ASIC) 개발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지난해 2900만대였던 전세계 AI탑재 PC와 생성형 AI탑재 스마트폰 출하량은 올해 총 2억950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2024-02-14 09:21:03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슈로더 그린코트, 영국 최대 태양광 포트폴리오 '투칸 에너지' 인수

-슈로더 그린코트,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 특화 운용사 -영국 최대 규모의 태양광 포트폴리오 확장 슈로더투자신탁운용은 슈로더 그룹 산하의 신재생 에너지 전문 운용사 슈로더 그린코트가 영국의 투칸 에너지(Toucan Energy)를 약 7억 파운드(한화 약 1조1770억원)에 인수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거래는 영국에서 거래된 태양광 포트폴리오 중 최대 규모로 슈로더 그린코트는 영국에서 가장 큰 태양광 발전단지 자산을 보유하게 된다. 슈로더 그린코트는 신재생 에너지 섹터의 전문성을 살려 투칸 에너지의 안정적인 청정 전력 생산을 보강하고, 자산운용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팀을 꾸려 자산의 장기적 재무 건전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투칸 에너지는 영국에서 가동되는 53여 곳의 태양광 발전단지를 보유한 기업이다. 영국의 잉글랜드와 웨일스, 북아일랜드 전역에 분포해 있는 태양광 발전소의 최대 발전 능력을 합산하면 총 513.MWp에 달한다. 이는 영국에 거주하는 3인 가구를 기준으로 환산했을 때 18만4000여 가구가 사용하는 연간 전력량과 맞먹는다. 이번 인수는 슈로더 그린코트가 운용해 온 펀드 '그린코트 솔라 II LP'와 '그린코트 신재생 에너지 인컴 LP' 등을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투칸 에너지의 대주주 지분을 인수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슈로더 그린코트에 위탁 계약을 체결한 영국 지방 정부의 연기금 펀드 6곳도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 펀드 '슈로더 그린코트 웨식스 가든스 LP'를 통해 이번 인수에 참여했다. 일본의 대형 리스 회사인 도쿄 센츄리는 공동 투자자 역할을 수행한다. 리 모스코비치 슈로더 그린코트 파트너는 "이번 인수는 슈로더 그린코트가 강조하는 신재생 에너지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고히 하고, 강력하게 확장해 나가는 단계"라며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할 뿐 아니라, 나아가 영국의 탄소 중립 전략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게 돼 기쁘다"라고 말했다. 슈로더 그린코트는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 섹터에 특화된 유럽의 대형 운용사로 2009년 설립됐다. 현재 영국을 포함한 유럽과 미국에서 풍력, 태양광 등 300개 이상의 인프라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2023년 6월 기준 운용자산(AUM) 규모는 약 15조254억원(90억 파운드)에 달한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4-02-14 09:21:00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팬오션, 주가 급등에도 추가 상승여력 충분" -대신증권

대신증권은 14일 팬오션에 대해 단기 주가 급등에도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분석했다. 이에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6500원을 유지했다. 양지환 대신증권 연구원은 "팬오션은 HMM 인수협상 결렬로 증자 리스크가 해소되며 단기간에 주가가 크게 상승했지만 기간 조정 후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한다"며 "2024년 건화물 시황이 하반기로 갈수록 강세로 전환 가능성 높고, 2024~2025년 9척의 LNG선 도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는 영업이익만 1000억원 이상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올 하반기부터 IMO의 환경규제 강화로 인해 선령 10Y 미만의 선박을 보유한 선사들의 실적 차별화가 가능한 것과 현 주가가 올해 추정 실적 기준 주가순자산비율(PBR) 0.5배 미만으로 하락 리스크가 제한적인 점을 이유로 들었다. 대신증권은 올해 팬오션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며 1분기를 매수 기회로 삼으라고 조언했다. 양 연구원은 "1분기 실적을 저점으로 2분기부터 실적 개선이 전망된다"며 "2분기 말부터는 탄소집약도지수(CII) 등급 발표와 노후 선박에 대한 하주들의 기피 현상이 시황 회복 강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2-14 09:20:28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이어 저가항공 에어부산-에어서울 합병?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EC)가 지난 13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을 승인함에 따라 국내 저비용항공사(LCC) 업계에도 지각 변동이 예상된다. 업계에선 내년 이후 LCC 업체들간 매출 1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본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을 마무리 한 뒤 통합 저비용항공사(LCC) 출범을 추진한다. 진에어를 중심으로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을 합해 한진칼→통합 FSC(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통합 LCC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어떤 방식으로 통합할 지 여부는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단 진에어가 아시아나항공이 보유한 에어부산과 에어서울의 지분을 먼저 인수한 뒤 인력과 장비를 통합하는 시나리오가 유력하다.통합 LCC 규모는 현 아시아나항공 수준에 근접한다. 진에어 27대, 에어부산 21대, 에어서울 6대를 합칠 경우 총 54대의 기재를 운영할 수 있다. 이는 현 아시아나항공의 68대(지난해 3분기 기준) 수준에 버금 간다.동시에 제주항공 42대, 티웨이항공 30대와도 격차가 크게 벌어진다. 이 통합 LCC 출범으로 인해 업체간 점유율 경쟁이 더 치열해질 수 있고, 이는 항공산업의 새판 짜기로 이어질 수 있다. 제주항공은 1위 수성을 위해 화물사업 확대를 추진한다. 아시아나항공의 화물사업을 차지할 경우 연 평균 매출이 1조원 이상 늘어날 수 있는 만큼 화물사업 확보에 총력전을 펼칠 방침이다.티웨이항공은 인천~파리, 인천~프랑크푸르트, 인천~로마, 인천~바르셀로나 노선 등 대한항공이 합병을 위해 EU에 반납하는 운수권과 슬롯을 넘겨받아 장거리 운항을 본격화한다. 티웨이항공은 유럽 노선 취항을 위해 프랑스 파리 국제공항 지상직 채용을 실시하는 한편 대한항공으로부터 A330-200 기재 5대를 대여받고, 2027년엔 A330-300을 포함한 장거리 기재를 20대까지 늘려 경쟁력을 갖춘다는 구상이다.

2024-02-14 09:19:27 최규춘 기자
기사사진
최승필 한국외대 교수, 입법이론실무학회 회장 선출

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박정운)는 최승필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2023 사단법인 입법이론실무학회 동계 공동학술대회 및 정기총회'에서 신임 회장으로 선출됐다고 14일 밝혔다. 임기는 2024년 1월 1일부터 2년이다. 최승필 교수는 한국외대에서 법학 학사와 공법 석사를 취득하고, 1994년부터 한국은행 이코노미스트로 활동했다. 이후 2004년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에서 행정법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2007년부터 한국외대 법학전문대학원에서 행정법과 금융경제법을 강의하고 있다. 한국외대 기획조정처장, 홍보실장을 지냈으며, 현재 한국외대 법학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국회, 법제처, 감사원, 외교부, 국방부 등 다양한 기관에서 활동해 온 최승필 교수는 금융위원회 금융발전심의위원, 금융감독원 감독총괄자문위원, 금융정보분석원 자금세탁 및 테러자금방지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아울러 대교협 대학평가위원, 서울대 재정경제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법의 지도(2016), 법의 균형(2022)이 있으며, 공저 포함 15권의 저서를 출간했다. 입법이론실무학회는 국회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입법에 있어서 입법 분야 및 대상, 입법과정, 법률·대통령령·부령·조례에 대한 평가를 순수 학문적 이론은 물론 실무적 관점에서 다루는 학회이다. 최승필 신임 회장은 "국회 및 정부 그리고 법원과의 긴밀한 협력을 기반으로 입법과 행정의 발전을 도모함과 아울러 기업을 포함한 경제주체들과도 상호협력을 통해서 글로벌 무한경쟁 시대에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2-14 09:06:53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경희사이버대, 17일 ‘석사학위논문 내용 발표 및 논문 작성법 Q&A’ 특강

경희사이버대학교(총장 변창구) 문화창조대학원 미래 시민리더십·거버넌스 전공은 오는 17일 전공 재학생 및 이번 학기 신입생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내용 발표 및 논문 작성법 Q&A'라는 주제 특강을 진행한다고 14일 밝혔다. 이 특강은 미래 시민리더십·거버넌스 전공을 졸업한 졸업생들을 특별 강사로 초청하여, 논문 내용을 공유하기 위한 자리다. 하나의 특강마다 개별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해 앞으로 논문을 작성하게 될 원우들이 논문 구상에서부터 작성까지의 전체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강 순서는 ▲지구시민사회 내 한국 국제NGO(INGOs)의 성격과 활동에 관한 심층 연구(미래 시민리더십·거버넌스 전공 2022학년도 후기 졸업생 문귀호) ▲영산강 유역 물관리 거버넌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미래 시민리더십·거버넌스 전공 2023학년도 전기 졸업예정자 김도형 원우) ▲폴리널리스트에 대한 언론인의 인식 연구(미래 시민리더십·거버넌스 전공 2023학년도 전기 졸업예정자 정진호 원우)의 순서로 진행된다. 특강 강사로 나선 문귀호 졸업생은 현재 '국제그린크로스' 한국지부의 설립자 겸 국가조정관이자, 문화재청 소관인 '(주)국제문화재전략센터'의 활용실장으로 본인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연구 실적을 바탕으로 작성한 석사학위논문에 대한 특강을 진행할 예정이다. '영산강 유역 물관리 거버넌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의 석사학위논문을 작성한 졸업예정자 김도형 원우는 '영산강 살리기 네트워크' 및 '영산강유역환경청' 소속으로 진행한 연구에 관한 지식과 경험을 전달할 계획이다. 'KBS 대전방송총국'의 외주제작 PD이자 '아힘TV'의 책임프로듀서인 졸업예정자 정진호 원우는 언론인으로서 체득한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폴리널리스트'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체계적인 데이터로 제공한다. 이번 특강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문화창조대학원 미래 시민리더십·거버넌스 전공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4-02-14 09:03:21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中企유통센터, 공공판로위해 中企 성능인증서 발급 지원

성능인증 13개 제품 대상…발급 희망 중소기업 모집 중소기업유통센터가 공공판로 개척을 위해 '성능인증서' 발급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모집한다. 14일 중기유통센터에 따르면 '성능인증제도'는 중소기업 기술개발제품의 성능확보를 확인·증명해 공공기관의 기술개발제품 구매를 유도하고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을 촉진하기 위해 2005년 7월에 마련됐다. 신청 대상제품은 '중소기업기본법'에 따라 중소기업이 생산하는 기술개발제품으로 특허 사업화 제품 등 성능인증 대상 13개 제품에 한해 성능인증 신청이 가능하다. 신청·접수 후 수수료를 납부한 기업을 대상으로 성능 차별성 검증을 위한 적합성심사, 공장심사, 성능검사 등을 통해 성능인증서를 발급한다. '성능인증서'를 발급받은 기업에게는 공공기관과 수의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한다. 또한, 우선구매지원 대상에 포함돼 공공판로 개척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올해에는 총 4회 공고를 통해 신규로 모집할 예정이다. 1차 성능인증 신규신청 접수 공고는 이달 21일까지로, 심사절차를 통과한 기업은 오는 6월 인증서를 발급받는다. '성능인증제도'에 대한 신규 신청·접수는 공공구매종합정보망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성능인증 신규신청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중기유통센터 이태식 대표는 "세계적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어 공공판로 개척에 대한 중소기업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많은 중소기업이 성능인증제도를 통해 공공판로 개척의 기반을 마련하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2024-02-14 08:16:12 김승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