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마워, 작은 생명들" 실험실 동물 희생, 오가노이드 등 혁신 기술로 대체해야
세계 실험실 동물의 날을 맞아, 국내외 단체들이 동물 실험 중단의 필요성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 단체들은 인공지능(AI)와 오가노이드 등 혁신 기술을 활용해 동물 실험을 대체하고 작은 생명체들의 고통과 희생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에 본사를 둔 애니멀 프리 이니셔티브(AFI)는 4월 24일 세계 실험실 동물의 날을 맞아 실험 동물 입장을 보여주는 "Thank You, Little Ones(고마워, 작은 생명들)"이라는 캠페인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캠페인은 동물 실험의 대체 가능성을 제시하며, 동물들이 겪는 고통을 유쾌하면서도 다소 어두운 방식으로 표현했다. AFI에 따르면, 매년 국내에서만 약 500만 마리 이상의 동물이 실험을 위해 희생되고 있다. 특히 쥐는 실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물이다. "Thank You, Little Ones" 캠페인은 이러한 실험을 다루면서도, 관객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위트와 유머를 담은 영상을 제작했다. 유성지 AFI 대표는 "동물 실험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던 사람들도 이번 캠페인을 통해 실험 동물들의 고통과 현실을 더 잘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관심이 확산되기를 바란다"며 "이 캠페인의 핵심은 동물들이 과학 발전을 위해 기여한 희생을 기리는 것에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는 최근 동물실험을 점진적으로 폐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FDA는 AI 기반 예측 모델, 오가노이드, 그리고 마이크로플루이딕스 기반 장기 칩 등 첨단 기술을 동물 실험을 대체할 주요 기술로 제시하며, 이에 따라 전통적인 동물 실험을 넘어선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유 대표는 "AI와 오가노이드 등 혁신적인 기술이 실험실에서 동물 실험을 대체할 수 있다"며 "동물 실험의 대체 가능성을 제시하고, 윤리적 과학을 실현하기 위한 최첨단 기술의 활용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겠다"고 말했다. 한국 단체인 휴메인 월드 포 애니멀즈 역시 FDA가 발표한 동물대체시험법 로드맵에 발맞춰 국내에서도 인간 중심의 신약 개발이 활성화 되도록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휴메인 월드 포 애니멀즈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은 이미 화장품 동물실험을 전면 금지했고, 미국 환경보호청(EPA) 역시 2035년까지 포유류 동물실험을 단계적으로 중단할 계획이다. FDA는 동물 실험 단계적 폐지에 대한 로드맵 공개 이후 올해 다기관 토론과 공청회를 진행하고, 내년에는 실제 동물대체시험법을 적용하는 파일럿 프로그램을 시작할 예정이다. 한국의 경우, 2013년부터 화장품 동물실험을 금지하고, 대체시험법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발표해왔다. 이 단체 관계자는 "국민 80%가 세금이 동물 없는 첨단 대체법을 이용한 연구에 쓰이길 바란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있다"며 "그럼에도, 최근 국내 실험동물 사용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어, 동물대체시험법의 실질적 확산과 제도적 뒷받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휴메인 월드 포 애니멀즈는 AI 기반 컴퓨터 모델링으로 신약의 신약의 체내 분포와 부작용을 예측하고, 인간 유래 오가노이드 및 오간온어칩을 통해 인간 장기와 유사한 환경에서 약물의 독성 및 효능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미 해외에서 임상 경험이 축적된 신약의 경우, 실제 임상 및 해외 데이터 활용해 추가 동물실험 없이도 안전성·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휴메인 월드 포 애니멀즈는 "FDA의 파일럿 프로그램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된다면, 다른 분야에서도 동물 없는 신약 개발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며 "한국도 실험동물 사용을 줄이고 인간 중심의 신약 개발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도적·재정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세경기자 seile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