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
기사사진
'휴대폰, 회화를 품다II' 서영희 개인전 열어

'휴대폰, 회화를 품다II' 서영희 개인전 열어 인사동 갤러리 '시작'에서 21일까지 전시 휴대폰을 통해 디지털 회화를 새롭게 해석한 서영희 작가의 두 번째 개인전 '휴대폰, 회화를 품다II, 花中王의 메시지'가 15일부터 21일까지 인사동 갤러리 '시작'에서 열린다. 회화는 물감을 겹겹이 칠해 형태와 색채의 배열을 보여주는 것이다. 과거의 회화는 캔버스에 그려진 것으로 한정했으나 현대 미술에서 회화는 여러가지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미술 재료의 다양성으로 컴퓨터 툴을 이용한 작품들이 등장했고, 이것이 바로 디지털 회화다. 과거의 판화 개념보다 가볍게 접근할 수 있으며 갤럭시 노트나 아이패드 등 다양한 종류의 컴퓨터로 그려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삼성 갤럭시 노트4로 회화 작업을 하는 서영희 작가는 인공적이고 딱딱해보일 수 있는 디지털 회화에 생명력을 불어넣었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며, 그의 그림은 길흉화복의 인간사를 담아낸다. 힘겨운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매 순간 삶을 대하는 태도 즉, 마음먹기에 달려있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서영희 작가는 "이번 개인전에서 선보이는 작품은 현대인들의 일상을 어루만지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개개인이 힘을 얻을 수 있는 작품들로 구성된 전시가 되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IMG::20160615000107.jpg::C::480::산토리니/서영희}!]

2016-06-15 15:17:35 신원선 기자
기사사진
故 이상무 화백의 '독고탁' 시리즈, 시카프에서 만난다

지난 1월 세상을 떠난 만화가 고(故) 이상무 화백의 대표작인 '독고탁' 시리즈가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을 통해 다시 한 번 대중과 만난다. 제20회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2016, 이하 시카프)이 다음달 6일부터 15일까지 DDP(동대문디자인프라자)와 CGV 명동역에서 열린다. 1995년 시작된 시카프는 애니메이션과 만화를 아우르는 행사로 올해 20회를 맞이한다.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모아서 상영하는 영화제, 그리고 만화와 관련된 전시와 축제로 구성된 행사다. 올해는 '와이파이 시카프(WIFI SICAF)'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전 세계인의 일상에 '와이파이'처럼 시카프의 문화를 친숙하게 전파하겠다는 뜻을 담았다. 고 이상무 화백의 '독고탁' 회고전은 올해 시카프 영화제 기획전 프로그램으로 마련됐다. 15일 오전 서울 세종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안현동 조직위원장은 "올해 안타깝게 작고한 이상무 화백과 '독고탁' 시리즈에 대한 재조명의 의미를 담아 회고전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안현동 조직위원장은애니메이션의 제작과 배급을 담당하는 대원미디어의 부회장이기도 하다. 이상무 화백과의 인연도 남다르다. '독고탁'을 애니메이션으로 만든 곳이 바로 대원미디어이기 때문이다. 안현동 조직위원장은 "독고탁은 이상무 화백과 닮은 점이 많은 캐릭터이기도 하다. 스토리 면에서 기승전결이 뛰어났고 휴머니티를 담은 작품이라 80년대 당시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안 조직위원장은 시카프 행사 기간 동안 CGV 명동에서 열리는 '독고탁' 스크린 토크 행사에도 참여해 이상무 화백과 독고탁에 대한 이야기를 전할 예정이다. 올해 시카프 영화제에는 총 33개국에서 온 123편의 작품이 상영된다. 전시 행사 프로그램도 풍성하다. 충무공 이순신을 그래픽 노블로 그려 화제를 모은 미국 만화가 온리 콤판이 '해외 거장 초대전'의 게스트로 초청돼 대중과 만난다. '바람의 나라'로 잘 알려진 만화가 김진의 특별전도 함께 열린다. 김진은 뮤지컬 배우 심정완과 함께 홍보대사로도 활동한다. 2016년 붉은 원숭이의 해를 기념해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 코코몽도 홍보대사로 시카프를 알린다. 마블 코믹스를 대표하는 '어벤져스'의 대형 피규어도 행사 기간에 만날 수 있다. 안현동 조직위원장은 "만화와 애니메이션을 '굴뚝이 없는 산업' '황금알을 낳는 거위'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많은 관심과 사랑이 필요하다"며 "올해 20회를 맞이하는 시카프가 다시 한 번 국내를 넘어 전 세계 만화, 애니메이션 시장의 저변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2016-06-15 14:37:29 장병호 기자
기사사진
[박소정의 메트로밖 예술세계로] (25)첨단IT시대 휴머니즘을 위하여 …6호선 DMC역 이진준의 '그들 THEY'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들어서는 안된다."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Digital Media City) 이진준 작가의 작품 '그들 THEY'가 전하는 메시지다. 약칭 DMC로 불리는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Digital Media City)은 우리나라 미디어산업의 새로운 중심지에 자리해 있다. 이곳 마포구 상암동의 17만평 부지 위에는 최첨단 정보 미디어산업단지가 들어서 있다. 그 한복판 DMC 홍보관 광장 중앙에 '그들 THEY'가 있다. 그 주위를 MBC, YTN, 채널A, LG CNS, KT스카이라이프 등 방송과 미디어 사옥들이 둘러싸고 있다. 작품은 13m 높이로 포옹한 남녀가 서로의 어깨에 머리를 기대고 있는 형상이다. 어깨 라인 위로 두상의 덩어리감이 상당히 묵직하다. 남녀를 표현했다고 하지만, 남성과 여성을 상징할만한 결정적인 외형들이 생략되어 있어 구분이 쉽지는 않다. 하늘을 향한 사람의 얼굴 옆 라인에서 느껴지는 완만함과 아래를 향한 사람의 얼굴의 광대와 턱에서 직선으로 떨어지는 기울기 정도를 잘 보아야 가늠이 가능하다. 그럼에도 굳이 남녀라고 구분하는 이유는 인간 전체를 대표하기 위해서다. 단순히 나와 너, 인간과 인간의 포옹이라고 생각해도 좋은 이유다. 빌딩숲으로 싸인 중심에서 포옹하고 있는 '그들'은 정보통신(IT) 혁명으로 인한 부작용을 경계하고 있다. 초고속 첨단화에 따른 휴머니즘의 상실이다. 특히 IT로 무장한 첨단미디어에 대한 경고의 성격이 짙다. 아무리 첨단을 달리는 시대를 맞았지만 여전히 사람과 사람이 맞닿아 더불어가는 삶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미디어가 이를 위해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한다. 작품 아래에는 작가의 이같은 메시지가 선명히 새겨져 있다. "여기 한쌍의 남녀가 있다. 그들은 포옹하고 있지만 여자는 하늘을 보고 남자는 땅을 바라보고 있다. 우리는 어쩌면 늘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고 있는지도 모른다. 하늘과 땅의 만남, 미래와 과거의 만남, 미디어와 인간의 만남 등 이 모든 것들이 오직 각자의 무대 속에서 개인의 환영으로만 존재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래도 우리는 서로를 아주 힘껏 껴안아야 할 것이다." 작가는 미디어의 빛을 이용해 현대미술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는 대표적인 젊은 예술가로 꼽힌다. 서울대에서 경영학을 전공하다 방향을 틀어 미대로 진학했고, 졸업후 방송사의 PD로 일하기도 한 특이한 이력의 소유자다. 조각, 설치, 사진, 비디오 등의 다양한 장르를 소화하며 영상미디어를 공공미술에 결합시키는 그의 작품세계가 탄생한 배경이다. 그의 작품은 보는 사람마다 제각각 원하는 따뜻한 환상을 보여준다. 그의 지향점이다. ※'그들 THEY' 작품은 미디어의 빛을 이용하는 작가의 작품세계를 따른다. 작가는 작품 내부에 LED조명을 설치, 해가 지면 화려한 빛의 향연을 보여주고자 했다. 하지만 취재차 야간에 몇 차례 작품을 찾았을 때 작품은 어둠에 잠겨 있었다. 이 작품은 2010년 LG텔레콤이 서울시에 기증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 산하 서울산업진흥원에서 관리를 맡고 있다. 서울산업진흥원 인프라운영팀 관계자는 조명이 꺼져 있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확인 결과 작품의 부품에 이상이 있었다"며 "앞으로는 정상적으로 조명을 켜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문제를 제기한 후에야 사후조치를 취하기보다는 평상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아쉬움이 드는 취재였다. 글 : 큐레이터 박소정 (info@trinityseoul.com) 사진 : 사진작가 류주항 (www.mattryu.com)

2016-06-15 14:30:53 송병형 기자
기사사진
미혼남여 10명중 8명, 이성 친구와 연애 생각해봤다.

[메트로신문 김승호 기자]미혼남녀 10명 중 8명은 이성 친구와의 연애를 생각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이달 7일부터 14일까지 20~30대 미혼남녀 605명(남성 289명, 여성 316명)을 대상으로 '남사친(남자 사람 친구)과 여사친(여자 사람 친구)'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3.8%가 이같이 답했다. 이성과 친구가 가능한가를 묻는 질문에 남성 과반 이상은 '불가능하다'(58.1%)고 답한 반면 여성은 '가능하다'(63%)고 답해 남녀의 생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남사친 혹은 여사친을 정의하는 기준은 무엇일까? 남성은 '사귀기 전 어장 관리 중인 이성 친구'(28%)를 뜻한다고 답했다. 이어 '여럿이 만나는 자리에서만 만나는 이성 친구'(25.6%), '동성 친구처럼 편히 이야기 할 수 있는 이성 친구'(15.6%) 순이었다. 여성은 '스킨십을 하지 않는 이성 친구'(32.3%)를 남사친이라고 정의했다. '연인에게 소개할 수 있는 이성 친구'(27.2%), '동성 친구처럼 편히 이야기 할 수 있는 이성 친구'(22.8%) 순으로 답했다. 이성과 친구가 되는 계기에 대해 남성은 '외모가 서로 취향이 아닐 때'(29.8%)라고 답했다. 이어 '속마음을 다 털어 놓을 수 있는 친구가 이성일 때'(24.9%), '호감은 있으나 각자에게 짝이 있을 때'(21.8%) 등을 골랐다. 여성은 '학창시절 추억을 공유한 친구일 때'(41.5%)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뒤이어 '속마음을 다 털어 놓을 수 있는 친구가 이성일 때'(26.6%), '취미나 의견이 잘 맞는 친구일 때'(14.9%) 등을 응답했다. 한편, 남사친·여사친의 정석이라고 생각하는 연예인 친구 1위는 남녀가 모두 '김종민·신지'(32.3%, 복수응답)를 꼽았다. 이어 남성은 '헨리·엠버'(17.1%), '유아인·정유미'(14.5%), 여성은 '유아인·정유미'(17.8%), '김희철·태연'(15.1%)을 떠올렸다. 듀오 관계자는 "남자친구와 여자친구가 일반적으로 '연인'을 뜻하게 돼 '남사친'과 '여사친'이란 신조어가 생긴 것 같다"면서 "어느 시구절처럼 사람을 사귀는 것은 어마어마한 일이기 때문에 성별이 다른 친구와 연인을 언어의 굴레에 가둘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2016-06-15 10:55:20 김승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