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 삼성전자등 40개社 '최우수'…12곳 '미흡'
대기업·중견기업 40개사가 지난해 동반성장지수 평가에서 가장 높은 '최우수'를 받았다. 가장 낮은 '미흡'은 12개사였다. 이외에 '우수' 70개사, '양호' 80개사, '보통' 28개사였다. 삼성전자, SK텔레콤 등 19개사는 3년 이상 최우수 등급을 받아 '최우수 명예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롯데백화점과 롯데웰푸드는 지수평가 참여 이후 처음으로 '최우수'를 받았다. 동반성장위원회는 31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제84차 동반성장위원회를 열고 평가대상 230개사에 대한 '2024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동반성장지수는 동반위의 '동반성장 종합평가'와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정거래협약이행평가' 결과를 합산해 최우수-우수-양호-보통-미흡의 5개 등급으로 평가한다. 이달곤 동반위원장은 "230개사를 평가해 5개 등급으로 구분, 비교한 결과 전년도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면서 "2011년부터 평가를 시작한 동반성장지수는 내년(발표 기준)이면 15년째가 된다. 대기업의 협력사에 대한 동반성장 지원 노력이 정착되고 있고 AI시대를 맞아 협력 중소기업의 독자적 노력도 중요한 만큼 2026년 지수에 대한 평가부터 이런 현실을 지표에 반영하기위해 현재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반위는 또 '배달의민족' 등 배달 플랫폼 3사에 대한 동반성장지수 참여를 위한 연구용역도 별도로 진행하고 있다. 동반위 곽재욱 운영처장은 "배달 플랫폼기업들이 동반성장지수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독려하기위해 계속 접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평가 결과 '최우수' 기업은 전년보다 4곳이 줄고, '미흡' 기업은 4곳이 늘었다. 삼성전자는 도입 첫 해부터 14년 연속으로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 SK텔레콤(13년 연속), SK·현대트랜시스·KT(11년 연속)도 10년 이상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런 가운데 다스, 대방건설, 덴소코리아, 모베이스전자, 서울반도체, 에스트라오토모티브시스템, 에코플라스틱, 일진글로벌, 제일건설, 타이코에이엠피, 타타대우상용차, OTIS엘리베이터는 협력사와 동반성장 결과가 '미흡'했다. 이달곤 위원장은 "동반위가 '미흡' 평가를 받은 기업에 대해 '채찍'을 행사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 위원회는 조정과 중재를 통해 갈등을 해소하고 성장에 방점을 찍으면서 동반성장을 도모하는 경제적 합의를 만드는 기구"라면서 "다만 여러 채널을 통해 '미흡' 기업들에게 강하게 권유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공정위가 229개 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도 공정거래협략 이행실적을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표준하도급 계약서를 사용하는 비율은 71.9%로 전년도의 67%보다 늘었다. 또 불공정거래행위 발생 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운영하고 있는 기업도 121개사로 전년도(115개사)보다 6곳 증가했다. 공정위 이종선 기업거래정책과장은 "대중견기업의 협력사에 대한 현금 결제(75%), 현금성 결제(92.8%)는 전년의 72.1%(현금 결제), 90%(현금성 결제)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특히 대기업의 지원을 받아 협력사가 채용한 인원 등 협력 중소기업이 지원받은 인원은 2만7815명으로 전년의 2만173명보다 37.9% 늘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