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수급불안' 차량용반도체… 4월 중 민관합동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착수
현대차 울산공장 생산라인 /현대차 차량용 반도체 수급 대란으로 국내 완성차 업체 생산라인이 멈춰서고 부품사들도 생산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4월 중 민간과 합동으로 차량용 반도체 자립화 로드맵 마련에 착수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미래차-반도체 연대·협력 협의체' 2차 회의를 열고 국내 차량용반도체 수급동향 및 정부 단기지원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자동차-반도체 기업간 구체적 연대와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지난달 4일 정부는 협의체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열었고, 차량용반도체 대책과 3차례 과장급 실무회의 등을 통해 업계와 협의하며 대책을 모색해 왔다. 산업부에 따르면, 반도체 수급차질로 폭스바겐과 도요타 등 글로벌 완성차 대부분 생산차질이 발생하고 있고, 차량용반도체 세계 3위인 르네사스 공장 화재(3월19일) 등으로 수급 불안감이 심해진 상황이다. 국내 역시 지난 2월 둘째주 이후 한국GM에 이어 현대자동차는 울산 1공장에 이어 아산공장 휴업을 검토 중이다. 쏘나타와 그랜저를 생산하는 아산공장은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노조와 휴업을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현대차는 코나와 아이오닉5를 생산하는 현대차 울산1공장을 7~14일 휴업키로 했다. 아반떼를 생산하는 현대차 울산3공장도 오는 10일 반도체 부족으로 특근을 하지 않는다. 정부는 이번 차량용 반도체 수급불안이 전세계적인 반도체 수급 불일치에 의한 것으로 단기간 근본 해결에 어려움이 있으나, 업계 요구에 맞춘 다양하고 실효성 있는 단기 지원방안을 지속 모색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국내기업이 개발을 완료한 후 완성차와 부품사 등 수요기업과의 성능평가를 희망하는 품목 10여개를 발굴했다. 다만, 발굴된 품목은 전력반도체, 주행영상기록장치용 반도체 등으로 이번 수급불안 사태의 핵심원인인 MCU(전장시스템 제어칩)는 아니지만, 국내 차량용반도체 산업역량 강화를 위해 자립화가 필요하고 단기간 사업화가 가능한 품목들이다. 향후 추가 수요조사와 4~5월 중 사업공고와 선정평가위 평가 등을 거쳐 최종 선발 품목에 대해 소부장 양산성능평가지원사업을 통해 우선 지원할 예정이다. 자동차기업과 반도체기업이 연계하거나 협업할 수 있는 협력모델 발굴에도 나선다. 특히, 차량용반도체 자립화를 촉진하고 기업간 협력을 가속화하기 위해 4월 중 민관 합동 '중장기 차량용반도체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에도 착수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차량용반도체 시장동향과 전망, 주요국과 주요기업 동향, 주요 기술특허 분석, 국내 기술수준과 유망기술 등에 대해 조사·분석할 계획이다. 또 자동차 주요 도메인별 4개 분과(파워트레인, 샤시·안전·자율주행, 차체·편의, 인포테인먼트)를 구성해 올해 중으로 로드맵 수립을 완료할 예정이다. 특히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고 개발난이도가 높아 자립화율이 낮은 파워트레인, 샤시·안전·자율주행 분야에 대한 국내 산업생태계 구축 시나리오 모색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산업부 강경성 산업정책실장은 "차량용반도체 수급차질로 인한 국내기업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관련 기술개발 지원, 인프라 구축, 시제품 제작 지원 및 투자지원 강화 등 국내 차량용반도체 산업역량 강화를 위한 산업정책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