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5곳 중 2곳, 코로나19 대응 위해 '재택근무' 도입
기업 5곳 중 2곳, 코로나19 대응 위해 '재택근무' 도입 사람인, 기업 1089개사 설문조사 기업 5곳 중 2곳, "코로나19로 재택근무 도입했다" /사람인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사회 전반에서 진행되면서 이에 동참하며 재택 근무를 실시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11일 사람인이 기업 1089개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재택근무 실시 의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5곳 중 2곳(40.5%)은 이미 재택근무를 실시하고 있거나 실시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재택근무 실시 여부는 기업 유형별로 업무 시스템이 비교적 잘 갖춰진 대기업과 중견기업(각각 60.9%, 50.9%)은 절반 이상으로 많았으나, 중소기업(36.8%)은 이보다 적었다. 업종별로는 '금융/보험'(73.3%), '정보통신/IT'(58.8%), '석유/화학'(55.6%), '전기/전자'(50%)의 재택근무 동참 비율이 높았고, 업종 특성상 현장근무가 필수이거나 현실적으로 재택근무가 어려운 '기계/철강'(14.3%), '건설'(20.8%), '제조'(29.7%) 등은 낮은 동참율을 보였다. 기업들은 재택근무 실시 이유(복수응답)로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선제적인 대응 차원'(84.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회사가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 위치해 있어서'(21.1%), '직원들이 불안해해서'(17.7%), '방학 연장으로 육아에 어려움 있는 직원 배려하기 위해'(17.7%), '회사 근처에서 확진자가 많이 나와서'(12.2%), '재택근무 시스템이 잘 갖춰져 업무에 문제가 없어서'(10.2%) 등이었다. 재택근무 인원은 전체 직원 대비 평균 59.1% 수준으로 집계됐다. 전 직원 재택근무를 실시한다는 기업은 18.4%였으며, 이외에 '50%'(19.7%), '10% 미만'(12.2%), '80%'(11.6%), '30%'(9.5%), '90%'(6.8%), '70%'(6.1%) 등의 순이었다. 기업들은 재택근무 시 기존 업무양의 67.3%만 실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답해, 업무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동참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반면, 재택근무 실시 계획이 없다는 기업들은 그 이유(복수응답)로 '업직종 특성상 현장 근무가 필수여서'(56.9%)를 첫 번째로 꼽았다. 이어 '업무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것 같아서'(28.7%), '재택근무 시스템을 준비할 인력이나 예산이 부족해서'(25%), '재택 시 직원 통제 및 관리가 어려울 것 같아서'(15.7%), '재택근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9.7%),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몰라서'(7.9%) 등의 의견이 이어졌다. 이들은 재택근무 실시를 위해 필요한 것으로 '재택근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예산 지원'(30.6%)을 가장 많이 꼽았다. 또 '재택근무 직원들의 책임감 있는 업무'(20.8%), '재택근무 도입 가이드라인'(17.1%), '재택근무 업무 플랫폼 무료 지원'(14.8%) 등의 순으로 답했다. /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