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빼기도 힘든데 AI교육?"… 뜬구름 잡는 교육부 올해 업무보고
"진도 빼기도 힘든데 AI교육?"… 뜬구름 잡는 교육부 올해 업무보고 학교 현장선 "방학중 보강 현실성 없어… 수업일수·시수 즉시 줄여야" 교육부가 올해 중점 추진할 2020년 업무계획을 발표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사상 초유의 3주 개학 연기 관련 후속 대책은 빠졌다. 교육계 일각에서는 개학 연기 이후 학생과 교직원 건강과 안전을 위한 후속 조치가 교육부 1순위 과제여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교육부는 2일 '초등 1학년 학부모 안심학년제' 운영과 'AI·첨단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학교교육 기반 조성' 등을 골자로 한 올해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업무계획은 지난 1월30일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발생에 따라 연기해오다 이날 서면으로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됐다. 업부보고는 기존에 발표해 추진 중인 ▲유아교육 공공성 강화 ▲고교 서열화 해소 ▲대입 공정성 강화 ▲고교학점제 추진 등을 10대 핵심과제로 제시했다. 업무보고 내용은 매년 주요 추진 업무와 핵심과제 등을 적시돼 중점 추진된다. 교육계에서는 코로나19 확산으로 3주 개학 연기된 상황이고, 추후 감염병 확산 여부에 따라 추가 개학 연기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개학 연기에 따른 추가 대책이 가장 시급한 업무계획으로 보고 있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이날 논평을 내고 "코로나19 확산에 국민, 교육계 우려가 큰데 관련 계획은 왜 없나"면서 "휴업에 따른 수업일수, 수업시수 감축, 학사운영 정상화 방안, 지역사회와 연계한 돌봄체계 구축, 휴업에 다른 학습결손 해소 방안, 방학 축소에 따른 석면공사 차질 대책 등 준비해야 할 지침과 매뉴얼, 대책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감염병 확산 사태의 장기화와 반복화에 대비한 교육당국 차원의 강력하고 효과적인 대책 마련이 업무계획의 최우선 과제로 제시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아와 초등학생 대상 책임교육 강화를 위해 교육부가 업무계획에서 제시한 '초등 1학년 학부모 안심학년제'부터 3주 개학 연기에 따른 차질이 우려된다. 초등 1학년 학부모 안심학년제는 입학 초기 단계에서 정규수업 내 협력수업을 확대하고 기초학력이 부족한 경우 다중지원팀을 구성해 추가 지원하는 내용이다. 또 기존 교실을 놀이와 쉼이 가능한 복합형 공간으로 혁신한다는 것도 포함된다. 이를 위해 올해 하반기 전국 초등학교 1학년 교실 절반을 바닥난방, 교실 내 개수대, 실내인테리어 개선 등에 나선다. 하지만 개학 연기로 초등돌봄 수요와 업무가 커질 것으로 예상되고 부족한 학습량 보전을 위한 업무 가중이 예상된다. 교육부는 3주 개학 연기로 부족한 학습량을 방학 중 진행키로 했으나, 대다수 학교가 방학 중 석면제거 등 학교 공사를 몰아서 하고 있어 현실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계에서는 교육부가 3주 개학 연기 이후 추가 연기될 경우 학교 수업일수 10% 감축을 하겠다고 했지만, 즉각 수업일수와 수업시수를 감축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국교총 관계자는 "하절기와 동절기에 학생 등교시 안전도 문제"라며 "일선 학교에서는 교육부가 즉시 수업일과 수업시수를 10% 감축하고, 개학 연기에 따른 구체적인 후속대책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요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교육부가 일선 학교 마스크 등 방역물품을 일괄 구매해 보급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현재 각 학교별 마스크 등 방역물품을 개별 구매해 이용하고 있으나, 교육부가 이를 회수해 일반에 제공했다. 하지만 개학 연기에도 출근하는 교직원이 있고 초등돌봄 확대와 개학 이후를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것. 교육부가 개학 연기에 따라 시도교육청 등과 협력해 휴업 기간 중 디지털 교과서 e-학습터, EBS 동영상 등 온라인 콘텐츠를 초중고생에 무료 제공하기로 했으나, 현재 전무한 온라인교육 시스템 구축에도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국교총은 "학습결손 방지를 위해 온라인원격학습시스템, 가정-학교 쌍방향 소통을 위한 웹기반 시스템 구축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면서 "아울러 학생들이 학원에 몰린다면 개학 연기 효과나 의미는 퇴색될 수밖에 없다. 학원 동참을 이끌어내도록 휴원 시 피해를 보전해주는 지원 대책도 함께 강구해야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