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지방대 올해 '지역인재전형' 7400명 선발…강원대 1536명

올해 처음 시행되는 지방대의 지역인재 전형으로 모두 7400여명이 선발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인재 전형은 비 수도권 지역의 대학이 모집 정원의 일부를 해당 지역 내 고등학교 출신으로 할당해 선발하는 방법이다. 11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2015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지방대 64개교가 지역인재 전형으로 모두 7407명을 모집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관련 법령은 지역인재 전형의 선발 비율이 가급적 각 대학 모집 인원의 30% 이상이 되도록 노력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단 강원과 제주 권역은 15% 이상이다. 법령에는 권역 내 고교 졸업(예정)자 중에서 선발하도록 돼 있으나, 대부분 대학은 고교 입학부터 졸업까지 해당 지역에서 전 교육과정을 이수한 자로 지원 자격을 제한하고 있다. 지방대 가운데 지역인재 전형 선발 인원이 가장 많은 대학은 강원대로 1536명에 달했다. 강원대 춘천캠퍼스는 전체 모집인원의 30%에 달하는 124명을, 삼척캠퍼스는 전체 모집인원의 28%인 512명을 지역인재 전형으로 뽑기로 해 최소 권장 비율(15% 이상)의 두배가량이나 됐다. 호서대(400명), 건양대(339명), 강릉원주대(297명), 선문대(288명), 군산대(264명), 순천향대(230명) 등도 지역인재 선발에 적극적이었다.

2014-05-11 09:27:04 윤다혜 기자
'박명수'같은 상사 '노홍철' 닮은 후배 싫어

직장인들은 '박명수'같은 상사, '노홍철' 닮은 후배와는 일하기 싫어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9일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직장인 1027명을 대상으로 '같이 일하기 싫은 상사와 후배 유형'에 대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89.2%가 현재 직장에 같이 일하기 힘들다고 느끼는 상사가 '있다'고 응답했다. 10명 중 약 9명에 달하는 직장인이 '상사'로 인해 고초를 겪고 있는 것. 이들이 말하는 가장 일하기 힘든 유형을 MBC 무한도전 캐릭터로 비유해봤더니, 거의 과반수인 47.6%가 '박명수형-본인 업무를 떠넘기는 유형'을 선택했다. 두 번째는 '유재석형-너무 일을 열심히 하는 유형'을 꼽았다. 일을 너무 하지 않는 상사도 싫지만, 이와 반대로 일만 너무 열심히 하는 상사도 싫어하고 있는 것. 다음으로 '정준하형-착한데 무능한 유형'(10.8%), '정형돈형-아무 생각하지 않으려는 유형'(8.7%)의 순이었다. 이와는 반대로 가장 일하고 싶은 상사 유형은 '솔선수범형'이 27.6%로 가장 높았다. '고민을 함께 나눌 수 이는 유형'(25.4%), '결단력 있는 유형'(17.0%), '리더십이 강한 유형'(14.9%), '칭찬을 많이 하는 유형'(13.0%)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일하기 힘든 상사와 어쩔 수 없이 함께 일을 해야 할 경우 어떻게 하는지를 물었더니, 43.5%가 '일할 때는 친한 척 한다'고 응답했다. 아무래도 직장이다 보니 무사히 일이 진행되고자 하는 바람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뒤를 이어 '무시한다'라는 응답도 33.2%로 많았다. '대놓고 불평한다'(9.0%), '더 윗 분에게 건의 한다'(5.3%)로 상사와의 불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불만을 표시하는 직장인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이와 함께 현재 직장에서 함께 일하기 힘든 후배가 있느냐는 질문에는 '상사'의 질문보다 낮은 46.1%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들이 손꼽은 일하기 힘든 후배 유형은 '노홍철형-뺀질대는 유형'이 38.5%로 가장 높았으며 '하하형-지시한 업무를 제대로 못하는 유형'(31.1%)으로 응답됐다. 업무 역량이 떨어지는 후배 보다 인간관계가 좋지 않은 후배를 더욱 싫어하고 있는 것. 뒤를 이어 'G드래곤형-할 말은 다 해야 속이 풀리는 유형'(13.3%), '길사원형-모든 활동에 다소 느린 반응을 보이는 유형'(11.9%)순으로 나타났다.

2014-05-09 08:15:07 이국명 기자
월급만으로는 못살아···직장인 10명 중 9명 "투잡 경험"

직장인 10명 중 9명이 본업과 함께 투잡알바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이 만 20세 이상 남녀 1341명을 대상으로 '투잡알바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직장인 중 86.2%가 투잡알바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특히 3040세대 남성의 투잡 빈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30대 남성 80.8%, 40대 남성 84.2%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여 생계비 마련을 위해 투잡 전선에 뛰어든 이 시대의 중장년 남성이 많음을 추측할 수 있다. 또 20대는 58.6%, 50대는 75.0%로 다소 높은 투잡 비율을 보였다. 투잡을 하게 된 이유로는 절반이상인 55%가 '생활비 부족'을 꼽았다. 일자리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의 봉급으로는 팍팍한 살림살이를 메우기 어려운 것이다. 취미생활 겸 여윳돈 마련(16.8%), 여유시간 활용(16.5%), 여행경비 및 결혼비용 등의 목돈마련(7.1%), 고가 물품구매(3%), 급전마련(1.5%) 등을 거론한 직장인도 많았다. 투잡족들의 평균 연봉은 1500만원이 72.7%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1500만~2000만원(10%), 2000만~2500만원(8.1%), 2500만~3000만원(4%) 순으로 나타나 봉급이 적을수록 투잡비율이 높았다. 투잡 평균 시급은 7000원 미만이 72.3%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7000~9000원(13.6%), 9000~1만1000원(6.7%), 1만3000원 이상(4.9%), 1만1000~1만3000원 순으로 나타났다. 투잡으로 일하는 주요 업종은 서빙·주방(27.3%)과 매장관리직(18.5%)이 가장 높아 전문직 보다 단순 직무의 비중이 컸다. 피팅모델, 보조출연자, 주차관리 등의 서비스업(15.1%), 전단지 배포, 콜택시, 세차 등의 생산·기능업(11.2%), 문서작성, 편집, 번역 등의 사무직(9.3%) 순이었다. 그 외 주말알바 (6.1), 좌담회 알바(4.5%), SNS 알바(3.7%)가 하위권에 머물렀다.

2014-05-08 14:51:32 이국명 기자
전문대 평균 7.7% 정원감축 계획…123개교 신청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에 신청한 전문대학이 자체적으로 입학정원을 평균 7.7% 감축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부는 8일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 접수결과 전국의 137개 전문대학 중 123개교가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특성화 사업 중 Ⅰ·Ⅱ·Ⅲ 유형에 참여한 전문대학의 자율적인 정원 감축률은 평균 7.7%로 집계됐다. 사업유형의 Ⅰ유형인 '단일 산업분야 특성화' 사업에서 수도권 전문대학 9개교는 평균 11.4%, 지방 17개교는 8.6% 감축 계획을 마련했다. Ⅱ유형인 복합 산업분야 특성화에는 수도권 28개교, 지방 54개교가 신청해 각각 정원을 7.1%, 7.7% 줄이겠다고 밝혔다. 프로그램특성화인 Ⅲ유형에서는 지방 3개교가 평균 6.7% 감축 계획을 수립했다. 사업신청 조건이 학위 과정 모집정원의 20~50%인 평생직업교육대학 사업에 참여한 11개교의 평균 감축률은 33%였다. 교육부는 사업 평가에서 예술계의 취업 특성을 고려해 국세 데이터베이스의 1인 사업자와 프리랜서도 예술계열 취업률에 포함하며 공연이나 전시 등을 한 경우도 취업한 것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또 예술계열 취업률은 타 계열과 구분해 별도로 평가할 방침이다. 아울러 수도권과 지방 권역별로 예술 관련 단일산업분야 특성화 전문대학을 최소 1개교씩 선정할 계획이다.

2014-05-08 09:15:04 윤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