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창업/취업
배낭여행 떠나고 싶지만···현실은 알바하다 방학 끝

대학생들은 여름방학동안 가장 하고 싶은 일로 배낭여행을 꼽았다. 하지만 실제로는 알바만하다 여름방학이 끝날 것 같다고 답했다. 27일 잡코리아가 운영하는 아르바이트 전문 구인구직 포탈 알바몬이 최근 대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여름방학의 로망과 현실'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알바몬이 설문에 참가한 대학생들에게 올 여름방학의 로망에 대해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33.4%가 '배낭 하나 메고 해외로 떠나는 배낭여행'이라고 답했다.'다이어트 성공 후 완벽한 몸짱이 되어 워터파크 놀러가기(11.0%)', '조기 취업 성공해서 회사 다니기(10.1%)', '휴양지에서 즐기는 여유 넘치는 바캉스(8.4%)', '토익 성적, 자격증 취득으로 스펙 업(8.1%)', '워킹홀리데이나 해외 봉사활동으로 견문 넓히기(7.5%)' 등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막상 이런 방학의 로망이 현실로 이어지기는 힘들다는 것이 대학생들의 공통적인 생각인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생들이 예상하는 올 여름방학의 현실은 '돈을 목적으로 한 재미없는 알바만 하다 방학 끝!'이 31.2%로 1위를 차지했다. '도서관-집을 왔다갔다, 취업준비에 찌든 모습'이 28.6%로 바짝 뒤를 쫓았다. '할 일 없이 뒹굴거리며 부모님 눈치나 볼 것(11.7%)', '핸드폰이나 컴퓨터와 밤을 지새우고 침대와 합체(5.6%)', '성과도 없이 학원만 왔다갔다(4.3%)' 등도 여름방학을 보내는 현실적인 풍경으로 꼽혔다.

2014-06-27 09:30:44 이국명 기자
기사사진
조희연·문용린·고승덕 "손잡고 서울교육 위해 협력하겠다"

지난 6.4 지방선거에서 서울시교육감직을 놓고 경쟁을 펼쳤던 문용린 서울교육감과 조희연 당선인, 고승덕 변호사가 26일 "서울교육의 발전을 위해 협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들은 이날 서울시교육청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교육이 새로운 희망을 향해 가기 위해 함께 협력하는 것이 서울시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것임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또 "우리 세 사람은 서울교육의 혁신과 학생들의 안전과 행복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합의했다"며 "이를 위해 선거에서 공약한 정책 중 서울교육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합의한 사항들은 우선 실천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문 교육감은 "조희연 당선자가 앞으로 교육감으로 계시면서 교육에 대한 꿈, 교육을 위한 공약을 마음껏 펼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고 후보와 저는 교육을 위한 경쟁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당선자가 좋은 교육을 펼칠 수 있도록 뒤에서 열심히 돕겠다"고 말했다. 조 당선인은 "세월호 참사로 가슴에 응어리를 가진 국민에게 교육분야에서 우리가 함께 손잡고 화합의 메시지를 보내는 게 작은 위로가 됐으며 좋겠다"며 "오늘 공동 기자회견은 앞으로 서울교육청의 정책과 행정을 잘 이끌어가라는 채찍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소감을 밝혔다. 고 변호사는 "진영 논리에 휩쓸리지 않고 교육다운 교육을 하겠다는 당선자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생각해 협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2014-06-26 15:13:52 윤다혜 기자
안식휴가 주어진다면 '○○' 하고 싶다

직장인들은 안식휴가가 생긴다면 가장 하고 싶은 것으로 '여행'을 꼽았다. 26일 직장인교육 전문기업 휴넷이 직장인 488명을 대상으로 안식휴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97.5%가 '안식휴가 제도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반면 실제로 안식휴가 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곳은 10곳 중 1곳에 불과해 이상과 현실의 차이를 보였다. 안식휴가로 적당한 기간은 '1개월 정도'가 34.0%로 가장 많았다. 이어 '1개월 이상~6개월 미만'이 30.1%로 2위에 올랐으며, '6개월 이상~1년 미만' 17.0%, '1개월 미만' 16.0% 순이었다. '1년 이상'을 원하는 답변도 2.9%였다. 그렇다면 안식휴가를 얻기 위해 필요한 근속연수는 어느 정도가 적당하다고 생각할까. '10년 이상'이 41.2%로 1위를 차지했으며 '5년 이상~7년 미만'이 26.8%로 뒤를 이었다. '7년 이상~10년 미만' 15.4%, '3년 이상~5년 미만' 13.9%, '3년 미만' 2.7% 순이었다. 주목할 점은 사원·대리급은 '5년 이상~7년 미만'을 가장 많이 꼽은 반면 과·차장급 이상은 '10년 이상'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낮은 직급일수록 빠른 안식휴가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안식휴가가 생긴다면 하고 싶은 일은 성별과 직급에 상관없이 여행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72.3%가 '여행'을 선택해 압도적인 지지를 받았다. 이어 '자격증 취득·공부' 9.6%, '휴식' 9.2%, '취미활동' 5.1%, '육아·가사' 2.5%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직'은 단 한 명도 답하지 않았다.

2014-06-26 11:21:59 이국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