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헌 금감원장 "지방은행 특성 고려해 건전성 기준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앞장서달라"
-"지역 시금고 선정 과열문제도 검토"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이 지방은행장과 만난 자리에서 지역경제 살리기를 위한 주문과 지방은행을 위한 지원책을 동시에 내놨다.
윤 원장은 3일 광주은행 본점에서 열린 '지방은행장 간담회'에서 "지방 소재 일부 산업의 구조조정 등이 완료될 때까지 지역 경제의 버팀목으로서 지방은행의 적극적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임용택 전북은행장과 김태오 대구은행장, 송종욱 광주은행장, 황윤철 경남은행장, 빈대인 부산은행장, 서현주 제주은행장 등이 참석했다.
윤 원장은 "지방소재 기업들이 부실화돼 지역 경제가 흔들리면 은행 경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이를 다시 복원하기까지 오랜 시간과 많은 사회적 비용이 수반된다"며 "이런 시스템적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방은행의 적극적 역할 수행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지역사정에 밝은 지방은행의 장점을 활용해 미래 성장가능성이 있는 신생·중소기업에 대한 관계형 금융을 활성화하고, 일시적 어려움에 처해 있으나 회생가능성이 있는 기업을 옥석가리기 해 필요한 자금중개 역할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지방은행들을 위한 지원책도 제시했다.
그는 "지역재투자 평가제도가 지난 3월 감독규정에 근거가 마련돼 올해 중 시범 평가가 실시될 예정"이라며 "이 제도가 도입되면 지역기반이 강한 지방은행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유인을 제공하는 방안을 적극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역재투자 평가결과는 시금고 선정기준에 반영된다.
일부 건전성 감독기준·관행 역시 지방은행의 업무 특성에 맞게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윤 원장은 "먼저 대손충당금 산정과 관련해 지방은행이 시중은행보다 불리하게 적용받지 않도록 하며, 경영실태평가 및 리스크평가시에도 지방은행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평가체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지방은행과 시중은행 간 자산규모, 리스크 특성 등의 차이를 감안해 비례성의 원칙에 따라 건전성 감독기준을 차등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윤 원장은 지방은행장 간담회 이후 광주은행에서 설립을 추진중인 '포용금융센터' 기공식에 참석했다.포용금융센터는 지역 내 서민·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자금지원, 채무조정 상담, 경영컨설팅 등을 제공하는 원스톱 종합상담센터로 오는 11월 중 개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그는 "은행권이 자영업자의 경영·금융애로 해소를 위해 상권분석, 재무관리 등의 컨설팅을 제공하는 것은 자영업자의 역량을 강화해 생존율을 높이고, 은행은 고객과의 장기 파트너십을 강화할 수 있는 윈윈(win-win) 사례"라며 "응급 상담체계 구축과 신용평가체계 개선 등 자영업자의 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