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헤이즈 "트럼프가 연준 장악…비트코인 100만 달러 갈 것"
"트럼프에게 충성하는 인원들이 연준에서 자리를 얻고 있다. 트럼프는 이미 셋을 얻었고, 한 자리는 곧 얻게 될 것"이라며 "트럼프는 연준을 장악해 금리 인하를 가속하길 원한다. 금리가 인하되면 비트코인은 빠르게 상승할 것이다." 아서 헤이즈 비트멕스 공동설립자는 23일 서울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에서 열린 'KBW2025: IMPACT'에서 비트코인의 상승 전망을 내다보며 이같이 말했다. 헤이즈는 "2차 대전 시기 미국은 엄청난 전비를 지출해야 했고, 중앙은행에 화폐 공급을 늘리고 화폐 가치를 늘리도록 지시했고, 연준과 재무부는 채권시장을 조작해 정부가 낮은 비용으로 국채를 발행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라면서 "연준의 임무는 국채가 적당한 이자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됐고, 궁극적으로 연준은 국가 부채를 지원하기 위해 엄청난 돈을 찍어냈다"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도널드 트럼프가 당선되고, 그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금리를 내리지 않는) 연준이 얼마나 형편없는지 말하고 있다"면서 "미국은 전쟁중이다. 최근 두 번의 전쟁에서 사실상 패배했다. 미국은 러시아를 물리칠 만큼 강하지 않고, 동맹에도 충분한 미사일을 제공할 수 없다. 트럼프는 이를 바로잡고 싶어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트럼프는 신용이 필요하다. 신용은 은행과 재무부에서 나온다. 금리를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면, 국채 비용도 크게 줄일 수 있다"면서 "트럼프와 베센트는 금리 전반이 하락하는 불 스티프닝(Bull steepening, 장단기 금리가 역전된 상태에서 단기금리가 내려 금리차 곡선이 우상향하는 현상)을 원한다"라고 덧붙였다. 헤이즈는 "우리는 중앙은행이 신용을 창출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중앙은행들은 대기업을 선호하고 있다. 새로운 역량을 구축하는 대신, 기존의 생산능력을 활용하길 원한다. 미국의 산업이 사라진 이유다"라면서 "높은 금리는 소규모 은행의 수익률을 낮춰 신용 창출과 산업 발전을 제약했고, 베센트는 (금리 인하를 통해) 이를 해결하고 싶어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연준은 일곱명의 이사회로 구성된다. 연준 이사는 미 상원의 인준 하에 임명되는데, 트럼프는 이미 상원을 장악했다. 다만 그가 계속해서 상원을 장악할 수 있을지는 지켜봐야 한다"라면서도 "트럼프는 연준 이사에 자신에게 우호적인 스티븐 미란을 세번째로 임명했고, 바이든이 임명한 리사 쿡 이사의 자리에 네번째를 임명하고자 한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리사 쿡은 떠나길 거부하고 있지만, 그녀는 이미 금융범죄 혐의로 기소됐다. 트럼프가 네 번째를 확보한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트럼프는 미 연준을 사실상 장악했고, 금리 하락을 가속하길 원한다"면서 "트럼프는 연준을 통해 양적 완화로 복귀할 것이다. 베센트는 수조달러의 부채를 발행할 것이고, 연준은 이 채권의 대부분을 매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예전 코로나19 시기 동안 1년 안팎의 양적 완화가 추진됐을 때, 비트코인의 가격은 빠르게 상승했다. 이를 트럼프의 남은 임기인 3년에 적용하면 비트코인이 340만달러에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면서 "380만 달러는 무척 터무니없지만, 최소한 100만 달러까지는 상승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코인의 4년 주기론이 더는 유효하지 않다는 이야기다"라고 강조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