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800만 외국인' 유치전…서비스 경쟁 본격화
주요 은행이 외국인 특화 서비스를 확대하며 고객 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 은행의 외국인 고객 수가 800만명을 넘어서면서 금융권의 주요 고객층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금융당국도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외국인의 금융 편의 지원에 나섰다. 21일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체류 외국인은 265만명이다. 기존 최고치인 2019년의 252만명보다 13만명 늘었다. 전체 인구(5122만명)의 5.17%에 해당한다. 90일 이상 체류하는 장기체류자의 비중은 77%에 달했고, 경제활동이 활발한 20~40대의 비중도 65.6%를 기록했다. 경제 활동을 위해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이 늘면서 금융거래도 늘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은행의 외국인 고객은 전년 대비 37만명(4.8%) 늘어난 813만명을 기록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 국내 거주 외국인 265만명 외국인 고객은 내국인 고객보다 환전, 해외 송금 등 서비스를 이용이 잦다. 금리 하락으로 이자 수익 감소 전망이 나오는 만큼, 금융권에서는 서비스 이용률이 높은 외국인 고객에 주목하고 있다. 기존 외국인 고객의 이용이 잦았던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특화 서비스를 확대하며 외국인 고객 추가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4대 은행의 외국인 고객 수는 600만명이다. 은행권 전체 외국인 고객의 약 75%다. KB국민은행은 외국인 고객 전용 입출금계좌인 'KB 웰컴 계좌'를 출시해 입·출금 수수료 면제, 환전 우대를 제공 중이다. 오는 30일에는 외국인 고객 전용으로 수수료를 낮춘 해외 송금 서비스 'KB 퀵센드'도 오픈한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외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비대면 계좌개설과 체크 카드 발급이 가능한 'SOL 글로벌 체크카드'를 출시했고, 올해는 비수도권에서 외국인 수가 가장 많은 김해시에 외국인 특화 지점을 오픈했다. 하나은행은 외국인 주민이 7.1%에 달하는 평택시에 외국인 전용 지점을 개설하고 38개 언어를 대상으로 실시간 번역 시스템을 도입했다. 해외 송금에 특화된 모바일 뱅킹 서비스인 '하나 EZ'도 출시해 운영 중이며, 외국인 특화 상품도 개발 중이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외국인 고객용 앱인 '우리WON글로벌'에 한국어능력시험(TOPIK) 강의를 오픈했고, 올해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정보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를 위한 국내 부동산 정보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 지방은행도 '특화 브랜드' 지방은행도 외국인 고객 확보에 힘쓴다. 우즈벡, 몽골 등 중앙아시아 고객의 이용이 많은 전북은행은 외국인 특화 브랜드 '브라보 코리아'를 출범해 알뜰폰 비교, 의료 정보 제공 등 각종 생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경남은행도 일부 지점에 다문화 직원을 배치한 '외국인 근로자 전용 창구'를 운영하고, 지역 대학을 방문해 유학생을 위한 금융교육을 제공하는 등 외국인 고객 유치에 힘쓰고 있다. 늘어나는 외국인의 금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당국도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낸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을 비대면 계좌개설을 포함한 금융거래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금감독도 외국인의 금융 접근성 제고를 위해 중요 서류 번역본 제공, 외국인 앱 확대, 특화 점포 안내 강화 등 지원 정책 마련에 나섰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 체류 외국인 근로자가 빠르게 늘고 있고, 금융 거래도 용이해지면서 외국인 고객이 은행권의 주요 고객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내국인 인구 감소 전망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은행권의 외국인 유치 경쟁은 점차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