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기사사진
횡보 염상섭 상(像) 교보빌딩 옆으로 이전

'삼대', '표본실의 청개구리' 등의 작품을 남기며 우리나라 근대 문학의 한 획을 그은 횡보 염상섭(橫步 廉想涉, 1897~1963)의 상(像)이 시민들의 곁으로 돌아온다. 교보생명은 '횡보 염상섭의 상'을 서울 종로구 삼청공원에서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종로 출입구 앞으로 이전한다고 1일 밝혔다. '횡보 염상섭의 상'(조각가 김영중 作)은 1996년 문학의 해에 한국근대문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선정된 것을 기념해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학의 해 조직위원회가 만들었다. 당시 교보생명은 협찬사로 제작에 참여했다. 누구나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벤치 형태의 브론즈 좌상으로, 많은 시민들이 접하도록 하자는 뜻에서 염상섭의 생가 부근이자 유동인구가 많은 종로구 종묘공원 입구에 설치했다. 하지만 2009년 종묘공원 정비사업 과정에서 삼청공원 약수터로 옮기게 되면서 시민들과 멀어지게 됐다. 이후 염상섭의 위상에 걸맞으면서 시민들 가까운 곳에 자리해야 한다는 여론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한국문인협회와 한국작가회의를 비롯한 문학계에서는 최적의 장소로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주변을 주목해왔다. 횡보 염상섭 상의 제자리를 찾아주자는 취지에 공감한 교보생명이 종로구청, 대산문화재단의 협조에 힘입어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남쪽 부지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광화문 교보생명빌딩은 엽상섭이 주로 활동한 광화문 네거리에 위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로 출입구는 교보문고 광화문점의 주 출입구이기도 하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횡보 염상섭 선생의 문화계 위상과 염상섭 상의 예술적 가치를 고려했을 때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장소로 옮기는 것은 우리나라 문학 발전을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라며 "앞으로 보다 많은 시민들이 그의 문학과 정신을 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2014-04-01 09:27:48 박정원 기자
경영권 공시 의결권 대리행사 소폭 증가

금융감독원은 지난 2013년 중 상장법인의 경영권 관련 공시 현황을 분석한 결과, 5%보고 및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는 전년 대비 다소 증가한 반면, 공개매수는 감소세로 전환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접수된 5%보고는 모두 7308건으로 전년 6751건 대비 8.3% 늘었다. 경영참가목적은 2.6% 증가에 그친 반면, 단순투자목적 보고가 13.8% 급증했다. 단순투자목적 보고건수가 늘어난 것은 코넥스 시장 도입, 국민연금의 운용 활성화, 국내 자산운용사 및 증권사 등 기관투자자의 매매 증가, 신규 개인투자자 증가 등 때문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말 현재 지분율 5% 이상 보유자는 전년 말보다 8.1% 증가한 3087명이다. 개인이 1682명으로 7.1%, 법인이 1405곳으로 8.5% 각각 늘었다. 상장사에 대한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는 245건으로 전년보다 10.4% 증가했다.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192건, 코스닥시장 상장사 53건을 기록했다. 회사가 주주총회 의결 정족수 확보를 위해 권유하는 경우가 89.8%인 220건으로 대부분이었고 의결권 경쟁 목적 권유는 25건으로 10.2%였다. 공개매수 신고는 7건으로 전년보다 53.3% 감소했는데 상장폐지 3건, 지주회사 요건충족 2건, 적대적 인수합병(M&A) 및 자사주 취득 각 1건으로 나타났다.

2014-04-01 08:32:33 박정원 기자
금융사 CEO, 지난해 연봉 10억~14억 받아

국내 주요 금융지주 회장과 은행장들의 지난해 연봉이 공개됐다. 31일 주요 금융사들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지주 회장들은 지난해 10억~14억원 수준의 연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4대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높은 보수를 받은 사람은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으로 한 회장은 지난해 13억9800만원을 받았다. 김정태 하나금융지주회장은 지난 한해 동안 급여 9억200만원과 상여금 4억3600만원으로 총 13억3800만원을 수령해 한 신한금융 회장과 비슷한 규모로 집계됐다.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은 지난해 보수로 모두 11억9500만원을 받았다. KB금융은 임 회장이 지난해 사장재임기간동안 급여 3억9400만원과 상여 4억3900만원으로 모두 8억3300만원을 수령했다고 공시했다. 임 회장은 지난해 7월 회장 취임 후에는 급여 3억6200만원을 받았다. 우리금융의 경우 이순우 회장이 지난해 6월 취임한데 따라 우리은행으로부터 모두 5억1000만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행장은 지난해 6월 14일부터 우리금융지주 회장을 겸직해 이후에는 은행 보수는 지급되지 않고 우리금융으로부터 보수를 지급받았다. 은행의 경우, 서진원 신한은행장의 지난해 보수총액은 13억1000만원으로 집계됐으며 김종준 하나은행장은 10억3000만원, 윤용로 전 외환은행장은 지난해 총 10억43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한편, 이번 보수총액 공개는 자본시장법 개정에 따른 것으로 이날 공개된 임원들의 대부분 보수에는 장기 인센티브 형태로 할당된 성과연동주식보상이 빠져 있어 경영실적에 따라 실제 받는 금액은 25억원 안팎이 될 가능성이 높다.

2014-03-31 18:10:08 백아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