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
"안정된 노후 위해 은퇴 후 재취업·금융교육 필요"

국내외 은퇴 전문가들은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공적 자금 부족은 전세계적인 공통 현상이라며 장년층 노동을 활성화하고 금융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하 금융교육 관련 국제기구인 INFE와 공동으로 26~27일 이틀간 서울 신라호텔에서 개최한 '글로벌 금융교육 심포지엄'에는 37개국, 150여명의 금융교육 전문가가 참여해 은퇴 후 삶을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논의했다. 최순영 자본시장연구원 박사는 "국내 은퇴 후 65~70세 인구 중에서 4명 중 1명이 어떤 형태로든 일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최근 60세 이상 고용률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는 등 은퇴 후 재취업 문제가 주요하게 불거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뉴질랜드 금융이해력 및 은퇴수입 위원회의 다이앤 맥스웰 위원은 "뉴질랜드 역시 65세 이후에 일하는 사람이 많다"며 "취업 연령이 늦춰지면서 고령까지 일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도 30세에 첫 취업하는 인구가 늘면서 충분한 은퇴자금을 모으기 위한 노동 기간이 예전보다 단축됐다. 최 박사는 "금융위기 이후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이 늦어지면서 남성과 여성의 첫 취직연령이 각각 33세, 28세로 집계됐다"며 "은퇴까지 평균 33~35년 일하던 이전 세대에 비해 현 젊은층은 30년 정도밖에 일하지 못할 뿐더러 평균 수명은 70세에서 80세로 늘어 은퇴자금 마련이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고 강조했다. 호주 증권투자위원회의 수잔 캠벨 선임 매니저는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호주도 퇴직제도만으로 편안한 노후를 보장하기 어렵다"며 "금융교육으로 은퇴자금 마련을 위한 장기저축과 투자를 장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현정기자 hjkim1@

2014-02-27 15:39:34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하나금융, 다문화 가정 어린이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다문화 자녀를 위한 특별한 입학식을 열었다. 하나금융그룹은 27일 세이브더칠드런과 함께 다문화 자녀를 위한 '하나키즈오브아시아' 6개년도 사업 추진 협약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인천종합아동복지센터에서 열린 이날 행사에는 신규로 지원한 다문화 자녀를 대상으로 한 입학식도 진행됐다. 지난 2008년부터 시작했던 '하나키즈오브아시아'는 다문화 자녀의 이중 언어와 문화교육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지금까지 서울, 인천, 안산 등 모두 400여명의 다문화가정 아동들에게 부모 나라의 언어와 문화를 함께 배우는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다문화 가정 아동과 가족 및 기타 관계자 등 총 100여명이 참석해 지난 6년간 진행해 온 사업성과 발표와 신규 아동 입학 증서 수여식, 지원 아동들의 베트남어 공연이 진행됐다. 임영호 하나금융지주 부사장은 "하나키즈오브아시아 프로그램은 다문화 존중 철학을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후원하고 있는 하나금융그룹의 대표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라며 "다문화 아동들이 어머니의 나라와 언어에 대해서 배우며 긍정적인 다문화 정체성을 갖추어 글로벌 시대에 걸맞는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2014-02-27 15:12:08 백아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