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획코너 > YG의 카톡(Car Talk)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친환경 중형 SUV 액티언 하이브리드, '뛰어난 가성비·경제성'

KG모빌리티(KGM)가 친환경차 시장 공략을 위해 내놓은 액티언 하이브리드는 뛰어난 가성비와 경제성을 갖춘 모델이다. 현대차와 기아, 르노코리아에서 출시한 기존 하이브리드 모델과 다른 전기차 감성을 완벽하게 품고 있다. KGM이 강조한 '충전하지 않는 전기차'의 콘셉트에 맞춰 조용하고 부드러운 주행 감각과 별도 충전없이 연료만으로 배터리를 자동 충전하는 시스템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액티언 하이브리드는 단일 트림(T8)으로 가격은 3695만원이다. 가격적인 부분에서도 경쟁 차종인 르노코리아의 그랑 콜레오스(3761만원)와 기아 쏘렌토(3867만원) 보다 저렴하다. 그렇다고 안전성과 편의 사양도 부족함이 없다. 최근 액티언 하이브리드의 시승을 통해 주행 감각과 차량에 적용된 첨단 기술을 확인했다. 액티언 하이브리드는 전장 4740㎜, 전폭 1910㎜, 전고 1680㎜, 휠베이스 2680㎜로 동급 경쟁 모델인 그랑 콜레오스(전장 4780㎜)와 쏘렌토(4815㎜)에 비해 작은 몸집을 갖추고 있다. 액티언 하이브리드의 전체적인 디자인은 역동적이고 스타일리시한 루프 라인을 접목해 세련된 도심형 SUV 이미지를 담아냈다. 긴 차체에 낮은 루프, 중형 SUV보다 넓은 차폭으로 안정감 있고 와이드한 디자인을 완성한다. 실내는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12.3인치 운전석 계기판과 12.3인치 AVNT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일체형으로 연결한 파노라마 디스플레이가 탑재됐다. 주행 중 시선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는 운전자 방향으로 8도가량 기울어졌다. 다만 공조기능이 디스플레이에 탑재돼 설정을 변경시 불편했다. 시승 당시 음성명령 시스템이 활성화되지 않았지만 이같은 문제만 해결될 경우 불편함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운전석은 2스포크 더블 D컷 스타일의 스티어링휠이 적용됐다. D컷 스타일 스티어링휠은 처음엔 낯설었지만 장시간 주행으로 익숙해지면서 주행하기 편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오토홀드 및 즐겨찾기 등 단축 버튼이 스티어링휠에 배치돼 사용 편의성을 한층 높여준다. 실내 공간은 패밀리카로 활용하는데 부족함이 없다. 2열 레그룸과 트렁크 적재 공간은 넉넉하며, 실용성과 스타일을 모두 고려한 설계가 인상적이다. 주행 성능은 일반 가솔린 모델보다 한층 진화했다. 가솔린 모델의 경우 1.5 가솔린 터보 엔진(170마력, 286Nm)을 적용해 빠르게 치고 나가는 힘이 부족했지만 액티언 하이브리드는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인 '듀얼 테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해 부족함을 채웠다. KGM은 액티언에 1.5터보 가솔린 하이브리드 전용 엔진과 직병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조합해 최고출력 204마력과 최대토크 300Nm(엔진·모터 회전력) 성능을 발휘하도록 했다. 또 국내 하이브리드 차량 중 최대 용량인 1.83kWh 배터리를 탑재해 주행 성능과 연비 효율을 한층 강화하고 ▲EV 모드 ▲HEV 모드(직병렬) ▲엔진 구동 모드 등 9가지 운전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 주행했을때 가솔린 대비 차량이 조용해지면서 부드러운 주행이 가능해졌다. 또 주행 거리 20㎞ 안팎 도심 구간에서는 전기 주행 모드로 94%까지 주행할 수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고속구간에서는 폭발적으로 치고 나가는 힘은 부족했지만 속력을 끌어올리는데 부족하다는 느낌은 없었다.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여주는 주행 편의 사양도 만족스러웠다. 중앙 차선 유지 보조 시스템과 반자율 주행 보조 시스템인 '인텔리전트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IACC)'을 활성화하면 장거리 주행에도 운전자의 부담을 최소화한다. 연비는 폭염으로 에어컨을 최대한 가동한 상황에서도 14.2㎞/L로 복합연비(미쉐린타이어) 14.9㎞/L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선루프가 끝까지 닫히지 않아 빛이 새어 들어온다는 점에서 차량 실내 마감 완성도는 아쉬움으로 남았다.

2025-08-05 16:19:08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단점 사라진 LPG 차량…기아 K8, 친환경성·경제성으로 주목

'낮은 출력, LPG 가스통, 겨울철 시동' 과거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소비자들이 LPG차량의 구매를 꺼려했던 문제점들이다. 그러나 최근 시승을 통해 만난 LPG 차량은 이같은 문제점을 찾아볼 수 없었다. 오히려 고속 구간에서의 민첩한 움직임과 에너지 저장공간 변화, 뛰어난 연료 효율성 등 일반 내연기관 모델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다. 이번 시승 모델은 K8 LPG 모델로 서울 여의도를 출발해 전남 목포를 경유해 돌아오는 약 700㎞ 구간에서 차량을 경험했다. 이 차의 총 배기량은 3470cc로 최고출력 240마력, 최대토크 32kgf·m를 낸다. 3.5 가솔린 모델(최고출력 300마력, 최대토크 36.6㎏·m)에 비해 힘이 부족하지만 일상이나 고속 주행에서 힘이 부족하다는 느낌은 들지 않는다. 2.5 가솔린 모델(최고출력198마력, 최대토크 25.3kg·m)보다 뛰어난 가속력을 자랑했다. 또 가다 서다를 반복하는 도심에서도 답답함 없이 민첩하게 반응했다. 'NVH(소음·진동·마찰)'면에서는 비교 대상이 됐던 디젤차에 비해 크게 안정적이다. LPG는 가솔린 차량과 엔진을 공유하기 때문에 부드러운 승차감과 연비까지 뛰어났다. 특히 신형 K8에는 전방 카메라로 인식한 노면 정보와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를 활용해 쇽업소버 감쇠력을 제어하는 '프리뷰 전자제어 서스펜션', 주행 중 차량 속도 변화에 서스펜션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고속도로 바디 모션 제어'를 적용해 안정적으로 주행을 이어갔다. LPG 모델인 만큼 경제성도 뛰어나다. 7월 4주 전국 평균 LPG의 연료단가는 1052원으로 휘발유 1667원의 70% 수준이다. 차량 연비까지 감안해도 LPG 모델은 연간 유류비를 동급 가솔린 모델 대비 약 35만원 가량 절감할 수 있다. 특히 고연비의 하이브리드 모델과 5년간 경제성을 비교해보면 약 158만원 절약이 가능하다. 도심과 고속도로 등 약 350km 주행을 마친 결과 실 연비는 10.2㎞/L를 기록하며 공인 복합연비 7.8㎞/L를 가볍게 뛰어넘었다. 또 최근 자동차 업계의 최대 이슈인 친환경성도 내연기관 모델에 비해 압도적인 성능을 발휘한다. LPG차는 미세먼지 배출량이 적고, 2차 미세먼지 발생의 주요 원인인 '질소산화물' 배출량도 현저하게 적은 친환경 자동차다. 유종별 질소산화물 배출량 비교 시험 결과, LPG차의 배출량은 0.006g/km로 경유차의 질소산화물 배출량 0.560g/km 대비 93분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배출가스(미세먼지, 질소산화물, 온실가스 등)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차량 연료별 환경피해비용'을 살펴보면 경유가 1126원/L, 휘발유는 601원/L인데 반해 LPG는 246원/L로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이런 장점은 소비자들의 차량 구매로 이어지고 있다. LPG차는 경제침체 속에서도 판매가 늘면서 지난해 가장 많이 판매된 자동차로 기록됐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서 집계한 연료별 자동차 판매현황에 따르면 2024년 1년 동안 국내에서 판매된 국산 차량은 총 136만4750대로 전년대비 9만3032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PG차는 2023년 6만8620대에서 지난해 16만2353대로 9만3733대가 증가했다. 1톤 LPG화물차와 택시 업계의 소비가 높지만 경제성을 이유로 개인 소비자들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신형 K8 3.5 리터 LPi는 친환경성 모델의 장점과 넓은 실내 공간, 정숙성 등을 두루 갖춘 패밀리 세단의 매력을 담은 모델이다. 친환경차로 급부상한 전기차보다 편리한 충전 인프라를 구축했다는 점도 장점으로 볼 수 있다. 한편 LPG 차량은 해외에서 친환경차로 주목받으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현재 72개국에서 2742만대의 LPG차가 운행 중이다. 특히 유럽은 LPG를 지구온난화 대응을 위한 친환경 대체연료로 장려하고 있어 세계 LPG차의 71%(1953만대)가 유럽에서 운행 중이다.

2025-07-29 15:46:38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소형 전기 SUV 새로운 기준 제시…르노 세닉 일렉트릭

2011년 순수 전기차 라인업을 선보인 르노가 15년간 축적된 기술을 적용해 내놓은 세닉 E-Tech 100% 일렉트릭(이하 세닉 일렉트릭)은 국내 프리미엄 소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 시장에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세닉 일렉트릭은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으로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는 모델이다. 세단 수준의 민첩한 움직임과 전기차 특유의 회생제동시 발생하는 이질감을 최소화했다. 또 지붕을 가득 채운 솔라베이 파노라믹 선루프와 12일치 대형 디스플레이, 하만카돈 스피커 등을 적용해 소형차에서 느끼지 못하는 프리미엄 감성을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4000만원대로 구매할 수 있어 가격적으로도 경쟁력을 확보했다. 지난 17일 서울 르노 성수를 출발해 양평까지 왕복 약 150㎞ 구간에서 세닉 일렉트릭을 경험했다. 세닉 일렉트릭은 SUV의 외관과 특징을 일부 가져와 역동적인 첫 인상을 주지만 낮아진 벨트라인과 부드럽고 우아한 실루엣은 세단 같은 안정적인 느낌을 선사한다. 세닉 일렉트릭은 전장 4470㎜, 전폭 1865㎜, 전고 1590㎜의 균형 잡힌 차체 비율과 2785㎜의 긴 휠베이스와 짧은 전·후면 오버행이 더해져 안정적인 라인을 완성했다. 르노 엔지니어들이 "세닉 일렉트릭이 SUV 임에도 세단 수준의 민첩한 조작감과 부드러운 주행 감각을 갖출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강조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 회전 직경은 10.9m고, 롤링 각도는 0.4도에 불과해 민첩성과 승차감 사이에서 이상적인 균형을 이룬다. 덕분에 좁은 골목에서의 방향 전환, 유턴, 주차 등 일상 운전이 훨씬 수월하며, 코너링 시 차체의 기울기를 적절히 억제해 탑승자는 우수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경쾌한 주행 감각 역시 세닉 엘렉트릭의 빼놓을 수 없는 매력이다. 비교적 가벼운 공차 중량(최소 1855kg / 최대 1915kg)에 최고 출력 160kW(218ps), 최대 토크 300Nm의 전기 모터가 결합돼 출발부터 고속 주행까지 모든 영역에서 민첩한 가속력을 발휘한다. 또 5단계 회생 제동 시스템을 적용해 주행 환경이나 운전자 성향에 따라 감속 반응을 조절할 수 있다. 소형 SUV이지만 실내 공간은 패밀리카로 사용하기 충분하다. 2열은 최대 수준인 278㎜의 무릎 공간과 884㎜의 여유로운 머리 공간을 확보해 성인 남성이 탑승해도 답답함이 느껴지지 않았다. 또 545L의 넉넉한 트렁크 적재 공간은 2열 좌석 폴딩 시 최대 1670L까지 확장 가능해 뛰어난 실용성도 확보했다. 현재 출시된 소형 SUV에서 경험할 수 없었던 첨단 기능도 탑재됐다. 바로 생활 환경 전문 기업 '생 고뱅'과 협업해 개발한 럭셔리 브랜드 사양의 '솔라베이 파노라믹 선루프'가 대표적이다. 재활용 유리를 50% 사용한 1.65m²에 달하는 넓은 면적의 글라스 루프는 전체 혹은 앞뒤 좌석을 각각 투명과 불투명 상태 중 선택할 수 있다. 세닉 일렉트릭의 가격(세제혜택 및 친환경차 인증 완료 전)은 ▲테크노 5494만~5634만원 ▲테크노 플러스 5847만~6166만원 ▲아이코닉 6337만~6656만원이다. 정부의 친환경차 인증 완료 뒤 개별소비세와 전기차 구매 보조금 등을 더하면 4600만원대로 구매가 가능할 전망이다. 지난해 '오로라 프로젝트'의 첫번째 결과물인 '그랑 콜레오스'로 부활 신호탄을 쏘아올린 르노코리아가 세닉 일렉트릭으로 소형 SUV 전기차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2025-07-21 16:35:05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기술·가격' 부족함 없는 푸조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

푸조는 국내 시장에서 뛰어난 제품완성도와 안전성을 갖춘 브랜드로 유명하다. 특히 프랑스를 대표하는 자동차 브랜드인 만큼 디자인적인 요소도 빼놓을 수 없다. 이 때문에 과거 국내에서 30·40대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운전자와 여성들이 주요 고객층을 형성했다. 이번에는 신혼부부와 생애 첫차를 고민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모델이 출시됐다. 바로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제품 완성도와 안전성은 물론 경제성까지 갖춘 모델이다. 이번 3세대 올 뉴 3008은 스텔란티스의 차세대 전동화 플랫폼 'STLA 미디엄'이 최초 적용된 모델로 디자인과 공간, 파워트레인, 기술 등 전반적으로 푸조의 혁신을 담아냈다. 첫 인상은 사자 발톱 형상의 주간 주행등으로 이어지는 경계를 없앤 전면부 등은 푸조 고유의 스포티하고 세련된 디자인 감성이 강하게 느껴진다. 지난 8일 8년 만에 완전변경 모델로 돌아온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 GT 트림을 타고 서울 송파구 소피텔 앰배서더를 출발해 경기 남양주 수동휴게소 톨게이트를 경유, 가평군 글램트리 리조트까지 왕복 약 110km를 주행했다. 우선 실내는 최신 모델답게 군더더기없는 깔끔한 디자인으로 구성됐다. 센터 콘솔 부분에 있던 변속기를 시동 버튼 옆으로 옮겨 시동과 변속에 일체감을 준다. 다만 일반 변속기와 위치가 다르다는 점에서 운전자가 적응하기 까진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중앙에 위치한 21인치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는 대시보드 위에 떠 있는 듯한 플로팅 형태로 미래적 감성과 시각적 몰입도를 높여준다. 또 한국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통풍시트와 오토홀드 등의 편의사양을 대거 적용해 편의성을 높였다. 주행 성능도 부족함이 없다. 1.2L 퓨어테크 가솔린 엔진을 탑재해 엔진·전기 모터 합산 145마력, 엔진 최대토크는 23.5㎏·m라는 점에서 주행시 느껴지는 부족함을 우려했지만 빠르게 치고 나갔다. 48V 배터리의 하이브리드 전용 6단 듀얼 클러치를 통해 시동·출발·저속 주행 시 전기 모드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100㎞/h 이상의 고속 구간에서도 가속성능이 부족하다는 느낌은 없다. 고속 구간에서도 흔들림은 크지 않다. 구불구불한 와인딩 구간에서는 단단한 접지력을 발휘했고, 핸들링은 정교했다. 다만 험한 노면의 충격과 진동은 불편하게 느껴졌다. 공인 연비는 복합 14.6km/L, 도심 14.7km/L, 고속 14.6km/L다. 푸조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의 가격은 ▲알뤼르 4490만원 ▲GT 4990만원이다. 개별소비세 인하 혜택 적용 시 각각 4425만원, 4916만3000원에 구매할 수 있다. 또 차량 구매 고객에 대해 무상보증기간이 3년·10만㎞인 만큼 소비자 부담도 최소화했다.

2025-07-09 14:40:44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정의선의 차' 넥쏘, 수소에 대한 현대차 집념…주행거리·성능·공간성 갖춰

현대자동차가 7년 만에 출시한 소수전기차(FCEV) 넥쏘의 부분변경 모델 '디 올 뉴 넥쏘'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열정이 담겨있다. 2018년 처음 출시된 넥쏘는 정의선 회장이 부회장 시절부터 개발을 주도한 모델이다. 현대차는 자사의 수소 역량을 완벽하게 담아낸 신형 넥쏘로 글로벌 수소전기차 시장의 리더십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 18일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진행된 '디 올 뉴 넥쏘' 테크 토크 및 시승회에서 김호중 현대차 책임연구원은 "넥쏘는 1998년부터 시작한 현대차의 수소 개발 여정을 상징하는 모델로 현대차가 27년간 걸어온 길을 확인할 수 있는 모델"이라며 "올곧은 신념의 결실"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소전기차만의 프리미엄 가치를 제공하는 궁극의 클린 모빌리티이자 현대차가 꿈꾸는 수소 사회에 대한 의지와 지속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신형 넥쏘는 1회 충전 주행가능거리와 가속감, 실내 공간 등 초기 모델의 단점을 완벽하게 보완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이후 진행된 시승에서 넥쏘에 대한 현대차의 남다른 자신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형 넥쏘의 외관은 1세대 넥쏘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부분 변경 보다 완전 변경에 가깝다. 현대차의 새로운 디자인 언어 '아트 오브 스틸'을 적용해 SUV 특유의 단단함과 세련된 분위기를 완벽하게 담아냈다. 실내는 물리 버튼을 최소화하고 터치식 컨트롤러를 적용해 군더더기 없는 디자인의 간결함이 묻어났다. 다만 디지털 사이드 미러는 여전히 낯설었다. 익숙해지려면 오랜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내 공간은 1세대 넥쏘보다 여유로웠다. 전장 4750㎜, 축거 2790㎜, 전고1675mm 등은 이전 모델과 큰 차이가 없지만 측면과 후면부의 직선형 디자인으로 오버행(차량 끝에서 바퀴 중심까지의 거리)이 길어지면서 공간성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고속 구간에서의 가속 성능도 한층 개선됐다. 신형 넥쏘는 150㎾급의 전동모터를 적용하고, 수소연료전지 스택의 출력을 94㎾로, 고전압 배터리의 출력은 80㎾로 키웠다. 이를 통해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가속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7.8초로 이전 모델(9.2초)보다 단축됐다. 고속 구간 주행시 빠르고 민첩하게 치고 나갔다. 또 전륜·후륜에 쇼크업소버를 적용해 주행 중 노면 충격과 차체 흔들림을 최소화했다. 연료 효율성은 기대 이상의 성적을 기록했다. 현대차는 수소 저장 탱크 용량을 이전 6.33㎏에서 6.69㎏까지 확대했으며 5분의 짧은 충전으로 최대 720㎞까지 주행할 수 있게 했다. 1회 충전 주행가능 거리는 구형 모델(609㎞)보다 100㎞ 이상 늘었다. 이날 시승한 차량의 실 연비는 ㎏당 157㎞를 기록해 복합 기준 공인 연비 95.1㎞보다 월등하게 높았다. 운전자의 운전 습관에 따라 다르겠지만 정속 주행을 한다면 1회 완충으로 1000㎞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넥쏘는 친환경 패밀리카를 고민하는 소비자에게 또다른 선택지가 될 것이다. 다만 수소충전도 등 열악한 인프라 문제는 소비로 이어지는데 발목을잡고 있다. 신형 넥쏘의 판매가격은 7644만원부터다. 정부 보조금 2250만원과 지자체 보조금 700만~1500만원을 지원받으면 실제 구매 가격은 약 3900만원으로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2025-06-25 15:05:05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공간성·주행성 팔방미인 '아틀라스' 폭스바겐 구원투수 기대

판매 부진의 늪에 빠진 폭스바겐코리아의 분위기 반전을 이끌 핵심 모델로 등판한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아틀라스. 국내 소비자들이 대형 SUV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어 아틀라스의 성공 가능성도 높은 편이다. 현대차의 팰리세이드와 포드 익스플로러 등과 대형 SUV 시장 경쟁에 나선 아틀라스의 장단점을 분석기 위해 시승을 진행했다. 시승은 서울 서초구 반포한강공원을 출발해 인천 영종도를 왕복하는 약 130㎞ 구간에서 진행했다. 아틀라스의 첫 인상은 화려함보다 정교하고 절제된 강인함이 느껴진다. 얇지만 강렬한 LED 헤드램프와 일체형으로 연결된 라디에이터 그릴, 그리고 국내 판매 중인 동급 최장 수준인 전장 5095㎜로 현대차 팰리세이드보다 길다. 전폭은 1990㎜, 전고는 1780㎜에 달한다. 아틀라스는 겉모습과 달리 실내에 다채로운 매력을 담고 있다.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와 여유로운 공간을 갖춰 패밀리카의 매력을 완벽하게 담아냈다. 우선 운전석에는 10.25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기본 적용돼 주행 중 직관적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대형 SUV인 만큼 실내 공간은 여유롭다. 7인승 모델은 2열에 60:40 폴딩을 지원하는 3인승 벤치 타입 시트가 장착됐다. 2열 좌석은 장시간 이동에도 편안함을 느낄 정도로 여유로웠고 3열도 크게 불편하지 않았다. 트렁크 용량은 동급 최대 수준인 기본 583L, 3열 폴딩 시 1572L, 2열 폴딩 시 최대 2735L에 달한다. 특히 모든 시트 폴딩 시 평평한 바닥 공간을 제공하는 '플랫 폴딩'을 지원해 어떤 환경에서나 독보적인 공간 활용도를 자랑하며, 캠핑, 서핑, 낚시 등 다양한 아웃도어 레저 활동에 적합하다. 전체적인 승차감은 부드러웠다. 도심 주행시 방지턱 등 불규칙 노면은 부드럽게 넘어갔다. 고속도로에서는 대형 SUV 특유의 롤링 현상은 느껴지지 않고 안정적인 주행감을 보여줬다. 가속 성능은 패밀리카 시장을 겨냥한 만큼 무난했다. 아틀라스는 EA888evo4 2.0L 직렬 4기통 가솔린 터보 TSI 엔진이 탑재돼 최고 출력 273마력(PS), 최대토크 37.7㎏.m의 성능을 발휘한다. 최대 290마력, 43kgf·m의 토크를 갖춘 신형 팰리세이드(2.5터보 가솔린) 보다 수치적으로 낮지만 고속구간에서 가속하는데 부족함은 느껴지지 않았다. 큰 차체에 비해 연비는 우수했다. 시승 후 연비는 10.3㎞/L로 복합 공인 연비(8.5㎞)보다 높게 나왔다. 신형 아틀라스는 2.0 TSI 4MOTION R-Line 단일 트림으로 판매되며 가격은 7인승 6770만원, 6인승 6848만원이다. 6000만원대 가격은 수입 대형 SUV를 찾는 소비자에게 아틀라스는 매력적인 모델임은 틀림없다.

2025-06-19 15:28:14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대형 SUV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연비·성능·디자인' 넘사벽

국내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차량은 팰리세이드다. 그 중에서도 하이브리드 모델은 뛰어난 주행 성능과 연료효율성을 앞세워 말 그대로 대박났다. 당장 계약해도 6개월 이상 기다려야할 정도로 물량이 밀려있는 상태다. '아빠의 SUV'로 인기를 이어온 쏘렌토의 판매량도 넘어섰다. 최근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모델(2.5L 터보 하이브리드)을 경험하면서 한층 완벽해진 상품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승은 서울 여의도를 출발해 경기도 가평군 청평호 인근을 경유해 돌아오는 약 150㎞ 구간에서 진행했다. 첫 인상은 5m가 넘는 체구와 이전 세대와 달리 각진 디자인을 적용해 '웅장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실내 공간도 여유롭다. 7인승 모델로 1열부터 3열까지 성인 남성(177㎝)이 탑승하는데 부족함이 없다. 주행 성능은 기대 이상의 성능을 발휘했다.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에 처음 탑재된 2.5L 더보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엔진 최고출력 262마력, 시스템 합산 최고출력 334마력의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2톤이 넘는 무게에도 고속도로에서 추월을 위해 속도를 높여도 빠르게 반응했다. 또 1세대 팰리세이드에서 논란이 됐던 롤링 현상은 완벽하게 사라졌다. 고속 주행 중 차선을 변경하거나 청평호 주변의 와인딩 코스를 주행해도 차체 흔들림이 크지 않았고 안정적으로 빠져나갔다. 이는 현대차가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에 구동 모터를 통한 주행 특화 기술을 적용한 덕분이다. 바로 'E-모션 드라이브' 기술을 적용해 승차감을 보완하고 코너를 돌 때 더 기민한 움직임을 만든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연비다. 고속도로와 도심, 국도 등을 주행한 결과 연비는 공인연비(14.1㎞/L)를 훌쩍 넘어서는 15.3㎞/L를 기록했다. 대형 SUV인 점을 감안하면 우수한 연비 성능을 갖추고 있다.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가격은 9인승 4982만~6186만원, 7인승 5068만~6326만원이다. 시작 가격을 기준으로 가솔린 모델보다는 600만원가량 가격이 올라가지만 주행성능과 연비 등을 고려하면 패밀리 대형 SUV로 매력적인 모델임은 틀림없다.

2025-06-09 15:53:00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야수의 심장과 스마트함 갖춘 '올 뉴 디펜더 옥타'

"최고의 고성능 오프로더이자 럭셔리 SUV 그 이상의 가치를 제공할 것."(로빈 콜건 JLR코리아 대표) 70년이 넘는 역사를 지켜온 랜드로버의 대표 모델인 디펜더. 그 중 가장 강력한 디펜더라고 평가받는 '올 뉴 디펜더 옥타(이하 디펜더 옥타)'는 지구상에서 가장 단단하고 희소한 광물인 다이아몬드에서 영감을 얻어 완성됐다. 디펜더 옥타는 전 세계 110만㎞ 이상의 주행 테스트를 진행했으며 약 1만 4000개의 성능 평가를 통해 극한의 온·오프로드 퍼포먼스를 갖추고 있다. 지난 21일 경기도 안성시에 위치한 채석장에서 디펜더 옥타의 성능을 경험하기 위해 온·오프로드 시승을 진행했다. 디펜더 옥타의 외관은 디펜더의 전통적인 헤리티지는 계승하면서도 옥타만의 강력한 디자인을 담아냈다. 오프로드 주행에 적합하도록 확장된 전면부 휠 아치와 함께 옥타만의 독보적인 개성을 표현하기 위해 글로스 블랙 컬러의 프런트 그릴을 새롭게 적용했다. 옥타의 주행 성능은 단순 수치만으로 강력함이 느껴진다. 디펜더 옥타는 마일드 하이브리드(MHEV) 기술이 적용된 4.4L 트윈 터보 V8 가솔린 엔진을 탑재해 최고 출력 635PS와 최대 토크 76.5kg·m(다이내믹 런치 모드 활성화 시 81.6kg·m)를 발휘한다. 무게 2.6톤, 차체 길이 5m를 넘지만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4초 만에 도달하는 폭발적인 가속력을 자랑한다. 디펜더 옥타는 온로드에서 뛰어난 주행 성능을 발휘했다. 안성 채석장에서 충북 진천의 한 카페까지 약 32㎞를 주행했다. 경사진 오르막이나 급격한 코너길에서도 흔들리거나 밀리지 않고 막힘없는 강력한 퍼포먼스를 보여줬다. 이 차량이 5m가 넘는 차량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였다. 특히 스티어링 휠 중앙 하단에 위치한 버튼을 길게 누르면 옥타 모드로 바뀌는데 배기음과 주행 퍼포펀스는 운전자의 심장을 두근거리게 했다. 디펜더 옥타는 오프로드 구간에서 첨단 기술을 완벽하게 경험할 수 있다. 40㎝ 깊이의 수심을 건너고 38도의 경사로를 오르는 등 자칫 잘못하면 위험할 수 있는 험로에서도 디펜더 옥타의 움직임은 매우 안정적이다. 차량의 외부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운전자가 수심 깊이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가파른 오르막 내리막 경사로와 머드(진흙길), 사면 등에서 디펜더 최초로 도입한 유압식 인터링크 D6 다이내믹스 서스펜션은 투박함없이 부드러운 주행을 이어갔다. 전자식 중앙 및 리어 디퍼런셜은 지형에 따라 전·후륜 간 토크를 능동적으로 조절하며 6D 다이내믹스 서스펜션은 차체 롤을 억제해 안정적인 토크 전달을 지원한다. 디펜더 옥타는 G바겐, 브롱코 등 경쟁 모델과 비교해도 부족함이 없는 성능을 과시했다. 디펜더 옥타의 가격은 2억2497만원이다. 다만 디펜더 130 모델보다 약 7500만원인 비싼 몸값은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2025-05-29 14:32:20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가성비갑' BYD 아토3 흥을 돋구는 신박한 기능

전세계 전기차 판매량 1위에 이름을 올렸던 중국 전기차 브랜드 BYD의 아토3는 단순히 가격만 좋은 모델이 아니었다. 최근 시승을 통해 경험한 아토3는 안정적인 주행 성능과 뛰어난 전비(전기차 연비)를 갖추고 있었다. 여기에 다양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제품 경쟁력을 갖춘 아토3는 지난달 국내 수입 전기차 시장에서 543대 판매되며 1위에 이름을 올렸다. 테슬라 모델Y 롱레인지(533대)를 근소한 차이로 넘어서며 이목을 집중시켰다. 아토3의 첫 느낌은 기대했던 수준 이하도 이상도 아닌 평범한 소형 전기 SUV 였다. 특히 2018년 국내 처음 출시된 중국산 내연기관 중형 SUV 켄보600의 성능에 실망했던 탓에 기대감도 높지 않았다. 그러나 아토3는 그동안의 중국 브랜드에 대한 '선입견'을 깨뜨려줬다. 시승 구간은 서울 여의도를 출발해 경기도 용인시 에버랜드 일대를 경유해 돌아오는 약 100㎞에서 진행했다. 막히는 서울 도심 주행과 고속도로 그리고 고저차가 많은 도로를 주행했다. 시승 모델은 아토3 플러스 트림(3330만원)으로 전기차 보조금을 적용하면 2000만원 후반대에 구매할 수 있다. 밋밋한 외관과 달리 아토3 실내는 기존에 볼 수 없는 신선함이 묻어났다. 주행 중 세로로 돌아가는 12.8인치 디스플레이와 돌출된 형태의 도어 손잡이, 부드러운 감촉의 내장재 등이 눈길을 끌었다. 실내 공간은 소형 SUV지만 부족함이 느껴지지 않았다. 아토3는 전장 4455㎜, 전폭 1875㎜, 전고 1615㎜로 기아 EV3보다 크다. 또 무선 애플 카플레이와 안드로이드 오토도 지원했다. 주행 성능은 전기차 특유의 묵직함을 품고 있으면서 운전자가 원하는 만큼 민첩하게 움직였다. 고속 주행에서도 부족함은 느껴지지 않았다. 이는 BYD가 자랑하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e-Platform 3.0'과 모든 전기 제어 장치 및 관리 시스템을 연결하는 양산형 '8-in-1 전기 파워트레인'의 완벽한 조합 덕분이다. 아토3는 전륜구동 모터를 탑재해 최고출력은 150kW, 최대토크는 310N.m을 발휘한다. 최고속도는 시속 160㎞로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7.3초 만에 도달한다. 여기에 휴대전화 무선 충전, 디지털 키(NFC카드 키 포함), 전동 시트, 티맵 내비게이션, 전좌석 원터치 파워 윈도우 등 높은 수준의 편의사양도 기본으로 갖추고 있다. 특히 아토3의 노래방 기능은 또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아토3는 노래방 앱과 전용 마이크가 있어 이동하는 동안 원하는 노래를 선택해 부를 수 있다. 다만 아쉬운점은 달리는 동안 노면 진동·소음과 풍절음은 생각보다 크다는 점이다. EV3 등 경쟁 제품을 시승하면서 느껴지지 않았던 부분이다. 또 주행 중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을 실행하면 차간 거리 조절이 불안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또 음성 제어 시스템을 실행하고 '창문을 열어줘'라고 했지만 해당 서비스는 지원하지 않았다. 아토3는 기본 모델(3150만원)과 플러스 모델 등 2가지 트림으로 출시됐다. 보조금을 받을 경우 2000만원대에 구매할 수 있어 가성비 좋은 전기차나 도심형 세컨카를 고민하는 소비자에게 최적의 모델이 될 수 있다.

2025-05-12 15:02:14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아우디답다' Q6 e-트론, 프리미엄 전기차 정수…주행성능·배터리효율↑

전기차 특유의 무게감이나 회생제동에 의한 꿀럼거림이 전혀 느껴지지 않았다. 기본기를 탄탄하게 갖춘 충실한 내구성을 갖춘 모범생이라는 표현이 어울린다. 바로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 아우디가 새롭게 선보인 Q6 e-트론을 최근 시승하면서 들었던 생각이다. 이 차량은 폭스바겐그룹의 전기차 전용 프리미엄 플랫폼 일렉트릭(PPE)를 처음적용한 모델로 뛰어난 배터리 효율과 안전성을 갖추고 있다. Q6 e-트론은 퍼포먼스·퍼포먼스 프리미엄·콰트로 프리미엄, SQ6 e-트론 등 네 가지 트림으로 나뉘며 가격은 8290만원부터다. 이날 시승한 차량은 퍼포먼스 프리미엄 트림으로 증강현실 헤드업 디스플레이(AR HUD), 30-컬러 앰비언트 라이트, 뱅앤올룹슨 3D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등의 '테크 패키지 프로', 매트릭스 헤드라이트·디지털 OLED 테일라이트 등의 '라이트 패키지'가 적용됐다. 시승은 서울 종로구 아우디코리아 본사에서 출발해 경기 양평, 광주, 강원 원주 일대를 오가는 왕복 240km 구간에서 이뤄졌다. 서울 도심과 외곽 고속도로, 굽이진 와인딩 구간까지 다양한 코스를 체험할 수 있었다. 우선 Q6 e-트론의 첫 인상은 역동적인 스포츠 SUV의 역동적인 모습이 느껴졌다. 특히 전면부는 폐쇄형 전기차 그릴 위에 아우디 '포링(4 Ring)'을 평면화한 새로운 로고를 적용했다. 날렵한 실루엣을 주간주행등(DRL) '조명 명가' 다운 디자인을 완성했다. 테일램프 역시 OLED를 이용해 고급스럽게 디자인했다. 후면 테일램프도 고급스러웠다. 실내는 기존 Q4 e-트론과 달리 하나의 곡선 디스플레이를 적용했으며 보조석 탑승자를 위한 10.9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 보조석 탑증하는 운전석과 별도로 내비게이션과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다. 차체는 중형급으로 크지 않지만, 실내 공간성은 대형 SUV만큼 여유롭다. 주행 성능과 배터리 효율성은 매력적이다. 우선 주행 성능은 '아우디답다'라는 말이 절로 나왔다. 전기차 특유의 불편함은 느껴지지 않았고 일반 내연기관차를 주행한다는 느낌이 강했다. 고속 주행과 굽이진 와인딩 구간에서는 빠르고 안정적을 주행을 이어갔다. 차량은 최고 출력 225㎾, 최대 토크 49.46㎏.m의 성능을 발휘한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까지 걸리는 시간(제로백)은 6.7초다. 여기에 공인 복합 전비는 kWh당 4.3㎞지만 이날 실제 주행 전비는 5.1㎞를 기록했다. 배터리 용량 10%에서 80%까지 21분만에 충전가능하다는 점도 장점 중 하나다. 아우디가 Q6 e-트론을 소개하면서 100㎾h 최신 고전압배터리를 적용했으며 PPE 플랫폼과 800V 아키텍쳐와 최적의 호환성으로 주행거리와 충전성능을 대폭 개선했다고 강조한 부분을 직접 체감하 수 있었다. 아우디 Q6 e-트론은 내연기관차의 매력을 완벽하게 담아낸 프리미엄 전기차를 고민하는 소비자에게 딱 맞는 모델이다.

2025-05-04 07:55:24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가격·성능·공간성' 팔방미인 토레스 하이브리드

KG모빌리티의 첫 하이브리드 모델 토레스는 위기에 빠진 회사를 살리고 재도약의 신호탄을 쏘아올린 모델이다. 2022년 출시 당시 기아의 대표 중형 SUV 쏘렌토의 판매량을 추격하며 국내 판매량 2위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이같은 인기 모델이 하이브리드라는 무기를 장착하고 국내 하이브리드 SUV 시장 공략에 나섰다.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KG모빌리티(이하 KGM)의 내수 시장을 이끌 핵심 차량으로 다양한 매력을 갖추고 있다. 최근 시승을 위해 만난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근육질 몸매를 자랑하지만 내적으로는 부드러운 반전 매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KGM이 사상 처음으로 선보이는 하이브리드 모델인 만큼 연비 효율성과 완벽한 주행 밸런스를 확보했다. 시승은 서울 강남구 세곡동에 위치한 'KG모빌리티 익스피리언스 센터 강남'을 출발해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의 한 카페까지 왕복 60㎞ 구간에서 진행했다. 고속도로와 근교 국도의 와인딩 코스를 주행했다. 토레스 하이브리드 첫 인상은 기존 내연기관 모델의 디자인을 계승해 정통 SUV답게 강인한 느낌을 준다. 후면에는 스페어타이어를 형상화한 육각형의 장식이 더해져 정통 SUV 스타일을 완벽하게 표현했다. 반면 겉모습과 달리 도로위에서는 하이브리드의 부드러운 승차감을 느낄 수 있다. KGM은 토레스 하이브리드에 흡음형 20인치 타이어를 적용해 노면 소음과 진동을 차단했으며, 엔진룸과 엔진커버, 휠하우스 등에 흡차음재를 적용해 정숙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가장 큰 매력은 경쟁 모델 대비 뛰어난 연료 효율성이다.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내연기관과 순수 전기차(BEV)의 중간인 하이브리드차(HEV)로 분류되지만 이날 실제 주행해 보니 전기차에 가깝다는 느낌을 받았다. 저속은 물론 시속 80㎞ 이상 고속 주행에서도 전기 모터만으로 주행을 이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국내 하이브리드차 중 가장 큰 배터리(1.83㎾h)와 모터(130㎾h)를 적용해 효율성을 극대화한 덕분이다. KG모빌리티는 연비 측정 방식인 cvs75 모드로 도심을 주행하면 94%는 전기 모드로 주행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실 주행 연비는 공인 복합연비(15.7㎞/L)를 가볍게 넘어선 20.4㎞/L를 기록했다. 토요타 SUV 라브4와 비교해도 부족함이 느껴지지 않았다.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고객 요구 사항을 적극 반영해 편의 사양을 대폭 개선했다. 12.3인치 디지털 클러스터는 주야간 통합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적용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아테나 2.0'을 적용해 각종 운행 정보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으며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OTA), 내비게이션 맵 클러스터 듀얼맵 확장 기능 추가, 2열 히팅시트 제어 메뉴 추가 등 운전자 편의사양을 업그레이드 했다. 뿐만 아니라 최첨단 안전 시스템을 적용해 탑승자의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보호한다. 최첨단 자율주행 보조 시스템인 인텔리전트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IACC) 및 첨단 주행안전 보조 시스템 딥컨트롤을 비롯해 긴급제동 보조(AEB), 안전 하차 경고(SEW) 안전거리 경고(SDW), 차선 이탈 경고(LDW) 등 최첨단 안전 기술이 대거 적용됐다. 차선유지보조 기능을 설정한 뒤 고속도로를 주행하면 차선 흐름에 맞춰 핸들이 자동으로 각도를 조절하며 매끄러운 주행을 이어갔다. 토레스 하이브리드의 가장 큰 매력은 가격이다. 토레스 하이브리드는 개소세(3.5%) 및 친환경차 세제혜택을 받으면 T5 3140만원, T7 3635만원이다. 경쟁 차량들의 가격이 4000만원 중반대를 형성하는 만큼 가격적인 부분에서는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을 갖추고 있다.

2025-04-15 16:20:10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타스만 픽업 시장 변화 일으키나…정통픽업 DNA 품은 패밀리카

'픽업트럭은 실용성이 뛰어나지만 다목적성은 부족하다는 선입견을 완벽하게 바꿨다.' 기아 브랜드 최초의 픽업트럭 '더 기아 타스만'을 시승하면서 느꼈던 생각이다. 타스만은 온로드와 오프로드 주행은 물론 실내 공간의 불편함을 완벽하게 보완한 패밀리 픽업트럭이다. 전체적인 느낌은 강인한 정통 픽업트럭의 모습을 지녔지만 실내는 기존 스포츠유틸리티차(SUV)와 같은 편의성을 갖추고 있다. 주행 성능도 기존 픽업트럭의 거친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최근 강원도 인제 일대에서 기아의 첫 픽업트럭인 타스만을 시승했다. 시승은 오프로드와 일반 도로, 임시도로 코스에서 진행됐다. 타스만은 길이 5410㎜에 휠베이스 3270mm로 엄청난 크기를 자랑한다. 픽업의 핵심 공간인 적재함은 길이 1512㎜, 너비 1572㎜, 높이 540㎜로 약 117Lℓ(VDA 기준)의 저장 공간에 최대 700㎏을 적재할 수 있게 설계했다. 휠 하우스 간 너비는 1186㎜로 각 국가별 표준 팔레트 수납이 가능할 정도로 탄탄한 기본기를 갖추고 있다. 우선 타스만 기본 모델로 진행된 일반 도로 주행(편도 30㎞)에서는 SUV의 편안함을 즐길 수 있었다. 타스만은 2.5터보 가솔린 엔진 단일 모델로 출시됐다. 8단 자동 변속기를 조합해 최고 281마력, 최대 토크 43.0㎏f.m의 동력 성능을 갖췄다. 일반 도로 주행에서 풍절음이나 노면 진동, 소음은 물론 엔진음도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가속력도 부족함이 없었지만 약간의 롤링(주행 중에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은 느껴졌다. 연비는 복합연비(8.6㎞/L)를 가볍게 넘어서는 9.8㎞/L를 기록했다.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2열시트다. 리클라이닝 기능을 접목해 기존 픽업트럭 2열 좌석의 불편함을 없앴다. 기아 관계자는 "2열 시트는 리클라이닝 기능을 통해 뒷좌석 탑승객들이 편안하게 앉아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며 "이 시트는 앞뒤로 60㎜ 움직이고 그에 맞춰 등받이 각도도 22도에서 30도까지 조절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주행질감도 부드럽고 민첩했다. 보디 온 프레임의 단점으로 꼽히는 실내 진동도 6개의 마운트 부싱을 적용해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픽업트럭의 매력을 완벽하게 경험할 수 있는 오프로드와 임시도로 코스에서는 즐거움이 배가 됐다. 일반 도로 주행과 달리 울퉁불퉁한 자갈과 진흙, 물도 거침없이 달리는 정통 픽업트럭의 매력을 완벽하게 보여줬다. 오프로드 특화 모델인 '타스만 엑스-프로'(X-Pro)로 진행된 오프로드 코스에서는 약 5.2㎞ 구간으로 ▲도강 성능 ▲험지 주행 능력 ▲등판 ▲경사각 주행 ▲서스펜션 강성 등을 두루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엑스 프로는 기본 모델보다 최저 지상고가 252㎜ 높고 흡기구를 전면부가 아닌 측면 펜더 내부 상단에 적용한 것이 핵심이다. 덕분에 45도 각도의 경사면은 물론 50㎝ 깊이의 물길도 안정적으로 주행했다. 이어 해발 740m의 박달고치 전망대를 오가는 약 12㎞ 구간의 코스를 달렸다. 전날 내린 눈이 녹으면서 진흙과 자갈, 모래가 뒤섞여 노면이 미끄러웠지만 저단 기어(4L)로 설정한 뒤 정상까지 안정적으로 주행했다. 진흙진 구간에서 차량이 조금씩 밀렸지만 최적의 토크를 자동으로 배분하며 정상까지 민첩하게 이동했다. 가파른 내리막길에서는 DBC(Downhill Brake Control) 기능을 이용해 브레이크 페달을 사용하지 않고도 내려올 수 있었다. 타스만의 가격은 ▲다이내믹 3750만원 ▲어드벤처 4110만원 ▲익스트림 4490만원이며 ▲엑스-프로 모델은 5240만원이다.

2025-04-08 15:35:55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출고 대기만 약 1년 '카니발 하이브리드' 매력분석

"이젠 더이상 고민하지 않아도 되겠네요." 최근 기아 카니발 하이브리드를 경험한 지인의 이야기다. 카니발은 넓은 공간과 다양한 편의기능을 갖추고 있어 출시 후 꾸준히 패밀리카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한가지 아쉬운 점은 바로 연비다. 무겁고 넓은 차체로 안전성과 공간성은 확보했지만 그만큼 차량 이동을 위해서는 연료소모가 컸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라인업이 출시되면서 이같은 고민은 하루아침에 사라졌다. 결론부터 말하면 평소 여행을 즐기는 가족에게 '안성 맞춤'인 차량이다. 최근 국내 대표 대형 RV 카니발의 연식 변경 모델인 더 2025 카니발 하이브리드 모델의 시승을 진행했다. 시승은 서울 여의도를 출발해 강원도에 위치한 춘천역 일대를 경유해 돌아오는 약 200㎞ 구간에서 진행했다. 이 차는 이전 모델 대비 안전과 편의사양을 강화했다. 모든 트림에 차로 중앙 유지 기능을 강화한 '차로 유지 보조(LFA) 2'를 탑재했다. 또 정전식 센서를 활용한 운전대 그립 감지 기능 등을 적용했다. 덕분에 고속 구간에서는 앞차와의 거리와 차로 중앙으로 똑똑하게 달린다. 덕분에 장거리 주행에도 운전자의 피로도는 크지 않았다. 실내 공간성도 매력적이다. 카니발은 길이 5155㎜, 높이 1785㎜(루프랙 포함)에 달한다. 너비는 1995㎜, 휠베이스(앞·뒷바퀴 중심 축간거리)는 3090㎜로 넓은 공간을 제공한다. 시승 차량에는 두 가족(8명)이 탑승했지만 크게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았다. 다만 9인승은 4열까지 사용하면 적재공간이 협소해 아쉬움이 있다. 차량의 주행 성능은 부족함없이 안정적이다. 1.6T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강력하지 않지만 카니발을 끌고 나가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180마력(5500RPM) 엔진의 최고출력과 54KW 모터가 완벽한 조화를 이뤘다. 엔진의 최대토크는 27.0kg.m(1500~4500RPM)며, 모터의 최대토크는 304Nm다. 또 고속도로에서는 시속 110㎞ 이상의 고속 주행에도 풍절음이나 노면 소음의 느껴지지 않았다. 와인딩 구간에서도 차체 흔들림은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안정적인 주행을 이어갔다.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연비다. 두 가족이 차량에 탑승하고 도심과 고속도로를 주행했지만 연비는 14.7㎞/L로 뛰어난 수치를 기록했다. 대형 차량임에도 이같은 합리적인 연비를 기록할 수 있는 기술의 진화를 다시끔 느낄 수 있었다. 다만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출시된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차량을 인도받기까지 다소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3월 현재 기준 출고까지 약 10~11개월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5 카니발 하이브리드 9인승의 트림별 가격은 ▲프레스티지 4006만원 ▲노블레스 4446만원 ▲시그니처 4811만원이다.

2025-03-25 15:18:12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프리미엄 가성비' 국내 시장서 돌풍…EX 30 디자인·성능 '매력 뿜뿜'

"(EX30의) 올해 판매 목표를 3000대로 잡았으며 앞으로 볼보의 10년을 새롭게 열어갈 모델이다."(이윤모 볼보자동차코리아 대표) 이윤모 대표는 올해 새롭게 선보인 프리미엄 전기 소형 SUV '볼보 EX30'을 공개하면서 이처럼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국내 전기차 시장 캐즘(일시적 수요정체기)의 원인이 된 비싼 가격과 안전성 등의 문제를 완벽하게 대응하고 다시한번 전기차 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초반 분위기는 성공적이다. EX30은 출시 3주만에 1만6000여건에 이르는 시승 신청이 이어지며 국내 소비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고, 초도 물량은 이미 완판된 상태다. 이 모델은 지난해 글로벌 시장에서 약 10만대(9만8065대) 판매고를 기록했고, 유럽에서 7만8032대를 판매하며 프리미엄 전기차 판매 1위에 오를 만큼 탄탄한 기본기를 갖추고 있다. 실제 시승을 통해 경험한 EX30은 다양한 매력을 품고 있다. 우선 소형 SUV 이지만 장거리 주행도 거뜬하다. 이윤모 대표는 이달 초 출시·시승행사를 위해 경기도 분당에서 경남 김해까지 약 350㎞를 EX30으로 직접 주행한 영상을 공개했다. 해당 영상에서 완충상태인 EX30으로 약 350㎞ 주행 후 도착, 남은 주행가능거리는 75㎞를 기록했다. 이를 계산하면 실제 주행가능거리는 430㎞까지 가능하다. 이는 국내 인증 기준 1회 충전시 주행가능거리인 351㎞(상온 351㎞, 저온 302㎞)를 훌쩍 뛰어넘는 수준으로 서울-부산(408㎞), 서울-목포(340㎞)도 주행이 가능하다. EX 30은 66kkWh의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장착했고, 여기에 200kW 모터를 결합했다. EX30은 실제 주행에서 뛰어난 연비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 한파가 찾아온 2월 초 영하의 날씨임에도 매력적인 주행거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하의 날씨로 히터와 열선 시트를 활성화했지만 출발전 배터리는 72%(주행가능거리 218㎞)에서 65㎞ 주행후 54%(180㎞)를 기록했다. 주행거리보다 뛰어난 배터리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 272마력의 모터 출력과, 35.0kg.m의 최대토크를 확보해 고속주행에서 힘은 부족함이 없었다. 제로백은 5.3초만에 도달할 수 있다. 다만 아쉬운 부분은 2열 실내 공간이다. 177㎝ 성인 남성이 탑승하면 좁다는 느낌을 받는다. 또 탑승자에게 탁 트인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차내 천장을 통유리로 적용했지만 햇빛이 반사되어 운전자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별도로 엑세서리를 구매해 햇빛 가림막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에 창문을 여닫는 버튼은 센터 패널로, 사이드미러를 조절하는 버튼은 디스플레이로 옮겨가며 운전자가 적응하기까지 다소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볼보 브랜드의 가장 큰 강점인 '안전'은 한층 강화됐다. 주행 중 하품이나 스마트폰 조작, 창밖을 바라볼 경우 차량이 운전자의 움직임을 감지해 자동으로 소음 등 경고를 보냈다. 또 티맵 모빌리티와 함께 개발한 5G 기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플랫폼은 정확히 음성을 인식했다. "아리야, 히터 꺼줘", "아리야 오늘 날씨 정보 알려줘"등을 물어보면 빠르게 대응했다. EX30은 코어와 울트라 두 가지 트림으로 출시된다. 코어 트림은 4700만원대, 울트라 사양은 5100만원대로 책정됐다. 국고 및 지자체 전기차 보조금 적용 시, 4000만원 초반대까지도 가격이 내려간다. EX30은 신혼부부나 주로 2인이 차량을 이용하는 운전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25-02-23 13:41:16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대접받는 차' 탑승자를 배려하는 '아이오닉 9'…플래그십 전기 SUV 답다

자동차를 담당하는 기자의 직업 특성상 소형부터 플래그십모델까지 다양한 차량을 경험한다. 마이바흐나 포르쉐는 물론 메르세데스-벤츠, BMW, 지프, 볼보 등 브랜드도 다양하다. 시승을 하면서 주행성능과 공간성, 활용성, 디자인 등 다양한 부분의 장단점을 분석한다. 그런데 오랜만에 운전하는 동안 대접받는 기분이 드는 차량을 만났다. 바로 현대차의 플래그십 전기 SUV '아이오닉 9'이다. 보통 메르세데스-벤츠의 마이바흐나 BMW 7시리즈의 뒷좌석에 탑승할 때지만 아이오닉 9은 직접 운전을 하는 순간에도 이같은 느낌을 받았다. 시승은 최상위 트림인 '캘리그래피' 7인승 모델로 서울 광진구 그랜드 워커힐 서울을 출발해 경기도 양평에 위치한 이함캠퍼스까지 왕복 100㎞ 구간에서 진행했다. 첫 느낌은 플래그십 모델인 만큼 압도적인 크기를 자랑했다. 전장은 5060㎜, 전폭 1980㎜으로 현대차 팰리세이드(전장 5060㎜, 전폭 1980㎜)와 동일했다. 실내 공간은 전기차인 만큼 팰리세이드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했다. 1, 2, 3열 모두 성인 남성이 탑승해도 부족함이 없었다. 이같은 뛰어난 공간성을 갖추고 있어 편안한 집 거실에 있는 듯한 아늑함이 느껴졌다. 운전석 대시보드는 사용자 중심의 직선형 레이아웃과 자연을 닮은 타원형의 디자인 디테일, 고급스러운 소재가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내추럴 라운지의 아늑하고 평온한 실내 분위기를 완성해준다. 또 공조컨트롤 밑에 설치된 프론트 콘솔(자외선 살균 시스템)은 UVC 자외선 살균 조명을 적용해 스마트폰과 장갑, 마스트 등의 물건을 간편하게 위생 관리할 수 있다. 또 아이오닉 9은 긴 휠베이스(축간거리)와 3열까지 확장된 플랫 플로어(평평한 바닥)로 여유로운 공간을 제공했다. '살아보세요. 아이오닉 9'이라는 광고 슬로건이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2.7톤에 이르는 무거운 전기차지만 주행성능은 매력적이다. 아이오닉 9은 국내 최초 110.3kWh 대용량 배터리를 적용했으며 최고출력 422마력, 최대토크 71.4kgf·m 힘을 발휘한다. 초반 가속력은 물론 고속도로에서도 운전자가 원하는 만큼 빠르게 속도를 높였다. 이같은 주행 성능은 2개 전기 모터와 고용량 배터리 덕분이다. 1회 충전 시 모델에 따라 501~532㎞까지 주행할 수 있다. 아이오닉 9은 프리미엄 전기 SUV의 면모도 완벽하게 갖추고 있다. 단 24분만에 배터리 용량을 10%에서 80%까지 충전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적용했다. 또 첨단 기능도 대거 탑재해 운전자의 부담을 최소화한다. 미국자동차공학회(SAE) 기준 레벨2 수준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을 기본 적용해 고속도로 주행시 주행 안전성과 편의성을 확보한다. 고속도로에서는 운전자가 개입하지 않아도 스스로 주행을 이어갈 정도로 뛰어난 성능을 보여줬다. 현대차는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기능도 추가했다. 구독형 서비스(Fod)를 통해 센터를 방문하거나 별도 장비를 연결하지 않아도 SW 최신화로 차량 기능을 보완하면서 추가할 수 있다. 아이오닉9의 판매 가격은 7인승은 6715만원부터, 6인승은 6903만원부터 시작된다. 전기차 보조금을 적용하면 6000만원 초반대에 구매할 수 있다.

2025-02-19 14:41:53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1000㎞ 거뜬' 벤츠, E220d 친환경 품은 디젤

벤츠의 11세대 E220d 4MATIC 익스클루시브(이하 E220d)는 '꽃향기를 맡으면 힘이 솟는 꼬마자동차'를 떠올리게 한다. 꼬마자동차 붕붕은 꽃향기를 맡으면 힘이 솟아 경주에서 언제나 승리를 거둔다. E220d는 꽃향기는 아니지만 기름 냄새만 맡아도 어디든지 갈 수 있었다. 디젤차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것이라는 오해로 한동안 소비자들에게 외면받았지만 적극적인 대처와 기술 발전을 통해 환경 문제 해결과 경제적 이점을 극대화하는 모델로 거듭난 덕분이다. 최근 시승한 벤츠 E220d는 디젤 모델이지만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해 환경 문제와 소음 등을 최소화하고 뛰어난 경제성을 확보했다. E220d의 가장 큰 매력은 주행거리다. E220d는 4기통 디젤 엔진(OM654M)을 장착해 최대 출력 197 ps, 최대 토크 44.9 kgf·m를 제공한다. 여기에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2세대 통합 스타터 제너레이터(ISG)를 통해 내연기관 엔진에 추가적인 전기 공급으로 가속 시 최대 17 kW의 힘을 추가 제공하며 신속하고 부드러운 엔진 시동을 돕는다. 주행거리는 말 그대로 넘사벽(넘을 수 없는 사차원의 벽) 주순이다. 서울 여의도를 출발해 전라남도 목포를 경유해 돌아오는 왕복 700㎞를 주행하고도 300㎞ 이상 주행이 가능했다. 고급 세단의 연비가 안 좋다는 편견이 깨지는 순간이었다. 실제 도심과 고속도로를 주행한 결과 연비는 19.8㎞/L로 공인 연비(15.4㎞/L)를 훌쩍 뛰어넘었다. 실내 공간성도 부족함이 없었다. 휠베이스는 이전 세대보다 20㎜ 길어졌고, 운전석 헤드룸은 5㎜, 뒷좌석 레그룸은 최대 17㎜ 증가하면서 여유로운 공간을 제공했다. 트렁크 공간은 최대 540L까지 적재 가능하다. E클래스는 벤츠의 핵심 모델로 75년 이상의 역사가 담긴 모델인 만큼 승차감도 고급스러움이 느껴졌다. 고속 주행에서의 풍절음과 불규칙 노면에서의 진동과 소음은 느껴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전체적인 차량 형태와 A 필러와 사이드미러의 각도 등을 세밀하게 설계했다는고 회사는 설명했다. 차량 설계 과정의 디테일함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 도어 및 윈도우 실링과 방음재 등에도 적극 대응했음을 느낄 수 있다. 고속 주행 시 차체 역시 흔들림이 거의 느껴지지 않았고, 급하게 방지턱을 통과할 때도 충격을 최소화해 탑승자에게 안락한 승차감을 제공했다. 다만 벤츠 특유의 물컹한 승차감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 또 차량의 기본적인 조향 감각이나 조향에 따른차량의 움직임은 언제나 부드러웠다. 차량의 무게와 크기를 느낄 수 없었다. 여기에 첨단 주행 보조 시스템도 한 단계 진화해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이고 편의성을 확대했다. 가장 최신 버전의 주행 보조시스템인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 플러스가 기본 사양으로 탑재된다. 앞차와의 간격 유지 및 자동 속도 조절, 제동 및 출발을 지원하는 액티브 디스턴스 어시스트 디스트로닉, 최대 100km/h의 속도 범위 내에서 도로 위에 정지되어 있는 차량에 반응하는 액티브 브레이크 어시스트, 360도 카메라를 통해 차선을 감지하는 액티브 스티어링 어시스트 등이 포함된다. 벤츠 E220d는 평소 가족 여행이나 장거리 주행이 많은 운전자에게 추천하고 싶은 모델이다. E220d의 차량 가격은 8180만원이다.

2025-02-12 16:20:21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어떡하나' 6년만에 새롭게 돌아온 신형 팰리세이드, 완벽한 진화

"아빠 이차 좋아요·디자인 너무 예뻐요." 지난달 21일 고양 현대모터스튜디오 1층 전시장을 찾은 가족단위 방문객들의 관심은 현대자동차가 새롭게 선보인 2세대 팰리세이드에 집중됐다. 특히 부모님의 손을 잡고 온 아이들은 넓은 공간을 갖춘 팰리세이드를 타고 싶다며 조르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팰리세이드는 2018년 첫 출시 이후 글로벌 누적 87만대를 넘기며 현대차의 대표 스포츠유틸리티차(SUV)로 자리잡았다. 넓은 실내 공간과 독창적인 디자인을 적용해 한국의 대표 패밀리 SUV라는 타이틀을 얻었다. 그만큼 6년만에 새롭게 선보인 팰리세이드를 만난 소비자들의 기대감도 한층 고조되고 있다. 이미 사전계약 물량만 4만5000대를 넘어서며 인기를 검증하고 있다. 이날 2세대 팰리세이드의 시승을 진행하며 차량의 매력을 분석했다. 일단 첫 인상은 한층 커진 차체와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적용해 더욱 강인해졌다. 전장과 전고, 전폭 모두 1세대 모델보다 커졌다. 전장은 65㎜ 길어진 5060㎜, 전고는 15㎜ 높아진 1805㎜, 전폭은 5㎜ 늘어난 1980㎜다. 3열과 트렁크의 공간성을 극대화하기 위한것으로 보인다. 덕분에 3열에 성인 남성(키 177㎝)이 탑승해도 답답하거나 불편함은 느껴지지 않았다. 다만 성인 남성 3명이 탑승하긴 무리가 있었다. 트렁크 용량은 317 L이며, 3열 시트를 접으면 729L까지 늘어난다. 주행성능은 1세대의 부족함을 완벽하게 개선했다. 차체가 크고 전륜 구동 모델에서 발생하는 롤링 현상도 느껴지지 않았다. 이는 엔진과 구동계, 차체 바닥 부품을 낮게 배치해 전체적으로 무게 중심을 낮춘 덕분이다. 도속 구간에서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주행을 이어갔고 가속 성능도 부족함이 없었다. 시승차량은 2.5L 가솔린 터보 모델로 최고출력 281마력, 최대토크 43.0㎏f·m를 제공한다. 큰 차체를 움직이기에 힘이 부족하지 않았으며, 고속 주행에도 무게 중심이 낮은 세단처럼 바닥을 단단하게 잡고 달리는 점은 인상적이다.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에도 흔들림은 크지 않았다. 실내 곳곳에는 패밀리카가 갖춰야하는 다양한 편의기능을 적용했다. 1열 중앙에 위치한 12.3인치 디스플레이는 운전석 방향으로 각도 조정이 가능하며 디지털 센터 룸미러는 화질이 선명해 운전의 부담을 줄여줬다. 2열 시트는 유아용 카시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기울일 수 있도록 설계해 편의성을 높였다. 다만 2열 다이내믹 바디케어 시트는 진동 소음이 커서 호불호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2세대 팰리세이드는 넓은 실내 공간과 다양한 첨단 기능 등을 갖추고 있어 전체적으로 패밀리카로 안성맞춤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팰리세이드 2.5터보 가솔린 모델 가격은 9인승 4383만원, 7인승 4447만원부터며, 2.5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은 9인승 4982만원, 7인승 5068만원부터다.

2025-02-02 13:13:48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주행의 즐거움 BMW 4세대 '뉴 X3'

편도 45㎞ 구간을 1시간여 동안 시승하면서 오랜만에 내연기관 차량에서 느낄 수 있는 통쾌한 주행감으로 달리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었다. 바로 BMW가 새롭게 출시한 4세대 완전변경모델 '뉴 X3'가 주인공이다. X3는 2003년 1세대 출시 이후 전 세계에서 350만대 이상 판매된 인기 모델로, 국내에서도 5만대 이상 판매됐다. 이번 4세대 BMW X3는 이전 세대 대비 커진 차체, 강렬한 내외관 디자인, 진보한 디지털 경험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이번에 시승한 고성능 모델 'BMW 뉴 X3 M50 xDrive'는 가로 바(bar)가 적용된 M 키드니 그릴, M 전용 사이드 미러 커버, 4개의 배기구를 포함한 M 배기 시스템, 21인치 M 휠 등 M 전용 디자인을 적용해 차별화를 뒀다. 외관은 3세대 모델 대비 길고 넓어졌다. 차체 크기는 전장 4755㎜, 전폭 1920㎜, 전고 1660㎜, 축간거리 2865㎜다. 이전 세대 대비 전폭과 축거는 각각 30㎜, 65㎜ 확대한 동시에 차량 높이인 전고를 15㎜ 낮추면서 스포티한 실루엣을 구현했다. 또 날렵한 선과 면을 활용해 역동적인 디자인을 완성했다. 전면부에는 대형 키드니 그릴과 BMW 아이코닉 글로우가 적용돼 존재감을 강조했다. 뉴 X3 실내에는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14.9인치 컨트롤 디스플레이를 하나로 통합한 BMW 커브드 디스플레이와 버튼을 최소화한 센터페시아가 편의성을 높였다. 실내 공간은 차체가 커진 만큼 넉넉한 공간감을 제공했다. 2열 좌석에 탑승하면 시야를 확 틔워주는 파노라마 글라스 루프 덕분에 뛰어난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성인 3명이 탑승해도 부담이 없을 정도의 넓은 공간을 확보했다. 적재공간은 570L로 2열 시트를 접으면 최대 1700L까지 확장된다. 주행 성능은 SUV라는 느낌보다 세단에 가까운 날렵한 움직임과 폭발적인 가속력이 매력적이다. 고성능 모델인 뉴 X3 M50 xDrive에는 M 트윈파워 터보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398마력, 최대토크 59.1kg·m을 발휘하며,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4.6초 만에 가속한다. 가속페달을 깊게 밟지 않아도 빠르게 치고 나가며 가속시 울리는 인공 엔진음은 운전자의 심장을 자극한다. 또 뉴 X3는 에어서스펜션을 적용하지 않았지만 불규칙 노면에서의 진동은 크지 않았다. 티맵(TMAP) 기반의 한국형 BMW 내비게이션도 기본 사양으로 탑재해 편의성을 강화했다.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지도 정보를 제공하며 교통 정보를 포함한 모든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해 운전자에게 최신의 정보를 빠르게 전달해 줬다. BMW 뉴 X3는 사양에 따라 6890~9900만원에 판매된다. 단일 트림으로 출시한 뉴 X3 M50 xDrive의 부가세 포함 가격은 9990만원이다.

2024-12-11 15:48:38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담백함 가득' 혼다 파일럿 블랙 에디션, 패밀리 SUV 안성맞춤

'넓은 실내공간과 다양한 편의기능 그리고 특별함까지.' 가족단위 이동이나 일상적인 주행을 고려해 자동차를 구매할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부분이다. 여기에 현대적인 디자인과 뛰어난 기능성까지 갖추고 있다면 금상첨화다. 혼다코리아가 국내 시장에 내놓은 대형 SUV 파일럿이 앞서 언급한 기능을 두루 갖춘 담백한 모델이다. 8년 만의 풀체인지를 거쳐 4세대로 진화한 파일럿은 실내 공간과 편의 장치를 대거 적용해 운전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혼다코리아가 지난 9월 국내 시장에 선보인 대형 SUV '파일럿 블랙 에디션'을 시승하면서 차량의 매력을 분석했다. 우선 첫 느낌은 정통 SUV 스타일의 심플하고 파워풀한 디자인을 기반으로 혼다 SUV 라인업의 아이덴티티를 완벽하게 담아냈다. 전면에는 검정 색상을 적용한 그릴 바와 전면 범퍼를 적용해 세련되고 깔끔해졌다. 20인치 블랙 알로이 휠로 웅장하고 강인한 스타일을 강조했으며, 도어 하단 가니쉬(장식)와 후면 범퍼 하단부, 도어 미러와 몰딩까지 모두 검정색으로 통일감을 더했다. 또 전후면에는 블랙 에디션 전용 엠블럼을 적용해 블랙 에디션만의 정체성이 느껴졌다. 실내 공간도 블랙 에디션만의 독창적인 올 블랜 및 레드 컬러를 조합해 통일감을 줬다. 나만을 위한 특별함이 느껴졌다. 파일럿은 진가는 실내공간이다. 5m가 넘는 전장과 1.8m의 높은 전고를 확보함에 따라 1열부터 3열까지 모두 넓은 공간에서의 안락한 승차감을 즐길 수 있다. 특히 2열 가운데 시트는 탈거가 가능해 탑승자의 성격에 맞출 수 있다. 탈거된 시트는 트렁크 하부 공간에 보관하면 된다. 3열은 177㎝ 신장의 성인 남성이 앉아도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공간을 제공했다. 또 앞뒤 문짝에는 크고 작은 실용적인 수납공간을 적용해 활용성을 극대화했다. 음료나 물병은 물론 스마트폰 등 다양한 물건을 크기에 맞춰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다. 트렁크 기본 용량은 527L로 이전 세대와 동급 사이즈를 확보했으며, 3열 시트 폴딩 시엔 1373L의 공간을 제공한다. 2열 시트까지 접으면 2464L에 달하는 공간을 확보해 차박 캠핑을 즐기는 캠퍼들에게도 매력적이다. 주행 성능은 초반 가속력은 반박자 느리게 속도가 붙지만 일정하게 밀어붙이는 힘이 매력적이다. 최신 4세대 V6 3.5 가솔린 엔진과 10단 자동변속기가 짝을 이루는 파워트레인은 최고출력 289마력, 최대토크 36.2kg.m의 나름 강력한 힘을 발휘한다. 팰리세이드보다 큰 덩치를 갖추고 있지만 고속 구간에서는 민첩하게 움직였다. 고속 구간이나 불규칙 노면에서는 부드러운 승차감을 유지했다. 연비도 매력적이다. 서울 여의도를 출발해 천안까지 왕복 약 250㎞를 주행한 결과 실 연비는 10.2㎞/L로 공인 연비(8.7㎞/L)를 훌쩍 뛰어넘었다. 혼다 파일럿 블랙 에디션은 부가세 포함 7090만원이다. 국내 대형 SUV 풀옵션 모델의 가격이 6000만원 중반을 넘어선다는 점에서 혼다 파일럿 블랙 에피션은 패밀리카로 충분히 경쟁력을 갖춘 모델임은 틀림없다.

2024-12-02 15:46:34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품격을 채우다' 볼보 S90…AI 플랫폼 '아리' 소비자 편의성↑

볼보자동차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트렌드에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소비자들의 심리를 완벽하게 파악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는 브랜드다. 오랜기간 볼보자동차의 모습을 보면서 이같은 생각을 많이했다. 특히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5년마다 주기적으로 완전변경 모델을 내놓은것과 달리 차량의 질적 성장을 통한 고객의 요구 사항을 적극 수용하고 있다. 오랜 시간이 흘러도 식지 않은 인기를 이어갈 수 있는 비결도 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실제 볼보코리아는 지난 2019년 처음 국내 판매량 '1만대 클럽'에 가입한 이후 지난해까지 5년 연속 이름을 올리고 있다. 특히 수입차 시장 판매량이 감소한 지난해에는 1만7018대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1998년 한국 법인 설립 이후 역대 최고 순위(4위)와 역대 최다 판매량을 기록했다. 이같은 성장세를 이끌고 있는 뛰어난 승차감과 정숙성, 여기에 최신 기술까지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볼보 플래그십 세단 S90 모델의 시승을 진행했다. 차량 외관은 클래식 볼보의 과거부터 이어진 단정하고 까끔한 모습을 담아내면서 독창적인 디자인 언어를 바탕으로 더해 더욱 매력적인 모습을 갖추고 있다. 볼보 특유의 명료한 프론트 그릴과 '토르의 망치'로 명명된 독특한 라이팅 시그니처, 그리고 크롬 가니시를 가로로 길게 적용해 여유로운 세단의 감성을 세련되고 고급스럽게 표현했다. 내부는 시트의 경우 전동식 럼버 서포트와 쿠션 익스텐션, 전동식 사이드 서포트 및 마사지, 통풍 기능을 갖춰 뛰어난 착좌감을 제공한다. 스웨덴 장인들이 직접 수작업으로 완성한 오레포스 천연 크리스탈 기어노브도 적용돼 고급스럽다. 차량에 탑승해 시동을 걸면 볼보의 인공지능(AI) 플랫폼 '아리'를 만날 수 있다. 애플에 시리가 있다면 볼보 차량에는 AI비서 아리가 있다. 아리는 뛰어난 음성 인식 기능을 갖추고 있다. 볼보코리아와 티맵모빌리티가 지난해 2.0 서비스를 내놓은 것이다. 이는 2021년 한국에서 티맵 내비게이션, 사용자 음성인식 AI 플래폼, 음악 플랫폼을 합친 인포테인먼트 시스엠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덕분에 과거 경로나 날씨 등을 검색했던 것과 달리 빠르게 대응했다. 볼보코리아 관계자는 "과거 5초정도 딜레이가 발생했지만 신규 알고리즘을 적용하면서 1초 미만으로 빠르게 반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이날 주행시 길이나 날씨, 뉴스 등을 묻는 질문에 곧바로 답해줬다. 운전자가 별도로 스마트폰으로 검색하거나 내이게이션을 설정해야하는 불편함이 줄었다. 다만 한가지 아쉬운 부분은 스마트폰과 차량을 연동한 상태에서 차량의 순정 내비게이션을 이용할 경우 스마트폰 문자, 카톡 알림이 뜨면 화면이 전환된다는 점이다. 이 같은 문제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행 성능은 여전히 매력적이다. S90 B6 파워 유닛은 최고 출력 300마력과 42.8kg.m의 토크를 내는 2.0L 가솔린 터보 엔진과 10kW(약 14마력, 4.1kg.m) 출력의 조합을 갖췄다. 제원 상 성능은 뛰어난 수준이라 할 수는 없지만 실질적인 움직임은 매우 민첩하다. 초반 반응과 고속구간에서의 추월가속은 부족함이 없다. 볼보자동차가 시간이 흘러도 소비자들에게 꾸준히 사랑받을 수 있는 제품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원동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24-11-24 11:43:13 양성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