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획코너 > YG의 카톡(Car Talk)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넉넉한 공간·경제성 갖춘 기아 '디 올 뉴 니로 EV'

전기차를 선택할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은 주행거리와 실내 공간성이다. 전기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는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있는 운전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이 때문에 완충 이후 서울을 출발해 부산까지 주행할 수 있는지 묻는 소비자들이 많다. 최근 만난 기아의 2세대 완전 변경(풀체인지) 모델 '디 올 뉴 니로EV'는 주행거리와 실내 공간성 부분에 합격점을 주고 싶다. 최근 기아 니로EV의 시승을 진행했다. 시스은 스타필드 하남에서 출발해 코미호미 카페(경기도 가평)를 다녀오는 약 100㎞ 코스로 진행했다. 니로 EV는 최고출력 150㎾와 최대토크 255Nm의 전륜 고효율 모터가 적용됐다. 여기에 64.8㎾h 고전압 배터리와 스마트 회생제동 시스템 2.0, 고효율 난방시스템인 히트펌프와 배터리 히팅 시스템을 탑재하고 주행 저항 개선 등을 통해 1회 충전으로 401km 주행거리를 구현했다. 복합전비는 5.3㎞/㎾h다. 니로 EV는 전기차답게 가속페달을 밟으면 가볍게 움직이며 운전자가 원하는 만큼 빠르게 응답했다. 저속에서 고속에 이르기까지 부드러운 주행성능을 이어갔다. 드라이브 모드는 에코·노말·스포츠 세가지이며, 스포츠 모드로 설정한 뒤 가속 페달을 밟자 반응 속도는 더욱 빨라졌다. 특히 고속 구간에서도 니로 EV는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밸런스를 유지했으며 코너 구간에서도 안정감을 이어갔다. 노면 소음이나 풍절음은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스타필드 하남을 출발해 코미호미 카페까지 차량에 대한 성능 평가를 위해 급가속과 급제동을 몇 차례 진행했음에도 전비는 6.8㎞/kWh를 기록했다. 공식 전비인 5.3㎞/kWh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공식 전비는 보수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일상 주행에서는 1회 충전시 500㎞도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또 니로 EV는 기아의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을 적용해 운전자의 피로도는 물론 높은 안전성을 제공한다. K8·K9 등 기아 고급 세단에 적용된 고속도로 주행 보조 2(HDA 2)를 적용했다. 실내 공간성도 부족함이 없다. 니로EV는 길이 4420㎜, 너비 1825㎜, 높이 1570㎜, 휠베이스 2720㎜로 길이·너비·휠베이스가 각각 이전모델보다 45㎜·20㎜·20㎜ 늘었다. 트렁크도 475L로 소형 SUV 차량임에도 공간이 넉넉했고, 풀 플랫이 적용돼 2열을 접으면 차박도 가능하다. 또 니로 EV는 캠핑이나 차박을 즐기는 운전자를 위해 일반 전원으로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V2L 기능을 적용했다. 2열 시트 하단에 220V가 배치됐다. 니로 EV 생애 첫 차를 고민하는 사회초년생이나 신혼부부에게 추천하고 싶은 모델이다. 신형 니로EV의 가격은 4862만~5133만원이다. 5500만원을 넘지 않아 국고보조금(700만원) 전액을 받을 수 있는데, 여기에 지자체 보조금을 더하면 하위트림의 경우 3000만원대에 구매가 가능하다.

2022-07-04 16:18:20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현대차 스타리아 7인승·9인승·11인승 사이의 고민

현대차 스타리아. 가족과 연인, 지인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기 좋은 계절이 왔다. 최근 코로나19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더불어 엔데믹(endemic·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 단계로 접어들면서 지인들과 캠핑을 떠나는 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격적인 여행 시즌을 맞아 캠핑과 차박, 장거리 여행에 적합한 현대차 다목적차량(MPV) 스타리아를 시승했다. 시승 모델은 스타리아 라운지는 7인승으로 2.2L 디젤 엔진이 탑재된 AWD 사양이다. 서울 여의도부터 경기도 가평 수덕산까지 왕복 200㎞를 주행했다. 우선 첫 인상은 정말 크다라는 이미지와 함께 '미래차'라는 인상을 짙게 풍긴다. 차체 크기는 전장(차의 길이) 5255㎜, 전폭(차의 폭) 1995㎜, 전고(차의 높이) 1990㎜로 기아 카니발보다 크다. 실제 차량에 탑승하면 어린이들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성인의 경우도 몸을 크게 숙이지 않고 이동할 수 있어 탑승자 모두에게 넉넉함을 제공한다. 또한 실내에는 대시보트와 도어 패널, 센터 콘솔 등 곳곳에 수납 공간이 마련돼 스마트폰이나 음료, 작은 물건 등을 보관할 수 있어 실용성을 높였다. 3열에도 탑승자를 위한 컵 홀더와 USB 충전 포트를 배치해 눈길을 끌었다. 스타리아 라운지 리무진 7인승 주행 성능도 안정적이다. 스타리아 이전 모델인 스타렉스는 후륜구동이라는 점에서 빗길이나 미끄러운 노면에서 불안했다. 그러나 스타리아는 카니발과 같은 전륜구동 플랫폼을 사용해 다양한 노면에서의 부담을 최소화했다. 실제 캠핑장 내 미끄러운 노면도 안정적으로 빠져나갔다. 스타리아 라운지 모델은 후륜에 멀티링크 서스펜션을 적용해 부드러운 주행감을 제공했다. 고속도로에서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과 차로 유지 보조 등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을 설정하자 장거리 주행에도 피로도는 크지 않았다. 고속 구간에서의 가속력도 부족함이 느껴지지 않았다. 2.2L 디젤 엔진이 제시하는 177마력과 44.0kg.m 토크의 가속 성능은 뛰어나다고 할 수 없지만 일상 주행에서의 불편함은 느껴지지 않았다. 다만 스타리아를 구매할때 고려해야할 부분은 용도다. 가족, 지인과 함께 장거리 여행을 즐긴다면 스타리아 라운지(7·9인승) 모델을 추천한다. 반면 캠핑과 차박을 생각한다면 일반모델 투어러(9·11인승)을 추천하고 있다. 투어러 9·11인승에는 2열부터 전좌석이 완전히 접히는 풀플랫 시트가 적용됐기 때문이다. 현대차 스타리아 전면 스타리아의 판매가격은 투어 모델이 ▲9인승 3084만원 ▲11인승 2932만원부터 판매되며, 라운지모델은 ▲7인승 4135만원 ▲9인승 3661만원부터 판매한다.

2022-06-14 15:57:18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공간성·첨단기능 강화 현대차 '더 뉴 팰리세이드' 매력↑

현대차 더 뉴 팰리세이드 전 측면/양성운 기자 현대자동차의 플래그십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팰리세이드가 4년만에 부분변경(페이스리프트)을 통해 한 단계 더 진화해서 돌아왔다. 현대차의 장점인 실내 공간성을 확대하고 안전한 주행을 위한 첨단 기능을 추가해 패밀래 SUV의 매력을 한층 끌어올렸다. 다만 차량 가격이 다소 인상됐다는 점은 소비자들에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더 뉴 팰리세이드'가 이전 모델을 넘어설지 의문이 들었지만 초반 분위기는 긍정적이다. 대리점에서 자체적으로 받는 사전 계약 첫날에만 3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8년 12월 국내 출시된 팰리세이드는 매년 5만대 이상 판매량을 기록하면서 3년 만에 누적판매량 17만대를 넘어섰다. 현대차 더 뉴 팰리세이드의 매력을 분석하기 위해 시승을 진행했다. 시승 모델은 팰리세이드 가솔린3.8 캘리그래피 트림 모델로 서울을 출발해 인천 무의도 하나개해수욕장까지 왕복 120㎞에서 도심과 시골, 고속구간을 주행했다. 첫 인상은 기존의 핵사고날 형태의 그릴을 대폭 수정해 한층 넓고 웅장한 느낌을 담아냈다. 좌우 헤드 램프는 각진 형태로 변경됐으며 캐스케이드 그릴을 한층 키워 전체적인 존재감을 강화했다. 실내 공간은 7인승 SUV답게 넉넉했다. 이전 모델 대비 전장이 폭 늘어 2열에 카시트를 탑재한 뒤 3열에 성인이 앉아도 부담없을 정도 였다. 트렁크 공간에는 골프백과 캐리어를 싣는데 부담이 없다. 현대차 팰리세이드 전면 모습/양성운 기자 주행성능은 부드럽다. 저속에서는 뛰어난 정숙성을 경험할 수 있으며 방지턱이나 불규칙 노면 주행에서도 크게 흔들리지 않았다. 고속 구간에서는 저속 주행때와 달리 하체가 단단해진 느낌이 들었다. 또한 140㎞ 이상 고속 주행시에는 허리 지지대 부위의 볼스터가 자동 전개돼 몸을 단단히 잡아줬다. 다만 전륜 구동 모델인 만큼 고속 와인딩 구간에서 3열 탑승객은 약간의 롤링 현상을 느끼기도 했다. 안정적인 주행만큼이나 편의사양도 다양했다. 더 뉴 팰리세이드에는 고속도로 주행 보조 2(HDA Ⅱ)가 기본 탑재돼 방향 지시 등 작동만으로 차선을 자동으로 변경했다. 또 새롭게 적용된 디지털 센터 미러(DMC)는 카메라와 룸미러를 통합해 운전자가 하단의 레버를 조작하면 단순 미러에서 디지털 카메라 화면으로 전환해준다. 선명하고 넓은 시야로 후방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트렁크 공간을 채웠을 경우 룸미러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DMC는 이같은 부담을 덜어줬다. 한시간 넘게 주행을 이어가자 차량 내 스트레칭 모드가 작동되면서 안마의자처럼 등을 두드려줬다. 차량 중앙 디스플레이를 확인하자 '운전자의 피로도를 낮추기 위한 허리디스크 보호 기능 활성화'라는 문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비도 매력적이다. 공인 연비는 9.0㎞/L지만 실제 주행 후 확인한 결과 11.3㎞/L를 기록했다. 가장 아쉬운 부분은 가격이다. 이전 모델 대비 적게는 258만원에서 많게는 445만원이 올랐다. 물론 다양한 첨단 기능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소비자마다 차이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 뉴 팰리세이드의 가격은 가솔린 3.8모델 ▲익스클루시브 3867만원 ▲프레스티지 4431만원 ▲캘리그래피 5069만원, 디젤2.2 모델 ▲익스클루시브 4014만원 ▲프레스티지 4578만원 ▲캘리그래피 5216만원이다. 현대차 더 뉴 팰리세이드 후측면.

2022-06-08 15:13:23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경제성·안전성·편의성' 삼박자 갖춘 볼보 XC60 리차지 PHEV T8

글로벌 완성차업체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국내 완성차 업체는 물론 독일3사를 비롯한 수입차 업체들도 국내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그 중 볼보자동차는 감각적인 디자인은 물론 뛰어난 안전성, 그리고 최근에는 경제성과 편의성을 확보하며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식을줄 모르는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지난 20일 볼보의 국내 시장의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는 SUV XC60의 부분변경 모델의 매력을 분석해봤다. 시승은 2017년 XC60 2세대 출시 이후 지난해 약 4년 만에 선보인 볼보의 신형 XC60의 하이브리드 모델 중 최상위 트림인 XC60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T8로 진행했다. 시승 구간은 서울 광화문을 출발해 도봉구에 위치한 무수아취 캠핑장을 경유해 돌아오는 약 50㎞ 구간에서 진행했다. 외관은 기존 XC60 모델과 큰 차이점이 없다. '토르의 망치'로 불리는 LED 헤드라이트를 비롯해 자신감 넘치는 스타일링을 계승하면서도 6가지 작은 변화를 줬다. 전면부에는 3D 형태의 아이언마크를 통합한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됐고, 새 범퍼와 넓은 차체를 강조하는 크롬바가 추가됐다. 전동화를 상징할 수 있도록 내연기관차에 있던 이그조스트 테일 파이프(머플러)를 보이지 않게 마감처리했다. 역동적 차체 비율을 강조하는 새 휠 디자인도 도입됐다. XC60 리차지 PHEV의 매력은 도심 주행에서 빛을 발한다. 이번 모델은 전작 대비 전기 주행거리와 최대 출력이 향상됐다. XC60 리차지 PHEV는 기존 모델 대비 배터리 용량이 11.6kWh에서 18.8kWh로 커진 것과 동시에 약 65% 향상된 리어 휠 출력을 제공하는 후면 전기모터가 특징인 롱레인지 배터리가 탑재돼 기존 모델 대비 약 80%가 향상된 최대 57km까지 순수 전기모드로 주행이 가능하다. 이는 서울시 승용차 소유주들의 일평균 주행거리 29.2㎞(비사업용 기준)의 2배에 달하는 수치다. 서울 도심에서는 순수 전기모드로 이동이 가능하며 장거리 주행에서는 일반 내연기관 엔진을 이용하면 된다. 고속구간에서는 볼보 특유의 정숙한 주행이 안정감을 줬다. XC60 리차지 PHEV는 기존 모델 대비 50마력 향상된 출력을 제공하는 e-모터가 탑재돼 최고 출력 455마력, 최대 토크 72.3 kg·m 성능을 보유해 브랜드 역사상 가장 높은 수치를 갖고 있다. 가속 구간에서는 운전자가 원하는 만큼 빠르게 속도를 끌어올리며 '펀 드라이빙'도 즐길 수 있었다. XC60 리차지 PHEV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수입차가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는 국내 운전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티맵'과 인공지능(AI) 플랫폼 '누구(NUGU)', 사용자 취향 기반 음악 플랫폼 '플로(FLO)' 등이 적용됐다. 덕분에 그동안 최대 단점으로 지적된 내비게이션 논란은 말끔히 해결했다. 차량에 탑승해 '아리아'를 부른 뒤 '에어컨 온도를 1도 낮춰줘' '목적지를 변경해줘' 등의 기능을 음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음악 재생, 날씨 정보 등을 검색할 수 있다. 주행 중 운전자가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며 목적지까지 이동이 가능했다. XC60 리차지 PHEV T8의 가격은 8570만원이다.

2022-05-23 16:08:35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첨단 기술과 스피드 모두 잡은 아우디 'SQ5 스포트백'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점유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아웃도어 문화가 확산되면서 공간 활용성이 높고 야외활동에 최적인 SUV 수요는 꾸준히 증가해 올해 1분기에는 국내 완성차 업체 판매량 비중의 절반을 넘어섰다. 차량을 구매하기 앞서 다양한 모델을 놓고 고민하지만 결국 답은 'SUV'라는 이야기 나올정도다. 다만 SUV는 일상의 편안함을 제공하지만 고성능 주행을 원하는 운전자에게는 아쉬움을 남겼다. 최근 만난 아우디 SQ5 스포트백은 공간성은 물론 첨단 기술과 역동적인 퍼포먼스 탑재해 기존 SUV의 부족함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준다. 특히 가족을 위해 나의 즐거움을 조금 양보한 운전자에게는 더 없이 좋은 모델이다. SQ5 스포트백의 첫 인상은 쿠페형 SUV 특유의 곡선을 강조한 디자인의 '귀여움'과 함께 '날렵함'이 조화를 이뤘다. 스포트백 특유의 우아하면서도 강인한 디자인에 차량 전면 그릴과 차량 후면에 기본 적용된 SQ5 뱃지, 앞뒤 범퍼 액센트, 그릴, 루프레일 및 윈도우 몰딩 등에 적용된 블랙 패키지로 S 모델만의 스포티한 감성을 더했다. 또 '레드'한 브레이크 캘리퍼를 올린 21인치 5더블스포크 터빈 스타일 휠은 정차해 있어도 역동적인 모습이며 실내에선 S엠블럼이 새겨진 나파 가죽 S 스포츠 시트 등이 소비자들의 기대치를 충족시켜주기 충분했다. 실내 공간은 부족함이 없었다. 브랜드가 공개한 제원에 따르면 4690㎜의 전장과 각각 1895㎜와 1675㎜의 전폭과 전고를 갖췄다. 휠베이스는 2825㎜로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했다. 벤츠 GLC, BMW X3, 국산차 기준 스포티지 정도 생각하면 된다. 차량의 주행성능을 경험하기 위해 서울 여의도에서 파주 임긴각 평화누리 공원까지 왕복 약 100㎞를 주행했다. SQ5 스포트백은 모터스포츠의 DNA를 기반으로 민첩하고 강력한 주행성능을 자랑했다. 3.0L V6 가솔린 직분사 터보차저(TFSI) 엔진과 8단 팁트로닉 자동 변속기를 탑재하고 있다. 최고출력 354마력, 최고 토크는 50. 99kg.m의 강력한 주행성능을 발휘한다. 가솔린 엔진을 장착해 정숙하면서도 가속을 할 때마다 기분 좋은 엔진음으로 즐겁게 했다. 또 아우디의 상시 사륜구동 콰트로 시스템을 적용해 필요에 따라 토크를 앞뒤 차축에 다양하게 전달하며, 스포츠 디퍼렌셜은 뛰어난 트랙션과 핸들링을 제공한다. 자유로 주행 구간에서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 매력적이다. 이 기능은 운전자가 설정한 속도에 맞춰 차선을 유지하며, 앞차와의 일정 간격을 유지해 주행한다. 앞에 차량이 끼어들면 스스로 속도를 줄인다. 특히 차선 유지기능은 운전자가 믿고 맡겨도 불안하지 않을 정도로 만족스럽게 작동했다. 수입차 브랜드 대부분 차선 중앙 유지보다는 이탈 방지 기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과 차별화된 부분이다. 또 360도 서라운드 뷰 카메라 및 파크 어시스트, '전/후방 주차 보조시스템' 등은 보다 편리한 주차를 도와준다. SQ5 스포트백은 패밀리 SUV의 매력은 물론 고성능 모델에 대한 갈증을 충분히 채워줄 수 있는 매력을 갖추고 있다. 아우디 SQ5 스포트백 TFSI'의 가격은 9420만3000원이다.

2022-05-16 15:59:31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탐나네' 아이·부모 모두 만족 기아 카니발 하이리무진

기아 카니발 하이리무진. '아이들과 부모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차' 국내 자동차 시장은 큰 차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현대차의 팰리세이드와 기아 카니발, 쏘렌토, 한국지엠의 트래버스, 타호 등 넓은 실내 공간을 갖춘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판매량은 해마다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 중 기아 카니발 하이브리드 모델은 넓은 공간과 안정적 주행을 넘어 다양한 즐거움을 선사하며 소비자들의 마음을 자극하고 있다. 특히 카니발은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으며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최근 미국 컨슈머리포트가 진행한 미니밴 평가에서 도요타 시에나와 나란히 1위에 이름을 올리며 경쟁력을 입증했다. 특히 국내 미니밴 시장에서는 경쟁 상대가 없을 정로도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모델이다. 국내 소비자들 사이에서 카니발은 공간 활용성이 뛰어나며 고속도로 버스전용 차로를 주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앞세워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최근 만난 카니발 하이리무진은 또다른 즐거움을 선사했다. 아이는 물론 탑승자에게 높은 만족감을 줬다. 첫 인상은 기본 카니발에 비해 전고가 높다는 부분을 제외하면 차이점이 없다. 카니발 하이리무진은 지붕을 개조한 후 하이루프를 장착해 기본 모델보다 전고가 30㎝ 높다. 그만큼 실내 공간성이 뛰어나 차량에 탑승하면 매력적인 개방감을 제공한다. 2열 널찍한 자리에 앉아 좌석을 조절하면 자신에게 맞는 안락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3열도 넉넉한 공간을 제공, 성인이 탑승해도 불편하다는 느낌을 받지 않았다. 카니발 하이리무진은 어린 자녀들과 장거리 이동의 지루함을 반으로 줄여줬다. 바로 21.5인치 크기의 스마트 모니터 덕분이다. 시야각이 넓어 2열과 3열에서도 편안하게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와 미러링 기능을 제공해 별도로 영상을 준비하지 않아도 스마트기기만 있으면 사용가능하다. 카니발 하이리무진에 설치된 21.5인치 스마트 모니터와 스마트기기를 미러링 한 모습. 이 외에도 다양한 편의장치를 제공한다. USB 충전 포트를 곳곳에 설치해 전자기기 충전의 부담을 줄여준다. 220v 충전 단자도 갖추고 있다. 조수석 시트백에는 '빌트인 공기청정기'를 적용해 스스로 실내 공기 상태를 감지해 초미세먼지 및 실내 유해가스를 정화해주는 기능을 한다. 운전자에 대한 배려도 빼놓지 않았다. 가솔린 모델은 스마트스트림 G3.5 GDI 엔진을 적용 최고출력 294마력, 최대토크 36.2kg·m의 힘을 발휘한다. 즉각적인 반응은 아니지만 고속 구간에서 굼뜨지 않고 빠르게 반응했다. 특히 고속도로에서 주행보조 기능은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여줬다. 카니발에는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크루즈컨트롤이 적용돼 있어, 크루즈컨트롤 속도를 140km로 설정했더라도 110km 구간에서는 자동으로 규정에 맞게 속도가 내려간다. 고속도로에서는 혹시 상황을 대비해 운전대와 브레이크 페달에 손발을 얹어만 넣고 주행했지만 크게 문제되지 않았다. 자율주행 시대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졌다. 연비도 나쁘지 않았다. 공인복합연비는 19인치 기준 8.4km/L다. 급가속과 급제동 없이 도심과 고속도로에서 주행을 진행한 결과 11㎞/L의 연비를 기록했다. 패밀리카로 카니발을 고민하고 있다면 하이리무진도 경험해 보길 바란다. 기아 4세대 카니발 하이리무진 가솔린 7인승 모델 가격은 6271만원이다.

2022-04-20 14:40:44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7인승 SUV 정석 '트래버스'…공간에 안전 사양까지

트래버스 전측면/양성운 기자 지난해 수입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시장에서 강자로 급부상한 쉐보레 트레버스가 한층 강화된 주행성능과 편의·안전사양으로 돌아왔다. 특히 넓은 적재공간과 3열은 매력적이다. 그동안 국내 출시된 '7인승 SUV'는 3열이 너무 좁아 어린이를 태우거나 짐칸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차가 부지기수였다. 트래버스는 이같은 한계를 넘어 7인승 SUV의 정석을 보여주고 있다. 지난 11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트래버스 미디어 시승행사에서 차량을 경험했다. 시승은 더케이호텔을 출발해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정약용생가까지 왕복 약 60㎞ 구간에서 진행했다. 부분변경 모델인 만큼 이전 모델과 비교해 외관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기존 모델의 상단 헤드램프는 하단으로 이동됐으며, 기존 상단 헤드램프 자리에는 날렵해진 새로운 LED 주간주행등을, 하단에는 'ㄱ'자 모양의 LED 보조 주간 주행등을 적용했다. 테일램프(후미등)에도 LED램프를 적용했는데 테두리를 반짝이는 검은색으로 둘러 세련된 느낌을 준다. 대형 SUV 답게 실내 공간은 매력적이다. 트래버스는 전장 5230㎜, 전고 1780㎜, 전폭 2000㎜, 축거3073㎜의 동급 최대 차체사이즈와 실내공간을 자랑한다. 3열 좌석은 성인이 탑승해도 부담이 없을 정도다. 또한 3열 좌석을 펼치고도 골프백 3개정도는 넣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다. 트래버스의 기본 적재공간은 651L이며, 3열 시트만 접으면 1636L, 2·3열시트 모두 접으면 2780L의 공간이 확보된다. 주행성능은 이전 모델 대비 한층 강화됐다. 이전 모델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주행 질감이 너무 부드러워 뒷좌석 탑승시 울렁임이 심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러나 이번에 출시된 모델은 그런 단점을 해결했다. 5링크 멀티 서스펜션이 적용돼 방지턱을 지날 때도 안정적인 주행을 이어갈 수 있었다. 5링크 서스펜션은 4링크 서스펜션의 어퍼 및 로어 컨트롤 암에 더해 횡하중을 지지하는 래터럴 로드를 장착한 서스펜션이다. 덕분에 급제동은 물론 거친 노면과 코너링에도 수평을 유지해 좌우로 몸이 쏠리는 '롤링 현상'도 크지 않았다. 트래버스 실내 모습/양성운 기자 커다란 덩치와 달리 가속 능력은 뛰어났다. 트래버스의 파워트레인은 3.6리터 6기통 직분사 가솔린 엔진과 하이드라매틱 9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돼 최고출력 314마력, 최대토크 36.8 kg.m의 파워를 발휘한다. 일반 도로에서 고속도로로 진입해 속도를 끌어올도 답답함은 느껴지지 않았다. 편의사양은 이전 모델대비 한층 강화됐다. 고객들의 요구를 반영해 기존 모델에 없었던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을 기본 장착했다. 앞차와의 거리를 자동으로 조정해 도심과 고속도로에서 피로도를 줄여줬다. 트래버스는 패밀리 SUV를 생각하는 소비자에게 최상의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쉐보레가 올해 초대형 SUV 타호를 출시해 소비자들의 선택을 폭을 넓히고 있지만 차량의 크기나 연비 등을 고려한다면 트래버스를 추천하고 싶다. 신형 트래버스의 가격은(개소세 인하 후) ▲LT 레더프리미엄 5470만원 ▲RS 5636만원 ▲프리미어 5896만원 ▲Redline 6099만원 ▲하이컨트리 6430만원이다.

2022-02-17 15:01:14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토종 픽업트럭 자존심 '뉴 렉스턴 스포츠 칸'…넓은 공간성 등 다양한 매력

쌍용차 뉴 렉스턴 스포츠 칸 주행모습. 국내 픽업트럭의 자존심 쌍용자동차 '뉴 렉스턴 스포츠 칸'이 상품성 개선을 통해 새롭게 돌아왔다. 큰 덩치에 맞는 강력한 성능과 함께 다양한 첨단 기술을 더해 한층 섬세해졌다. '뉴 렉스턴 스포츠 칸'은 넓은 공간성과 다양한 편의성을 앞세워 출시 2주만에 누적계약 대수 3000대를 돌파했다. 지난해 시장 점유율 80%를 기록한 만큼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 출시와 함께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뉴 렉스턴 스포츠 칸'의 시승을 통해 매력을 알아봤다. 시승은 사전 계약물량 중 26%를 차지한 뉴 렉스턴 스포츠 칸 익스페디션 트림으로 진행했다. 첫 인상은 역시 강인했다. 큰 덩치와 높은 차체에서 강인하고 단단함이 느껴진다. 가로 선이 들어간 라디에이터 그릴은 거대한 전면을 더욱 넓게 보이도록 한다. 차체 크기는 전장(차의 길이), 전폭(차의 폭), 전고(차의 높이)가 각각 5405㎜, 1950㎜, 1855㎜다. 쉐보레 리얼 뉴 콜로라도 보다 큰 덩치를 자랑한다. 리얼 뉴 콜로라도의 경우 전장, 전폭, 전고가 각각 5395㎜, 1885㎜, 1795㎜이다. 실내 공간은 여유로웠다. 1열은 깔끔함이 묻어난다. 계기반은 기존 7인치 아날로그 방식에서 12.3인치의 디지털 계기반으로 변경했다. 센터페시아(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조작계)에는 9인치 디스플레이가 적용됐고, 익스페디션 트림에는 센터콘솔(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저장 공간)에 공기청정기를 적용해 탑승자들의 건강도 챙겼다. 2열 공간은 성인 3명이 탑승해도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여유있는 레그룸과 헤드룸을 제공했다. 또 시트 폴딩 및 각종 기능 등을 통해 '차량 사용자의 만족감'을 유지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없다. 차량의 주행성능은 한층 강화됐다. 이전 모델보다 각각 8%, 5% 향상된 최고출력 202마력, 최대토크 45.0㎏·m의 힘을 내는 엔진을 탑재해 초반 가속력이나 고속구간에서 날렵한 주행성능을 제공했다. 여기에 6단 자동 변속기, 4WD 시스템이 조합, 픽업트럭의 진가를 보여줬다. 쌍용차 뉴 렉스턴 스포츠 칸. 뉴 렉스턴 스포츠 칸은 다양한 첨단 안전 기술을 적용해 안전성을 확보했다. ▲차선유지보조(LKA) ▲중앙차선유지보조(CLKA) ▲안전하차경고(SEW) ▲안전거리경고(SDW) ▲부주의운전경고(DAW)가 이번 모델에 새롭게 추가됐다. 익스페디션 모델은 ▲후측방 접근충돌방지보조(RCTA) ▲후측방 충돌보조(BSA) 기능도 더해진다. 다만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 적용된 전방 차량과 안전거리를 유지하는 차간거리유지시스템(SCC)이 없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았다. 적재 공간은 국내에서 판매되는 픽업트럭 중 가장 넉넉하다. 1262L, 700㎏까지 실을 수 있다. 쉐보레 콜로라도는 1170L, 400㎏까지 가능하다. 또 후면부의 리어스텝은 키가 작은 사람도 딛고 올라가 짐칸 내 내용물을 부담없이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수동 접이식 방식으로 최대 수직 하중 200㎏까지 견딜 수 있다. 이 외에도 스마트폰을 활용해 시동을 걸고 차량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인포콘, 네이버 AI 플랫폼 클로바를 기반으로 한 음성인식 제어 기능을 새롭게 장착했다. 인포콘 기능은 더운 여름에 미리 에어컨 켜거나 추운 겨울에 히터 켜놓을 수 있어 매력적이다. 시승 모델인 뉴 렉스턴 스포츠 칸 익스페디션 트림의 국내 판매가격은 3985만원이다. 하위 트림은 ▲와일드 2990만원 ▲프레스티지 3305만원 ▲노블레스 3725만원 등이다.

2022-01-25 12:38:44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펀 드라이빙' 신형 8세대 골프, 해치백의 정석

폭스바겐 신형 8세대 골프 외관. '해치백의 교과서' 골프이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된 매력으로 6년만에 돌아왔다. 폴크스바겐이 국내 시장에 새롭게 선보인 8세대 골프는 주행의 즐거움은 물론 뛰어난 경제성, 첨단 기술을 대거 적용했다. 지난 5일 부산 해운대구 백스코에서 열린 '2022 폭스바겐 드라이빙 익스피리언스 데이 in 부산'서 신형 골프를 경험했다. 시승은 벡스코를 출발해 경남 밀양시로 이어지는 약 100㎞ 구간에서 진행됐으며, 도심 주행과 고속주행, 와인딩 등 다양한 환경에서 골프의 퍼포먼스를 경험했다. 우선 외관은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정제된 라인, 완벽한 비율과 역동적인 실루엣으로 골프만의 디자인 언어를 정립했다. 우리가 기억하는 골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친숙함이 느껴졌다. 실내는 첨단 기술을 적극 도입해 미해 지향적인 느낌을 준다. 내부에는 10.25인치 디지털 콕핏 프로와 10인치 MIB3 디스커버 프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으로 완성되는 '이노비전 콕핏'을 통해 개방감과 직관적인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구현했다. 8세대 골프는 다른 해치백에서 찾아볼 수 없는 첨단 사양이 탑재됐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다. 차량의 주행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동을 켜자 미세한 디젤 소리가 들리지만 크지 않았다. 도심에서 골프는 독일 브랜드의 딱딱함은 느껴지지 않았다. 스티어링이나 패달의 반응에 부드럽게 움직였다. 뭄놀림은 여전히 가볍고 경쾌하지만 노면의 진동은 최소화해 운전자의 피로도를 줄여줬다. 고속도로에서 가속패달에 힘을 주자 빠르게 반응했다. 안정감과 넉넉한 출력 똑똑한 기어비까지 모든게 완벽하게 조화를 이뤘다. 신형 8세대 골프는 차세대 EA288 evo 2.0 TDI 엔진과 7단 DSG 변속기의 조합으로 최고출력 150마력, 최대토크 36.7kg.m를 발휘한다. 다만 경사 구간과 급가속 시 반 템포 늦은 느낌이 든다. 이같은 아쉬움은 올 상반기 출시를 앞둔 '골프 GTI' 모델이 완벽하게 달래줄 것으로 보인다. 폭스바겐 신형 8세대 골프 실내 모습. 골프는 밀양 얼음골의 구불구불한 산길을 통과하는 와인딩 구간에서 진가를 발휘했다. 와인딩 구간에 접어들자 몸이 한쪽으로 쏠릴 정도의 급격한 커브길이 이어지면서 '차가 밀리는거 아니야?'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민첩하고 안정적으로 빠져나갔다. 8세대 골프에는 다른 해치백에서 찾아볼 수 없는 첨단 기능 '트래블 어시스트 기능'도 탑재됐다. 트래블 어시스트 기능은 어댑티브크루즈컨트롤보다 한 단계 높은 수준을 보여준다. 스티어링 휠 왼쪽에 있는 버튼을 눌러 활성화하면 앞 차량과의 거리뿐만 아니라 옆 차로에서 달리는 차량과의 거리도 완벽하게 조절했다. 또 자사 컴팩트 모델 최초로 '윈드실드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편의성도 높였다. 8세대 골프는 디젤 엔진을 품고 있지만 환경과 경제성을 모두 잡아냈다. 2.0 TDI 엔진은 트윈도징 시스템으로 저온 배기가스와 고온 배기가스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을 정화한다. 기존 대비 80% 정도 줄일 수 있다. 동시에 동급 최고 수준인 복합연비 17.8㎞/L의 효율성도 갖췄다. 8세대 골프의 가격은 2.0 TDI 프리미엄 3625만4000원, 2.0 TDI 프레스티지 3782만5000원이다. 1월 프로모션 혜택 적용 시 3300만원대(프리미엄 기준)부터 구매할 수 있다.

2022-01-10 15:26:56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연비깡패' 시트로엥 그랜드 C4 스페이스투어러…공간성·승차감까지 매력덩어리

시트로엥 그랜드 C4 스페이스투어러 주행 모습. 국내 자동차 시장은 차박과 캠핑 수요 증가에 따라 크고 넓은 차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덕분에 국내 자동차 시장에는 다양한 7인승 SUV가 등장하고 있다. 그 중 시트로엥의 '그랜드 C4 스페이스투어러'는 뛰어난 연비와 공간성, 안정적인 승차감 등 다양한 재능을 갖추고 있어 소비자들 사이에서 패밀리밴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랜드 C4 스페이스투어러는 2006년 11월 1세대 그랜드 C4 피카소의 진화 버전이다. 2018년 12월 지금의 그랜드 C4 스페이스투어러로 이름이 바뀌었다. 소비자들의 입소문을 타고 인기를 이어가고 있는 그랜드 C4 스페이스투어러의 다양한 매력을 알아보기 위해 시승을 진행했다. 첫 인상은 '7인승 패밀리 밴이 맞아?'라는 생각을 할 정도로 크기는 크지 않다. 기아 카니발과 혼다 오딧세이, 토요타 시에나 등 7인승 SUV에 비해 체구가 작다. 이 차량은 전장 4600㎜, 전폭 1825㎜, 전고 1645㎜로 앞서 언급한 경쟁 모델(평균 전장 5000㎜·전폭 2000㎜)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공차중량도 1620㎏으로 가벼운 편이다. 그러나 내부 공간 효율성을 높여 패밀리밴으로 활용 가치를 높였다. 시트로엥 그랜드 C4 스페이스투어러 실내 모습, 디자인은 미래 지향적이다. 전면은 우주선을 보는 듯한 유니크한 디자인을 갖추고 있다. 유려한 유선형으로 완성된 볼륨감 넘치는 디자인과 유니크한 외모로 활기차고 현대적인 스타일을 갖췄다. LED 주간등과 차체 바깥쪽으로 확장된 더블 쉐브론은 시트로엥 만의 미래지향적인 스타일 아이덴티티를 반영하며, 브랜드 특유의 패밀리룩을 완성한다. 특히 다른 MPV 차량에서는 볼 수 없는 유려한 유선형 디자인, 그리고 전면 윈드스크린 아래쪽부터 이어지는 아치형 루프가 한눈에 시선을 사로잡는다. 17인치 알로이 휠도 독특하다. 후면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와 테일 게이트의 길쭉한 크롬 가니시 및 검은색 엠블럼으로 깔끔한 외관을 완성했다. 실내 공간은 겉모습과 달리 널찍하다. 실제로도 공간성이 뛰어나지만 넓은 시야 덕분에 훨씬 넓어 보인다. 앞창이 앞으로 누운 덕분에 A필러는 두부분으로 나뉘어 쿼터 글래스를 집어 넣었다. 덕분에 유턴이나 좌·우회전을 하거나 주행중 사각지대를 방지하고 뛰어난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전석에 앉으면 마치 우주선에 탑승한 느낌을 받을 정도다. 넓은 개방감 덕분에 운전이 미숙한 초보 운전자도 주행에 대한 부담을 덜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2열 시트는 평평한 바닥을 제공해 탑승시 불편함을 줄이고, 카시트 설치시 낭비하는 공간을 최소화했다. 2명의 어린 자녀의 탑승을 위해 카시트 2개를 설치한 뒤 보호자가 중간 자리에 탑승해도 크게 불편하지 않았다. 시승은 여의도를 출발해 전남 강진까지 왕복 800km 구간에서 진행했다. 고속구간은 물론 도심 주행 등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었다. 주행 성능은 만족스럽다. 8단 자동변속기(EAT8)는 기존 6단 자동변속기 대비 2㎏ 가벼워진 무게와 20㎞/h까지 작동하는 스톱&스타트 시스템 등을 통해 7%의 연료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1.5리터 블루HDi 엔진으로 단일화했고 최고출력 131마력에 최대토크 30.61㎏·m다. 빠른 변속보다 부드러움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가속시 답답함은 느껴지지 않았다. 고속도로에서 고속주행을 즐기는데 불편함 없이 안정적인 주행성능을 제공했다. 퀵 앤 컴포트 시프트 기술로 보다 빠르고 신속한 변속과 부드러운 주행감을 선사한다. 뛰어난 연비도 매력적이다. 주행 결과 복합 연비(15.2㎞/L)를 훌쩍 뛰어넘는 16.2㎞/L를 기록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연비 깡패'라는 별명이 붙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판매 가격은 부가세 포함 샤인 4280만원, 샤인 팩은 4640만원으로 경제적으로 매력적이다. 시트로엥 그랜드 C4 스페이스투어러 내부

2021-12-15 09:48:10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BMW 순수 전기차 'iX' 디자인·주행성능 럭셔리 담아

BMW가 2014년 순수전기차 i3를 국내에 출시하며 국내 소비자들에게 전기차의 존재를 알렸다면 iX 모델은 BMW의 친환경차 미래 방향성을 보여주는 모델이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세계적인 자동차 브랜드들이 내연기관 차량에 맞춰진 소비자들의 눈높이를 전기차를 통해 만족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었다. 이번에 BMW가 선보인 플래그십 순수 전기 모델 iX는 국내 소비자들의 기대치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요소를 다양하게 반영했다. 이는 국내 소비자들의 반응으로 확인할 수 있다. 지난 11월 22일 공식 공개한 iX는 출시를 앞두고 진행한 사전계약에서 2200대가 계약되는 등 SUV 전기차 시장에서 흥행을 예고 했다. 이에 최근 BMW코라이가 출시한 iX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시승을 진행했다. 시승은 인천 영종도 BMW 드라이빙 센터를 출발해 경기도 파주까지 왕복 180km 구간에서 BMW iX xDrive40 모델로 진행했다. 디자인은 친환경차 답게 미래지향적인 외관을 갖추고 있다. 물론 '돼지코', '토끼이빨'이라는 혹평을 받던 수직형 키드니 그릴을 채택해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호불호가 갈릴 것으로 예상했지만 현재는 호(好)에 가깝다. 수직형 키드니 그릴은 카메라와 레이더, 각종 센서가 통합돼 지능형 패널 역할을 한다. 후면은 수직 그릴과 대비되는 리어라이트가 눈길을 끈다. 극로도 얇게 디자인 된 라이트는 앞모습과 달리 날렵하고 스포티한 느낌을 준다. 차체는 X5 수준의 전장과 전폭, BMW X6의 전고, 그리고 BMW X7의 휠 크기를 자랑한다. 실내는 경쟁 전기차들과 확실히 다른 느낌을 준다. BMW가 오랜 시간 고집하던 실내 디자인에서 완전히 벗어나 여백의 미를 살리면서도 고급스럽게 포인트를 줬다. 특히 크리스탈 다이얼과 시트 컨트롤러는 럭셔리한 느낌을 담아냈다. 또 시트와 대시보드 소재는 올리브 잎 추출물로 가공된 친환경 천연가죽을 사용했고, 센터 콘솔은 FSC 인증 목재로 제작한 패널을 적용해 편안한 라운지 감각을 더했다. 주행성능은 매력적이다. 우선 BMW iX의 운전석에 앉으면 BMW 그룹 최초로 적용된 육각형 스티어링 휠이 반갑게 맞아준다. 기존 차량들이 원형 스티어링 휠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처음엔 낯설었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적응됐다. 차량을 컨트롤하는데 부담없었다. 시승 모델인 iX xDrive40의 최고 출력은 326마력이며 제로백(0∼100km 가속 시간)은 6.1초, 1회 충전 주행 거리는 복합 기준 313km다. 차량 주행에 나서자 적응형 회생제동이 자동으로 실행됐다. 도로 상황을 차량이 스스로 감지해 속도를 낮추며 배터리 회생과 함께 안정적인 주행을 이어갔다. 운전자가 가속페달만을 사용해 앞차와의 안전거리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 브레이크는 위급한 상황이 아닐경우 별도로 밟지 않아도 될정도였다. 운전자는 3단계로 회생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가장 강력한 에너지 회수로 주행거리를 늘리고 싶다면 B모드에 놓으면 된다. 고속도로에서 가속 페달을 밟자 빠르게 치고 나갔다. 운전 모드는 이피션트, 스포츠, 퍼스널 세 가지로 구성됐는데, 스포츠 모드로 주행하면 세계적인 작곡가 한스 짐머와 공동 개발한 BMW 아이코닉 사운드 일렉트릭을 들을 수 있다. 고속 주행과 고속 코너링시 정숙성과 안정감도 뛰어났다. BMW iX의 차체는 동급 최초로 알루미늄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에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고성능 열가소성 수지, 고강도 강철, 알루미늄 등을 사용해 무게는 줄이고 강성은 높였다. 한가지 아쉬운점은 짧은 주행거리다. iX xDrive40은 1회 충전에 313㎞를 주행할 수 있다. 경쟁 브랜드의 벤츠 'EQC'(309㎞)나 아우디 'e-트론'(307㎞)보다 주행거리가 길지만 현대차그룹이 출시한 전기차 모델의 주행거리가 400km에 육박하다는 점에서 아쉬움으로 남았다. 가격은 BMW iX는 iX Drive40 모델이 1억 2260만 원, iX xDrive50 모델이 1억 4630만 원이다.

2021-11-30 15:35:34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르노삼성 부활 이끈 XM3…MZ세대 라이프스타일 충실한 SUV

르노삼성 XM3. 르노삼성자동차의 부활을 이끈 스포츠유틸리티차(SUV) XM3는 MZ세대의 가려운 부분을 완벽하게 긁어주는 모델이다.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하는 모델이기도 하다. 지난해 7월 칠레 수출을 시작으로 해외 판매를 시작한 XM3는 올해 해외 수출 5만대를 돌파하는 등 글로벌 시장에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도 판매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차량용 반도체 수급문제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다만 현재 1300명에 이르는 XM3 대기 고객 물량이 남아있는 만큼 향후 국내 시장에서의 성장세도 기대된다. XM3의 인기는 기존 모델과 달리 차별화된 디자인을 적용했다는 점과 소형 모델임에도 고급 옵션을 확대 적용해 경제성은 물론 고급스러움까지 갖추고 있다. 특히 연식변경을 진행하면서 첨단 기술을 적용해 비대면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XM3의 매력을 분석하기 위해 시승을 진행했다. 시승은 서울 여의도를 출발해 충남 태안의 안면도까지 왕복 300km 구간에서 진행했다. XM3는 겉모습부터 차별화에 공을 들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SUV와 세단의 매력을 결합한 스타일링을 갖춘 XM3는 국산 SUV 중 최초로 쿠페형 라인을 담아냈다. 쿠페형 SUV는 대부분 프리미엄 브랜드에 적용된 디자인으로 소형 SUV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XM3는 동급에서 가장 낮은 차체 높이(1570㎜)와 가장 높은 최저 지상고(186㎜)로, 세단처럼 날씬하면서도 SUV답게 견고한 실루엣을 자랑하며 매력적인 스타일을 완성했다. 여기에 C자형 LED 주간주행등으로 르노삼성 특유의 디자인 콘셉트를 보여주며, LED 퓨어 비전 헤드라이트로 우수한 시인성은 물론 엣지있는 스타일을 뽐낸다. TCe260 RE시그니처 트림을 기준으로, 안개등 대신 에어커튼 크롬 장식을 추가했으며, 크롬사이드 엠블리셔와 가니시 형상을 변경했다. 기본 적용되는 주간 주행등(DRL)이 안개등 기능을 대체하기에 과감하게 삭제했다. 뿐만 아니라, 프런트/리어 스키드를 기존 그레이 컬러에서 하이퍼 새틴 그레이로 변경하고 블랙 투톤 루프(선택품목)를 추가해 세련된 이미지를 강화했다. 르노삼성 XM3. XM3는 비대면 거래를 선호하는 MZ세대의 눈높이에 맞춰 인카페이먼트 시승템을 탑재했다. 이 시스템은 모바일 커머스 플랫폼 스타트업인 오윈과 제휴된 다양한 가맹점에서 드라이브 스루처럼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XM3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설치된 오윈 애플리케이션으로 주문과 결제를 마치면 내비게이션이 해당 매장으로 길을 안내한다. 도착 후 앱으로 호출하면 매장 직원이 주문한 메뉴를 직접 차 안으로 전달해준다. 현재는 전국 1000여개의 CU 편의점을 비롯해 GS칼텍스와 EX의 주유소에서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카페와 음식점 등에서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주차가 힘든 상황에서도 편리하게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다. XM3의 주행 성능은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고 기본기에 충실한 느낌이 강하다. 초반 순간 가속력은 다소 아쉬웠지만 고속 도로에서의 가속력은 부족하지 않았다. 이는 7단 EDC를 탑재 스포티한 감각 보다 효율적인 주행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 XM3는 TCe 260(1.3L 가솔린 터보) 엔진과 1.6GTe(1.6L 가솔린) 엔진 가운데 선택할 수 있는데 시승차량은 1.6GTe 엔진이 장착된 모델이었다. 1.6GTe 모델은 최고출력은 123마력, 최대토크는 15.8㎏·m이이다. 연비는 15.8㎞로 복합연비 13.6㎞/L을 훌쩍 뛰어넘었다. XM3 가격은 1.6 GTe ▲SE 트림 1787만원 ▲LE 트림 2013만원 ▲RE 트림 2219만원, TCe 260 ▲RE 트림 2396만원 ▲RE 시그니처 트림 2641만원이다. MX3는 자신만의 개성을 중시하는 젊은 층은 물론 경제성까지 갖추고 있어 다양한 연령층까지 만족 시키기에 충분한 모델이다.

2021-11-17 15:50:30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최첨단 기능' 제네시스 GV60, 얼굴 인식·지문 인증 등 다양한 기술 담아

제네시스 GV60 주행 모습. 제네시스 브랜드가 현대차그룹의 순수 전기 플랫폼(E-GMP)을 적용한 GV60은 진화하는 무섭게 성장하는 친환경차의 첨단 기술을 경험할 수 있는 모델이다. 특히 GV60은 깡통차(기본형 모델)을 기준으로 5990만원부터 시작된다. 다소 비싼 몸 값으로 시작하지만 '비싼 만큼 값어치를 한다'는 이야기 떠오른다. 생체 인식 기술을 적용해 자동차 열쇠 없이도 문을 열고 시동을 걸 수 있다. 최근 출시된 GV60의 기능과 장단점을 확인하기 위해 시승을 진행했다. 시승에 앞서 양산차 최초로 적용한 얼굴 인식과 지문 인식 등 생체 정보를 등록했다. 잠금장치 해제를 위해 운전석 도어 손잡이 중간 부분을 터치한 뒤 B필러 쪽에 탑재된 카메라를 응시하자 빠르게 얼굴 인식을 끝내고 차량의 잠금이 해제됐다. 차량에 탑승한 후 지문 인식을 진행하자 자연스럽게 시동이 걸렸다. 시동 버튼을 누르면 크리스털 스피어가 뒤집히면서 변속 조작계가 나타난다. 미래 자동차라는 느낌이 들었다. 얼굴인식과 지문인식 모두 인식율이 높았다. 시승을 진행하는 동안 몇차례 진행, 모두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GV60은 E-GMP를 기반으로 제작된 만큼 넓은 실내 공간을 제공했다. 전폭(1890㎜)은 같은 차급의 투싼보단 넓고 중형인 싼타페보다 조금 좁다. 전장(4515㎜)은 투싼보다도 짧지만 뒷좌석 레그룸은 한층 넓게 느껴진다.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의 장점을 활용해 축거(휠베이스)를 늘렸기때문이다. GV60의 축거(2900㎜)는 제네시스 브랜드 내 상위 차급인 GV70(2875㎜)보다 길다. 2열도 넓은 공간성을 제공한다. 특히 GV60은 차량 곳곳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핸드백과 파우치 등 소지품이 많은 여성 운전자를 위한 배려도 느껴졌다. 또 트렁크는 골프백 두개를 실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했다. 제네시스 GV60 적재공간. 차량의 주행 성능을 경험하기 위해 본격적인 시승을 진행했다. 시승 구간은 스타필드 하남을 출발해 가평까지 왕복 70㎞에서 이뤄졌다. 시승 모델은 GV60의 3가지 트림 중 운전 재미에 중점을 둔 퍼포먼스 AWD로 1회 충전 주행거리가 스탠다드 후륜(451km)에 비해 짧은 368km인 대신 출력과 토크를 높이고 부스트 모드까지 장착했다. 전륜과 후륜에 각각 최대 출력 160kW 모터를 장착해 합산 최대 출력 320kW, 최대 토크 605Nm를 자랑한다. 이는 대형 세단인 제네시스 G80 전동화 모델(합산 최고 출력 272kW)을 크게 앞서는 수준이다. 운전석에 앉아 가속페달에 힘을 주자 빠르게 속도를 높였다. 제네시스의 기존 차량들은 부드러운 주행을 중심으로 제작됐지만 GV60은 스포티한 주행을 즐길 수 있도록 설계했다는 느낌이 강했다. 운전대 오른쪽 하단에는 '부스트' 버튼이 자리한다. 현대차 고성능차 N 모델의 'NGS(N 그린 시프트)' 붉은색 버튼처럼 이 노란색 부스트 버튼을 누르면 10초간 출력과 토크가 최대치까지 올라간다. 계기판 화면도 갑자기 붉게 변한다. 부스트를 누른 직후 가속 페달을 밟으면 부드러움은 유지한 채 차가 앞으로 쏠리듯 빠르게 치고 나간다. 제네시스 GV60 실내모습. 외부 소음 차단에 대한 노력도 느껴졌다. 엔진음으로 외부 소음을 덮어주는 내연기관과 달리 전기차는 노면 소음이나 풍절음에 완벽하게 노출된다. 하지만 GV60은 시승하는 동안 외부 소음에 대한 불편을 느끼지 못할 정도로 방음은 완벽했다. 다만 아쉬운 부분도 있었다. 가격적인 부분을 무시할 수 없다. 다양한 첨단 기능을 적용하면 순식간에 8000만원까지 상승한다. 또 첨단 기능을 추가하다보면 현재 자동차 반도체 수급난 영향으로 대기기간은 최소 6개월 이상 소요된다. 첨단 기술을 적용했지만 소비자들에겐 '그림의 떡'이다. GV60의 판매 가격은 스탠다드 후륜 모델의 경우 5990만원이고, 스탠다드 사륜 모델은 6459만원, 퍼포먼스 모델은 6975만원이다. 제네시스 GV60.

2021-11-09 15:08:19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힘·가속력·편안함' 경차의 기준을 바꾼 '캐스퍼'

현대차 캐스퍼 주행 모습. 현대자동차가 새롭게 출시한 '캐스퍼'는 '경차는 싼 맛에 타는 차'라는 편견을 완벽하게 깨버렸다. 경차는 한때 '깡통차'라는 인식이 강해 소비자들에게 외면받기도 했다. 하지만 캐스퍼는 독특한 디자인과 첨단 운전자 보조시스템, 앞좌석 센터 사이드 에어백 기본 적용 등으로 이전에 찾아볼 수 없었던 스펙을 자랑한다. 경차의 기준을 바꾼 캐스퍼는 사전계약 첫날 판매 기록을 새롭게 작성하며 흥행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캐스퍼의 매력을 알아보기 위해 시승을 진행했다. 시승 차량은 1.0터보 인스퍼레이션 트림(1870만원)으로, 캐스퍼 액티브 II·선루프, 스토리지 등 옵션을 포함한 가격은 2007만원이다. 일단 첫 인상은 귀엽다. 두 개의 원형 헤드램프와 웃는 사람 모양의 전용 엠블럼 등 재미있는 디자인 요소가 캐스퍼의 매력을 배가시켰다. 전면부 디자인은 상단에 턴 시그널 램프, 하단에 아이코닉한 원형 LED 주간주행등(DRL)을 배치한 분리형 레이아웃과 미래지향적인 파라메트릭 패턴 그릴, 넓은 스키드 플레이트로 캐스퍼만의 개성 넘치는 스타일을 완성했다. 실내는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하려는 노력이 묻어났다. 제원상 차체 길이는 3595㎜, 폭은 1595㎜, 높이는 1575㎜로 경차 크기다. 현대차 캐스퍼 실내 모습/양성운 기자 캐스퍼는 현대차의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에 적용된 '유니버셜 아일랜드'를 탑재해 앞좌석의 이동성을 확보했다. 캐스퍼는 기어노브를 대시보드쪽으로 옮기고 센터콘솔을 없애 필요에 따라 운전석에서 보조석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운전석과 보조석 시트를 완전히 접을 수 있는 풀 폴딩 시트를 적용한 것이다. 이는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세계 최초로 시도한 것으로 보조석의 경우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노트북 등 다양한 물건을 고정해서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경형 SUV임에도 불구하고 2열 공간은 여유로웠다. 177㎝의 성인 남성이 탑승해도 레그룹이 답답하지 않았다. 트렁크 공간은 기본 161리터, 2열을 접으면 301리터까지 확장된다. 주행 성능과 승차감은 모닝과 레이 등 기존 경차를 넘어섰다. 현대차 캐스퍼 1,2열 퐁딩 모습/양성운 기자 캐스퍼 터보모델은 가솔린1.0터보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100마력, 최대토크 17.5kgf·m를 낸다. 가파른 오르막길이나 고속 주행에도 무리가 없었다. 고속 구간에서는 가속시 빠르게 속도를 높였다. 차량이 없는 구간에서 속도를 높이자 시속 150km까지는 부담없이 도달했다.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경차임에도 첨단 기술을 대거 적용했다는 점이다. 캐스퍼는 전방 충돌방지 보조(차량·보행자·자전거 탑승자), 차로 이탈방지 보조(LKA), 차로 유지 보조(LFA), 운전자 주의 경고(DAW), 하이빔 보조(HBA), 전방차량 출발 알림 등을 경형 최초로 기본 적용했다. 중형급 이상 고급 모델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안정적인 주행을 이어갔다. 경차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가격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지만 첨단 기술을 대거 적용했다는 점도 고려해야한다. 캐스퍼의 트림별 가격은 1380만원부터 1870만원까지 다양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선택하기 나름이다. 캐스퍼는 등장만으로 경차의 기준을 새롭게 제시했다고 평가하고 싶다. 현대차 캐스퍼 주행 모습.

2021-10-06 14:40:04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랜드로버 레인지로버 벨라 부드럽지만 묵직한 파워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벨라. 랜드로버의 레인지로버 라인업 중 실용성과 절제된 우아함을 갖추고 있는 모델은 바로 '벨라'다. 이 때문에 레인지로버 벨라에는 '아름답다'는 수식어가 항상 따라다닌다. 시승을 위해 만난 벨라는 덩치가 크지만 예쁘다는 인상이 강했다. 특히 인기 드라마 '스카이캐슬'에서 예서 엄마 차로 국내 소비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랜드로버의 모던함과 우아함을 담당하는 레인지로버 벨라는 전지형 주행역량과 고급스러움, 정제된 성능 그리고 완벽한 비율의 디자인을 두루 갖춘 모델이다. 레인지로버 벨라는 새로운 유형의 고객들을 위한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4번째 레인지로버 모델로 레인지로버 스포츠와 이보크 사이에 위치한다. 모델명은 1969년에 등장해 럭셔리 SUV 시장을 개척한 최초의 '레인지로버 프로토타입'에서 유래한다. 시승은 레인지로버 벨라 P400 다이내믹 HSE로 진행했다. 벨라는 3.0L 직렬 6기통 가솔린 엔진에 랜드로버에서 직접 개발한 48V 마일브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했다. 여기에 8단 자동변속기 조합으로 최고출력은 400마력, 최대토크는 56kg·m이다. 제로백(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에 도달하는 시간)은 5.5초다. 덕분에 길이 4797㎜에 2톤이 넘는 차체에도 빠른 움직임과 함께 고속 코너링에도 기민하게 움직였다. 방지턱이나 불규칙 노면에서도 부드러운 주행을 이어갔다. 일상 주행에서 엔진·노면 소음 등은 거의 느껴지지 않았다.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벨라 실내 모습. 실내 공간은 2874㎜의 휠베이스로 넉넉한 공간을 제공했다. 특히 2열 시트를 일정 각도만큼 뒤로 젖힐 수 있어 안락한 승차감을 느낄 수 있다. 트렁크 공간은 735L로 가족 여행이나 캠핑에 필요한 짐을 싣는데도 부족함이 없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터 가죽, 크롬 소재 등을 적용해 실내의 고급스러움도 완벽하게 담아냈다. 그동안 국내 수입차들의 공통적인 아쉬움이였던 내비게이션 문제도 깔끔하게 해결했다. 벨라는 SK텔레콤과 협업해 내비게이션 티맵을 기본 제공해 편의성을 높였다. 이 외에도 레인지로버 벨라 2021년형 모든 모델에는 3D 서라운드 카메라 및 도강 수심 감지 기능이 장착돼 더 안전한 운행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이오나이저 기능과 PM 2.5 필터가 적용된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을 탑재해 항상 쾌적한 차량내 환경을 제공한다. 아쉬운 부분은 연비다. 차량의 덩치가 큰 만큼 공인 복합 연비는 8.9㎞/L이다. 다만 서울 여의도를 출발해 경기도 안성을 경유해 돌아오는 왕복 160km구간을 주행한 결과 연비는 9.1㎞/L로 공인연비에 비해 높은 수준을 기록했지만 경쟁 모델에 비해 부족함이 있었다. 레인지로버 벨라 2021년형은 총 세 가지 트림으로 판매되며, 5년 서비스 플랜 패키지가 포함된 판매 가격은 P250 R-Dynamic SE 9520만원, P400 R-Dynamic SE 1억 920만원, P400 R-Dynamic HSE 1억 1460만원이다.

2021-09-27 13:38:01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믿고 타는' 스포티지 하이브리드…가격은 꼼꼼히 분석해야

기아의 대표적인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스포티지가 '국민 아빠차' 쏘렌토를 위협하고 있다. 기아의 대표적인 준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스포티지가 6년 만에 크기는 물론 디자인, 경제성을 강화해 새롭게 탄생했기 때문이다. 특히 하이브리드 엔진을 탑재한 스포티지는 하이브리드카 인기 상승과 함께 연말까지 세제 혜택을 등에 업고 소비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스포티지는 사전 계약 첫 날인 지난달 6일 하루에만 1만6078대가 계약될 정도다. 하이브리드 모델의 계약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최근 경기도 하남에서 진행된 기아의 '디 올 뉴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모델 시승회를 통해 소비자들이 차량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갖는 이유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승은 하남도시공사 주차장을 출발해 경기도 양평 카페 문릿을 다녀오는 약 90㎞ 구간에서 도심주행과 고속도로 주행 특징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첫 인상은 이전 세대와 달리 한층 커진 차체 크기와 파격 디자인을 적용해 역동적이면서도 강인함이 넘친다. 차량 앞부분은 블랙 컬러의 대형 라디에이터 그릴(냉각용 공기를 받아들이는 통풍구 역할을 하는 장치)과 날카로운 라인의 LED 헤드램프가 날렵함을 더했고, 측면은 입체적인 볼륨감과 곡선 라인이 인상적이다. 신형 스포티지는 전장 4660㎜, 전폭 1865㎜, 전고 1660~1680㎜, 축거 2755㎜다. 이전 모델에 비해 전장 175㎜, 전폭 10㎜, 전고 15㎜, 축거는 85㎜가 늘었다. 차제가 커진 만큼 내부 공간 활용성도 한층 강화됐다. 국내 준중형 SUV 최초로 적용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와 터치식 전환조작계, 다이얼 방식의 변속기는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한껏 풍긴다. 또 다양한 편의사양도 탑재했다. 2열에선 1열 헤드레스트 뒤에 외투를 걸 수 있도록 했으며, 쇼핑백 등을 걸 수 있는 걸이와 미니포켓도 1열 좌석 뒷부분에 위치한다. 스마트 기기 충전을 위한 USB C타입 포트는 1열 좌석 측면에 있다. 그동안 준중형 SUV의 아쉬움으로 남았던 적재공간도 부족함이 없었다. 스포티지의 적재용량은 트렁크 637L, 2열 시트 폴딩시 1923L(디젤 1879L) 등에 달한다. 기존 모델과 비교해 트렁크 134L, 2열 폴딩 후 431L씩 확장됐다. 유모차 등 차량에 짐을 많이 실어야하는 어린 자녀를 둔 부모에게 매력적인 요소다. 주행성능은 전체적으로 부드럽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이라이드(E-Ride)와 이핸들링(E-Handling) 기술을 적용한 영향도 있다. 이라이드는 과속방지턱 등을 통과할 때 차량의 운동 방향과 반대로 관성이 발생하도록 모터를 제어한다.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붙잡아준다. 덕분에 와인딩구간과 과속방지턱을 통과해도 부드러운 승차감을 유지했다. 고속 구간에서는 시원하게 치고 나갔다. 스포티지 하이브리드는 최고 출력 180ps, 최대 토크 27.0㎏f·m의 스마트스트림 터보 하이브리드 엔진과 구동 모터를 조합해 시스템 최고 출력 230ps, 시스템 최대 토크 35.7㎏f·m의 힘을 발휘한다. 스포츠모드로 변경하자 배기음은 물론 에코 모드와 비교해 빠르게 반응했다. 빠르게 속도를 끌어 올리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고속도로에서 속도를 120km 이상으로 가속하자 엔진음과 도로에서 올라오는 노면소음이 느껴졌지만 크지 않았다. 또 이전 모델과 달리 고속 주행시 무게중심을 낮게 유지해 안정감을 더했다. 이 외에도 스포티지 하이브리드는 운전자와 탑승객의 안전을 위해 다양한 첨단 주행보조 시스템을 탑재했다.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NSCC)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RSPA) ▲지능형 속도 제한 보조(ISLA)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 ▲서라운드 뷰 모니터(SVM) ▲후방 교차 충돌 방지 보조(RCCA) 등이 적용됐다. 고속도로와 도심, 국도를 주행한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연비는 19.4㎞/L로 공인 복합 연비(16.7㎞/L)를 훌쩍 뛰어넘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가격이다.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풀옵션을 적용할 경우 가격은 4300만원에 육박한다. 다만 자신에게 필요한 옵션만 선택하면 3000만원대로 구매가 가능하기 때문에 꼼꼼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하이브리드 SUV를 고민한다면 스포티지는 한번쯤 고민해 볼만한 차량이다.

2021-08-26 14:56:23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뉴 푸조 5008' 패밀리 SUV 제격…평평한 2열 시트 매력적

뉴 푸조 5008 SUV 주행. 국내외 완성차 업체들이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인기 장기화로 다양한 모델을 선보이며 경쟁에 나서고 있다. 스포츠카 못지 않은 퍼포먼스를 갖춘 SUV부터 쿠페형, 소형, 초대형 모델 등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다양한 모델들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프랑스 브랜드 푸조는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의 공식 의전차로 사용한 '5008 SUV'를 출시하며 주목받았다. '뉴 푸조 5008 SUV'는 스타일리시한 디자인부터 넉넉한 공간까지 갖춘 7인승 플래그십 모델이다. 최근 뉴 푸조 5008 GT의 매력을 알아보기 위해 시승을 진행했다. 첫인상은 큰 차체를 갖추고 있지만 젊은 디자인 감성을 적용해 스타일리시한 매력을 갖추고 있다. 전면부는 차체 및 헤드램프와의 연결성을 강조한 일체형 프레임리스 그릴을 적용해 유려하면서도 품격 있는 SUV의 스타일을 완성했다. 사자의 송곳니를 형상화한 새로운 푸조의 시그니처 주간주행등(DRL)을 적용했으며, 안개등을 포함한 새로운 디자인의 풀 LED 헤드램프를 탑재했다. 범퍼 하단 양 끝에는 유광 블랙으로 강조된 사이드 스쿱을 적용해 스포티함을 강조했다. 보닛 중앙에는 '5008' 엠블럼을 추가했다. 뉴 푸조 5008 SUV 실내모습. 실내는 화려함보다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혔다. 우선 시인성이 뛰어난 디지털 클러스터와 운전자를 향해 살짝 기울여진 센터페시아 상단에 자리한 팝업 타입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능과 다양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터치 인터페이스 및 독특한 버튼의 컨트롤 패널 등과 조화를 이루며 높은 만족감을 제공한다. 특히 2열 시트는 경쟁 SUV와 평평한 바닥을 제공해 탑승시 불편함을 최소화했다. 또 카시트 설치시 낭비하는 공간을 최소화했다. 2명의 어린 자녀의 탑승을 위해 카시트 2개를 설치한 뒤 보호자가 중간 자리에 탑승해도 크게 불편하지 않았다. 적재 공간도 매력적이다. 3열 시트까지 모두 사용할 경우 5008 GT의 적재 공간은 240L를 채우지 못하지만 3열 시트를 접으면 952L, 2열 시트까지 모두 접을 때에는 2150L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만 3열 공간은 성인이 탑승하기엔 좁다는 느낌을 받았다. 푸조 5008 GT는 최고 출력 131마력과 30.61kg.m의 토크를 제시하는 1.5L의 블루 HDi 디젤 엔진을 적용했다. 여기에 8단 자동 변속기, 그리고 전륜구동의 레이아웃이 조합되어 경쾌하면서도 효율적인 주행을 제공한다. 고속 주행에도 힘이 부족하다는 느낌은 들지 않았으며 조향 시의 차체 반응도 민첩했다. 뛰어난 연비도 매력적이다. 푸조 5008 GT는 공인 기준 14.9km/L의 우수한 복합 연비를 갖추고 있다. 실제 도심과 고속도로를 주행한 결과 16.8km/L로 공인 연비와 비교해 뛰어난 연료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개소세 인하분을 반영한 푸조 신형 5008의 가격은 알뤼르 4761만원, GT 4979만원, GT 팩 5710만원이다. 뛰어난 공간 활용성을 갖춘 '뉴 푸조 5008'은 4~5인 가족에게 추천하고 싶은 패밀리 SUV라는 결론을 내렸다. 뉴 푸조 5008 SUV 적재공간.

2021-08-09 14:56:13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디자인·편의성' DS7 크로스백, 기존 차량과 차별화…젊은 감성 하차감 까지

"저 차 예쁜데 어느 브랜드야?" 프랑스 대표 자동차 DS오토모빌(이하 DS)은 강렬하면서도 감각적인 디자인으로 주변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다른 브랜드에선 볼 수 없는 디자인을 적용해 뛰어난 '하차감'도 경험할 수 있다. 하차감은 디자인이나 뛰어난 존재감으로 차에서 내릴 때 주목받는 것을 말한다. 이번에 시승한 모델은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의 아름다운 디테일을 오마주한 'DS 7 크로스백 루브르 에디션'이다. 시승은 서울 여의도에서 파주 임진각 평화누리 공원까지 왕복 약 110㎞을 주행했다. DS 7 크로스백 루브르 에디션은 DS만의 정교하고 우아한 스타일링과 루브르 박물관의 상징적인 디자인 요소가 조화를 이룬 것이 특징이다. 전면의 DS 윙스(DS WINGS), 윈도우 스트랩, 루프 바, 그리고 리어램프 몰딩에 유광 블랙을 적용해 더욱 강렬한 존재감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낸다. 레이저 음각 기술로 피라미드를 형상화한 다이아몬드 패턴을 사이드미러 커버에 추가하고 보닛, 운전석 및 조수석 도어, 테일게이트에 루브르 에디션을 상징하는 배지를 적용해 기존 DS 7 크로스백과 차별화했다. 여기에 새로운 디자인의 20인치 알렉산드리아 알로이 휠을 탑재해 품격 높은 디자인을 완성했다. 실내는 독특한 디자인을 적용해 미래지향적인 느낌이 강하다. 차량 시동 버튼은 센터페시아 위에 마름모 모양으로 자리하고 있다. 창문 열림 버튼은 1열 중앙에 위치했다. 처음 차량을 접하면 누구나 당황할 법 하다. 실내는 DS의 가장 상위 트림에 적용되는 '오페라 인스퍼레이션'을 적용했다. 워치스트랩 패턴의 최고급 나파가죽시트와 고급 수제 맞춤복 '오트쿠튀르'의 자수 기법에서 영감을 받아 개발된 펄 스티치 마감이 특징이다. 특히 대시보드와 송풍구에 3D 피라미드 디자인 배지와 송풍구 슬라이더를 적용했다. 시동을 켜면 시동 버튼 위에 시계가 회전하며 모습을 드러낸다. 모터스포츠 전문 시계 메이커 BRM 크로노그래프의 'BRM R180' 모델로 스포티한 디자인이다. DS7 크로스백은 첨단 기술도 대거 탑재했다. 시동을 걸면 빛을 발산하며 회전하는 DS 액티브 LED 비전을 비롯해 카메라 및 센서가 노면 상태를 분석해 네 바퀴의 댐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DS 액티브 스캔 서스펜션, 적외선 카메라가 100m 앞 전방 사물을 감지해 위험 정도에 따라 디지털 계기판에 노란색 또는 빨간색 선으로 표시해 보여주는 DS 나이트비전, 프랑스 하이엔드 오디오 브랜드인 포칼®(FOCAL®)의 일렉트라 하이파이 시스템 등 폭넓은 첨단기술을 탑재해 동급 세그먼트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품격을 선사한다. 또 반자율주행 시스템인 'DS 커넥티드 파일럿'을 지원한다. 국내 소비자 선호 옵션을 반영, 1열 통풍 및 마사지시트를 더함으로써 상품성도 강화했다. DS 7 크로스백 루브르 에디션은 2.0L 블루HDi 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해 최고출력 177마력과 최대토크 40.8kg.m를 발휘한다. 초반 가속력은 탁월했으며 고속구간에서 가속시에도 부족함은 느껴지지 않았다. 중형 SUV 체격을 갖추고 있지만 역동적이고 날렵한 움직임을 경험할 수 있다. 연비도 만족스러웠다. 공인 복연비 12.8㎞/L를 훌쩍 뛰어넘는 15.3㎞/L를 기록했다. 국내 한정판인 루브르 에디션은 6000만원대로 출시됐다는 점에서 가격적인 부담이 있지만 DS7 크로스백은 다양한 옵션을 탑재하고도 5000만원로 출시돼 패밀리 SUV로 선택하기 부담없을 것으로 보인다.

2021-07-18 11:45:42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캠핑에서 골프까지 아빠 취향 저격 혼다 파일럿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넓은 실내공간과 뛰어난 활용성을 앞세운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인기가 식을 줄 모르고 있다. 불과 10년 전만 해도 3040세대는 챠량 구매시 세단에 높은 관심을 보였지만 최근에는 SUV가 최고 인기 차종으로 올라섰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순히 덩치가 크고 실내공간이 넓은 SUV보다 실용적이고 뛰어난 주행 성능을 갖춘 SUV에 대한 소비도 증가하고 있다. 혼다코리아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대형 SUV 파일럿의 2021년형 부분변경 모델에 실용성과 정숙성, 첨단 기술을 녹였다. 지난 10일 2021년형 파일럿의 시승을 진행하며 차량의 매력을 분석했다. 시승은 서울 여의도를 출발해 충북 충주에 있는 행덕산까지 왕복 250㎞ 구간에서 진행했다. 고속도로와 국도, 시골 소로를 주행했다. 혼다 파일럿은 첫 인상부터 대형 SUV의 웅장함을 갖추고 있다. 국내 판매중인 대형 SUV와 비교해도 부족함이 없는 5005㎜의 전장과 1995㎜의 전폭 그리고 1795㎜의 전고를 갖추고 있다. 거대한 체격에 어울리는 공간을 위해 2820㎜의 휠베이스를 확보해 뛰어난 실용성을 자랑한다. 이처럼 큰 차체를 갖추고 있지만 주행시 운전자의 부담은 크지 않았다. 확 트인 시야와 일반 승용차 두배에 가까운 넓은 사이드미러는 안정감을 줬다. 또 거대한 체격에 편리한 탑승을 위한 러닝 보드를 장착해 어린이나 노약자가 쉽게 탑승할 수 있도록 했다. 실내는 대형 SUV라는 이름에 걸맞게 여유로운 공간을 제공했다. 이 차의 좌석은 2+2+3 구조다. 1열은 물론 2열과 3열까지 성인이 탑승해도 부담이 없을 정도로 쾌적한 실내 공간을 제공했다. 또 3열 시트를 접지 않아도 유모차를 실을 수 있는 넓은 적재 공간을 제공한다. 특히 3열을 접을 경우 1325L 공간 확보가 가능해 캠핑 장비는 물론 골프백 4개를 적재하는데 부담이 없다. 커다란 덩치와 달리 주행 성능은 민첩하고 부드러웠다. 파일럿 V6 3.5리터 직접분사식 i-VTEC 엔진은 최고출력 284마력, 최대 토크 36.2kg.m를 발휘한다. 고속구간에서 가속시 차분하게 속도를 끌어올린다. 자연흡기 엔진의 매력을 완벽하게 담아냈다. 또 가솔린 SUV인 만큼 소음에 대한 걱정은 물론 방지턱이나 불규칙한 노면에서의 진동 대응도 뛰어났다. 다만 아쉬운 점은 전기장비부품의 구성이다. 차량의 크기에 비해 스크린 디스플레이 크기가 작아 시의성이 떨어진다. 또 최근 출시되는 차량의 첨단 기능과 화려함보단 클래식한 실내 공간을 제공해 호불호가 나뉠것으로 보인다. 가솔린 SUV지만 연비는 기대 이상을 기록했다. 고속도로와 국도 등을 주행한 경과 11.8km/L를 기록 복합 공인 연비(8.4km/L)를 훌쩍 뛰어넘었다. 여유로운 실내 공간과 부드러운 주행 성능, 뛰어난 연비 등을 갖추고 있는 혼다 파일럿은 '패밀리 SUV'로 안성맞춤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2021년형 혼다 파일럿은 '엘리트' 단일 트림으로 판매되며 컬러는 화이트, 메탈, 블랙 총 3가지이다. 가격은 이전과 동일한 5950만원이다.

2021-06-24 10:59:16 양성운 기자
기사사진
[YG의 카톡(Car Talk)] '설레이는 여행' 카니발 7인승 리무진…'아빠차' 이유 알겠네

기아 4세대 카니발 주행모습. '짐을 어떻게 실어야 할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캠핑을 즐기는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불과 3~4년 전까지만해도 불편한 잠자리와 화장실 등의 문제로 캠핑을 다니지 않던 지인들이 최근에는 자연스럽게 캠핑을 즐기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캠핑인구는 2019년 기준 약 600만명으로 10년전과 비교해 10배 이상 증가했다. 최근에는 70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같은 영향은 자동차 시장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주변 지인들에게 "애들과 캠핑다니는데 짐이 늘어나 어떻게 실어야 할지 모르겠다"며 "차를 바꿔야 할 것 같은데 어떤게 좋을까?"라는 이야기를 자주 듣는다. 4인 가족 기준 캠핑을 떠난다면 텐트와 코펠, 테이블, 침낭, 아이스박스 등 챙겨야할 짐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특히 캠핑의 매력에 빠져들면 캠핑 용품은 더욱 증가한다. 루프박스 등 별도의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4인 가족이 세단에 짐을 싣고 편안하게 이동하는건 쉽지 않다. 결국 캠핑 마니아들은 대형 SUV나 미니밴으로 눈을 돌리게 된다. 최근 시승했던 차량 중 가장 매력적인 모델은 7인승 카니발리무진이다. 4인 가족이 캠핑 장비를 싣고 부모님과 함께 캠핑을 떠나도 적재 공간은 물론 실내 공간까지 매우 만족스러웠다. 실제 4세대 카니발은 출시 전부터 국내 자동차 판매 사상 최단기간 최다 예약 신기록을 세웠다. 4세대 카니발은 사전예약 하루만에 2만 3006대가 예약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보였다. 4세대 카니발은 신형 N3 플랫폼이 탑재되면서 이전 세대 대비 덩치가 커졌다. 신형 카니발의 전장·전폭·전고는 5155·1995·1740㎜로 이전 세대 대비 전장과 전폭이 각각 40·10㎜ 늘었다. 축간거리 역시 3060㎜에서 3090㎜로 소폭 길어졌다. 기아 4세대 카니발리무진 적재공간. 특히 3열 시트의 싱킹을 고려해 바닥면을 깊숙하게 제작해 엄청난 양의 짐을 적재할 수 있다. 3세대 쏘렌토 트렁크(605L)에 힘겹게 적재했던 캠핑 장비를 카니발(627L)에는 3열 시트를 접지 않고 모두 적재할 수 있었다. 실내 공간은 고급스러웠다. 2열에 설치된 프리미엄 릴렉션 시트는 이름에 걸맞게 스라이딩과 좌우이동을 제외한 모든 기능을 전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시트는 버튼 조작 한번으로 등받이와 엉덩이 쿠션의 각도를 조절해준다. 마치 비행기의 비즈니스 클래스를 연상케 했다. 주행 질감은 부드러웠다. 풍절음이나 노면 소음, 엔진 진동 등은 크게 느껴지지 않았다. 3세대 카니발은 상용 디젤엔진인 R 엔진을 탑재했지만 4세대 카니발은 대형 SUV에 탑재된 스마트스트림 엔진을 적용했다. 자연스럽게 엔진 소음과 진동은 줄어들었다. 기아 4세대 카니발리무진. 또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의 반자율주행 기능도 만족스러웠다. 장시간 운전 시에 속도와 차간 거리만 세팅을 해두면 고속도로는 물론 정체가 심각한 도심해서도 매끄럽게 주행을 이어갔다. 평균 실연비는 공인 연비인 12.6㎞/L를 뛰어넘는 13.8㎞/L를 기록했다. 무거운 짐을 가득 싣고 주행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매력적인 수치다. 카니발이 '아빠차'라고 불리는 이유를 다시한번 실감할 수 있었다. 4세대 카니발 가격은 트림에 따라 3160만~4354만원이다.

2021-06-15 15:36:09 양성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