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예상 넘은 반도체 쇼크…올해 목표도 못세웠다
반도체 시장 침체는 예상보다 심각했다. 삼성전자는 그나마 매출 목표치를 달성하긴 했지만, 올해에는 계획도 세우지 못할 만큼 어렵다고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매출 70조4600억원에 영업이익 4조3100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지난 잠정공시보다 소폭 증가했다. 이번 실적은 예상대로 저조한 수준이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 8.2%, 영업이익은 60.32%나 쪼그라들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도 7.97%, 68.95%나 감소하며 비수기와도 관련 없는 시장 악화를 다시 한 번 확인했다. 역대 최대 매출도 빛을 바랬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300조원 매출을 목표로했고, 실제로 연간 기준으로 302조2300억원으로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그러나 영업이익이 43조38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99%나 급감했다. 문제는 반도체였다. 4분기 기준으로 DS부문 매출은 20조700억원에 영업이익 2700억원으로 시장 전망치를 크게 하회했다. 연간 기준으로도 매출이 98조4600억원으로 100조원을 채 넘지 못했고, 영업이익은 23조82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8%나 떨어졌다. 메모리 부진이 심각했다. 재고가 쌓이면서 대거 평가 손실로 반영된데다가, 수요가 급감한 탓에 가격도 큰폭으로 하락하면서 실적 악화를 피할 수 없었다. 4분기 매출액이 12조1400억원, DS부문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0% 수준으로 전분기(66%)보다 크게 낮아졌다. 시스템LSI 역시 주요 제품 판매 부진으로 부진했다는 설명. 그나마 파운드리가 분기뿐 아니라 연간으로도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하고 영업이익도 늘었다고 삼성전자는 밝혔다. 스마트폰도 마찬가지다. MX부문 4분기 매출이 25조2800억원으로 전년보다 9%, 전분기보다 18%나 감소했다. 그나마 연간 기준으로는 매출액 115조43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늘었지만, 네트워크 사업까지 합쳐 영업이익으로는 4분기에 1조7000억원으로 전분기(3조2400억원) 대비 거의 반토막이 났다. 연간 기준으로도 11조38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가량 적었다. 가전 사업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VD와 가전 부문 4분기 매출이 15조5800억원에 영업이익 1조400억원. 매출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지만 영업이익은 절반 이하였다. 연간 기준으로도 영업이익은 12조7500억원으로 전년 동기(17조3900억원) 대비 5조원 가까이 줄었다. 그나마 VD 부문만 보면 네오 QLED와 초대형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4분기 매출과 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삼성디스플레이도 4분기 매출 9조3100억원에 영업이익 1조820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보다 소폭 성장했다. 연간 기준으로도 매출 34조3800억원에 영업이익 5조9500억원으로 모두 10% 안팎으로 성장했다. 플래그십 스마트폰 중심 수요에 더해 4분기 스포츠 이벤트 등 성수기를 맞아 QD-OLED 판매 확대 등 수요 증가가 있었다는 설명이다. LCD 재고도 소진하면서 적자폭도 완화했다. 그 밖에 미래 중점 사업들도 견조한 성장을 이어갔다.네트워크 사업 분야가 국내외 5G 망 증설 등으로 매출을 늘린 가운데, 하만도 매출 3조9400억원에 영업이익 37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8%, 68%나 성장했다. 연간 기준으로도 매출 13조2100억원에 영업이익 88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2%, 47% 더 많은 실적을 기록했다. 4분기 시설 투자비용은 20조2000억원이었다. DS부문에 18조8000억원, 삼성디스플레이에 4000억원을 나눴다. 평택 3기와 4기 인프라와 첨단 기술 적용 확대, 미국 테일러 공장과 함께 중소형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생산 능력 확대에 투자비용을 썼다고 밝혔다. 한편 삼성전자는 올해 불확실성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며, 실적 가이던스도 제시하지 않았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