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이재영
LG 임원인사 '성과주의.책임경영'

LG그룹이 최근 2014년 임원인사를 마무리했다. 이번 인사에서 전체 승진자는 지난해 116명보다 증가한 125명이다. 또 상무 진급의 평균나이는 지난해와 같은 47세였다. LG 관계자는 이번 인사에 대해 구본무 회장이 강조해 온 시장선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사업체질 강화 및 미래 준비 여부에 대한 철저한 '성과주의'와 위기상황 돌파를 위한 '책임경영체제'강화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철저한 성과주의 인사로 동기 부여 LG그룹의 성과주의 승진원칙은 사장단 인사에 뚜렷히 반영됐다. LG화학은 지난해 말 CEO로 선임후 ▲석유화학 ▲정보전자소재 ▲전지 등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특히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을 선도한 박진수 사장을 부회장으로 승진시켰다. 또 글로벌 소재기업으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R&D 부문을 이끌며 전기차 배터리, 메탈로센 촉매 기술, 3D FPR 개발 등 석유화학에서 전지에 이르기까지 R&D 기반의 사업 성과를 주도한 기술연구원장인 유진녕 부사장도 사장으로 승진했다. LG전자 역시 G시리즈 등 스마트폰 제품 개발력을 높여 사업의 근본 체질을 강화한 MC사업본부장 박종석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했다. LG전자는 올해 스마트폰 시장에서 세계 3위에 올라섰고, 지난 3분기에는 전년 대비 71%가 증가한 1200만대의 스마트폰을 판매해 글로벌 5대 스마트폰 제조업체 중 성장율 1위를 기록했다. LG이노텍 이웅범 대표의 경우 어려운 경영환경에서 카메라 모듈, 터치윈도우 등 고부가가치 부품 사업의 경쟁력을 높여 향후 시장선도의 기반을 다진 성과를 인정받아 사장으로 승진했다. ▲위기상황 돌파 책임경영체제 강화 LG는 이번 인사에서 2014년이 경영환경이 위기라는 인식하에 이를 돌파하기 위해 책임경영체제를 강화했다. 특히 하현회 LG전자 HE사업본부장 임명, 이희범 LG상사 대표 부회장 선임 등은 미래 성장을 위한 쇄신 인사였다. 실제 LG전자는 시장선도 관점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한 HE사업본부장을 교체, 신임 HE사업본부장에 LG디스플레이에서 전략 및 핵심사업부를 거쳤고, LG 시너지팀장으로 계열사간 시너지를 창출하는 역할을 담당한 하현회 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해 선임했다. 이희범 부회장은 산업자원부 장관, 한국무역협회 회장, STX에너지-중공업 회장 등을 거치고, 해외사업에 대한 경륜과 자원사업 분야의 전문성을 갖췄다. 이번 인사가 자원 분야 시장선도 기업인 LG상사의 위상을 보다 공고히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LG전자는 HE사업본부장 이외에 기존 4개 사업본부장이 유임돼 위기상황에서 사업에 대한 책임경영을 할 수 있도록 했다.

2013-12-01 17:29:13 김태균 기자
기사사진
[임의택의 車車車]제네시스보다 가벼운 ‘포르쉐 파나메라 4S’

'포르쉐'하면 911이 자연스럽게 떠오르던 때가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911와 박스터, 두 종류로 한참을 버텨왔었기 때문이다. 그러던 포르쉐가 약 10년 전부터 방향을 바꿨다. 스포츠카만으로는 살아남기 힘들다는 판단에서였다. 그래서 나온 차가 SUV '카이엔'이고, 그 뒤에 쿠페 '카이맨'이 더해졌으며 럭셔리카 시장을 넘보는 '파나메라'까지 등장시켰다. 이번에 시승한 파나메라는 2세대 모델로, 2009년 데뷔 후 4년 만의 모델 체인지다. 변화 범위는 크지 않다. 에어 인테이크는 키우고 헤드램프는 더욱 역동적으로 다듬었다. 뒤쪽으로 더 기울어진 앞 유리 덕에 실루엣은 더 길어 보이고, 넓어진 뒤 유리로 시인성을 높였다. 파나메라는 큰 덩치로 인한 나쁜 연비가 약점이었는데, 이번에 다운사이징을 함으로써 이를 극복하고자 했다. 4S와 S 모델에는 기존의 V8 4.8ℓ 엔진을 대체하는 V6 3.0ℓ 바이터보 엔진을 장착했다. 새 엔진은 기통수와 배기량을 줄였지만 최고출력은 20마력 증가했고 최대토크는 2.04kg·m 늘어났다. 더불어 연비효율도 18% 이상 좋아졌다. 강철과 알루미늄, 마그네슘을 적절히 혼합한 공차중량은 1870kg다. 파나메라보다 덩치가 약간 작은 신형 제네시스 3.8 AWD가 2000kg에 이르는 데 비하면, 파나메라의 경량화는 더욱 돋보인다. 이러한 데이터는 실제 주행감각에서도 그대로 증명된다. 효율 좋은 PDK 변속기와 어우러진 엔진은 1750~5000rpm의 넓은 구간에서 최대토크를 마음껏 뿜어낸다. V8 4.8ℓ 엔진을 얹었던 구형이 3500~5000rpm 구간에서 나오던 것에 비하면 활용구간이 한층 넓어진 것이다. 이번 모델체인지에서 눈에 띄는 건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모델과 이그제큐티브 모델의 추가다. 전기를 충전해 구동하는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 모델은 아직 국내에서 선보이지 않지만, 휠베이스가 150mm 늘어난 이그제큐티브 모델은 경쟁 럭셔리카를 긴장시키기에 충분하다. 기존 파나메라의 뒷좌석이 불편하다는 지적이 많았던 탓에 일부 수요층의 이동도 점쳐진다. 문제는 포르쉐의 가격 정책이다. 파나메라 4S의 기본 가격은 1억6090만원. 플로어 매트(30만원)가 포함된 코리안 패키지는 3500만원이고, 여기에 추가 옵션(4290만원)까지 모두 더하면 2억3350만원이다. 있으면 좋을만한 사양들을 옵션으로 돌려놓은 탓에 기본 가격은 의미가 없다고 할 수 있다. 포르쉐의 모든 모델들이 이런 식의 가격 구조를 갖고 있다. 현대차 못지않게 '옵션 장난'을 친다고 지적받는 이유다. 파나메라는 독특한 플래그십 모델을 찾을 때 눈여겨 볼만한 차다. 그러나 911 같은 운동성능을 기대하는 이는 실망할 수도 있다. '포르쉐'하면 911을 떠올리는 이들에게 파나메라가 외면 받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포르쉐 파나메라 4S 파워는 높이고 연비를 개선했다. 옵션 정책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 평점 ★★★★

2013-12-01 14:53:23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