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경상수지 122.6억달러 흑자…6년9개월 만에 최대
반도체 수출 호조세가 이어지며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6년 9개월만에 최대치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지난 6월 경상수지는 122억6000만달러(약 16조89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2017년 9월(123억4000만달러) 이후 6년 9개월 만에 최대 규모 흑자다. 경상수지는 국가 간 상품, 서비스의 수출입과 함께 자본, 노동 등 모든 경제적 거래를 합산한 통계다. 한 나라의 기초체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올해 상반기 누적 경상수지는 377억30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11억5000만달러)과 비교해 대폭 개선됐다. 이는 한은의 전망치를 웃도는 수준이다. 앞서 한은은 5월 경제전망에서 올해 경상수지 흑자규모가 상반기 279억달러, 하반기 321억달러로 연간 600억달러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6월 경상수지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품수지(수출-수입)는 114억7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상품수지는 2020년 9월(120억2000만달러 흑자) 이후 흑자폭이 가장 컸다. 수출은 1년 전보다 8.7% 늘어난 588억2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수출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반도체 수출이 통관 기준으로 50.4% 증가한 가운데 정보통신기기도 26% 늘면서 수출을 견인했다. 국가별로 보면 동남아(27.9%)와 미국(14.8%), 중국(1.8%)으로의 수출이 늘었다. 일본(-6.8%)과 유럽연합(-18.3%) 수출은 감소했다. 수입도 같은 기간 5.7% 줄어들면서 상품수지 흑자를 뒷받침했다. 원자재 중에서는 석탄(-25.9%)과 화공품(-20.6%), 철강재(-18.9%) 수입이 크게 줄었고, 자본재는 반도체제조장비(-24.1%)와 반도체(-4.9%) 수입이 감소했다. 소비재는 승용차(-44.1%)와 곡물(-20.3%), 직접소비재(-6.8%) 등을 중심으로 줄었다. 여행·운송·지적재산권 사용료 등의 거래를 포괄한 서비스수지는 16억2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송재창 금융통계부장은 "일본 등을 중심으로 내국인의 해외여행이 늘고, 국내에 여행온 외국인들이 소비를 적게하면서 여행수지가 9억달러 적자를 기록했다"며 "다만 컨테이너 운임이 상승하면서 운송수지가 5억달러 흑자로 돌아서 적자폭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임금·배당·이자 흐름을 반영한 본원소득수지는 26억90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흑자폭은 전월(17억6000만달러)과 비교해 대폭 확대됐다. 전월의 분기배당 지급 영향이 사라지면서 배당소득수지(23억4000만달러)가 전월 11억3000만달러보다 확대됐기 때문이다. 이전소득수지는 2억8000만달러 적자를 냈다. 이전소득수지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대가 없이 주고받은 무상원조, 증여성 송금 등의 차이를 의미한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6월 중 122억4000만달러 늘어 2020년 10월(187억5000만달러) 이후 3년 8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 투자는 48억9000만달러 증가한 반면,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3억7000만달러 감소했다. 증권투자는 내국인의 해외 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66억3000만달러 늘었지만, 외국인의 국내 투자는 채권 위주로 23억9000만달러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