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손실배상'에 4대 금융 1분기 순익 6000억원 감소
4대 금융지주의 1분기 당기순이익이 1년전보다 6000억원 가량 감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배상에 따른 비용이 핵심계열사인 은행의 1분기 실적에 반영되면서 실적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 추정치는 이날 기준 4조3139억원으로 1년전과 비교해 5876억원 감소했다. 1분기 영업이익 역시 6조6520억원으로 같은 기간 2264억원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홍콩 ELS 배상에 4대 금융 손이익 '뚝' ↓ 4대금융의 순이익이 감소한 이유는 은행 계열사를 중심으로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배상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4대은행은 홍콩 H지수 ELS와 관련해 이사회를 개최하고, 손실 배상 비용을 충당부채 적립 등을 통해 반영하기로 했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ELS 예상 손실액은 KB국민은행 약 9000억원, 신한은행 약 3500억원, 하나은행 약 3000억원 등이다. 이로 인해 KB금융의 1분기 순이익은 1조2101억원으로 1년전보다 19.2% 줄어든 것으로 전망됐다. 4대금융지주 가운데 순이익이 감소폭이 가장 크다. 신한금융의 1분기 순이익은 지난해 1조3880억원에서 1조3173억원으로 5.0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같은 기간 하나금융은 1조1022억원에서 9593억원으로 12.96%, 우리금융은 9137억원에서 8272억원으로 9.47%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하나증권 최정욱 애널리스트는 "1분기 중 경상 실적은 양호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자율 배상 규모가 각 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이는 KB금융과 신한지주, 하나금융은 실적이 컨센서스를 하회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부동산PF 충당금 적립, 상반기 실적개선 어려워 특히 전문가들은 4대 금융의 실적개선이 상반기까지 어려울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은 오는 5월부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정리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경우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한 은행은 부담을 덜 수 있지만, 저축은행·캐피탈·증권사 등 제2금융권은 추가 충당금 적립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앞서 한국은행은 고위험 PF 사업장의 익스포저 전체가 부실화하는 경우, 14.1% 수주인 저축은행 자본비율이 12.6%까지 낮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또한 고위험군 PF 사업장 시공사의 부실이 다른 사업장까지 전이되는 경우 11.4%로 낮아지는 것으로 전망했다. 비은행권의 경우, 부동산 PF 고위험 노출액 비중이 높아 향후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하락 및 충당금 적립에 따른 수익성 저하가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SK증권리서치센터 설용진 애널리스트는 "금융당국이 5월부터 부동산PF를 정리해 관련 손실을 상반기 재무제표에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2금융권을 중심으로 추가 충당금 적립이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금리도 낮아지고 있어 4대금융의 이익 모멘텀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