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연기자 출연료 미지급 논란 '감격시대' 제작진 입열다…"개인에 대한 입금 완료했다"

연기자 출연료 미지급 논란을 겪었던 '감격시대' 제작진이 입장을 밝혔다. KBS 드라마 '감격시대-투신의 탄생'이 연기자 출연료와 스태프 임금을 제때 지급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이어져 촬영에 차질을 빚었다. 17일 KBS와 제작사 레이앤모에 따르면 이날까지 우선 지급하기로 했던 연기자 등의 임금이 입금되지 않아 잠시 촬영이 중단됐다. 지난주 '감격시대'에 출연 중인 보조 출연자와 조·단역 배우, 스태프들이 임금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는 논란이 불거졌고 당시 제작사는 스태프와 조·단역 배우들에게 이날 오후 4시까지 밀린 임금 일부를 지급하기로 했지만 입금이 완료되지 않았다. 제작사는 "오후 4시께는 애초 휴식시간이었으며 현재 개인에 대한 입금이 7시께 완료됐다"며 "스태프들도 저녁 식사 시간이 겹쳐 쉬는 상황이고 촬영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주 '미지급 문제'가 불거졌을 때 업체에 속한 보조 출연자 1천여 명이 받지 못한 출연료는 1억 5천~8천만 원 상당으로 알려졌다. 당시 제작사는 "2013년 9월분부터 11월분까지는 이견이 없어 정상적으로 지급했고 12월분과 2014년 1월분은 금액에 대한 이견이 있어 협의 중이며 협의가 완료되는 즉시 지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현재는 보조출연 업체가 교체돼 정상적으로 출연하고 있으며 이전 출연자들에 대한 출연료 문제는 아직 협의 중이다. 또 스태프와 조·단역 배우들의 임금과 출연료에 대해서도 "지급 방식과 계약 내용이 개인에 따라 매우 다르다"며 "지급일에 대한 일부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상호 협의로 이견을 줄여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SBS의 '별에서 온 그대' 종영 이후 동시간대 시청률 1위를 지켰던 '감격시대'는 방송 시작 후 작가가 교체되고 주요 배우의 중도 하차와 겹치기 출연, 임금 미지급 논란이 불거지며 잡음이 이어지고 있다.

2014-03-17 21:05:47 양성운 기자
세르비아 여당 총선 압승…EU 가입 본격화

세르비아의 여당인 세르비아 진보당(SNS)이 16일(현지시간) 총선에서 의석의 과반을 확보해 국정 최우선 과제로 꼽은 유럽연합(EU) 가입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또 재정 긴축과 공기업 개혁 등 그동안 추진한 경제 정책도 크게 진전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세르비아는 오는 2016년에 총선을 치를 예정이었다. 그러나 제3당 출신인 이비차 다시치 전 총리가 정권의 정당성을 확인하자며 사임하는 바람에 이번에 총선을 치르게 됐다. 17일 잠정 개표 결과 제1당인 세르비아 진보당은 득표율 48.8%로 제1당에 추가로 부여되는 의석을 포함해 모두 157석을 확보해 정원 250석 의석의 과반을 차지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제1당이 이처럼 높은 득표율과 의석을 확보한 것은 옛 유고연방의 공산정권 이후 처음이라는 것이다. 알렉산다르 부시치 SNS 당수 겸 부총리는 개표 결과 압승을 확인한 다음에도 소수당에 문호를 개방, 여러 당이 참여하는 정부를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다시치 전 총리가 이끄는 사회당은 14%를 득표, 45석을 확보했다. 세르비아는 경제 부흥을 위해 아랍에미리트(UAE) 등으로부터 외자를 유치하는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앞서 IMF의 차관을 받으면서 약속한 긴축 재정과 공기업 민영화 등 경제개혁도 추진해야 한다. 개혁에 성과가 없으면 IMF와 차관 연장이나 차관 추가 도입 협상 등에서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경제 전문가들은 경고했다. 부시치 SNS 당수는 유세 기간에 실업률을 크게 낮추고 EU가 줄곧 문제점으로 지적한 부패를 척결하는데 힘을 쏟겠다고 약속했다.

2014-03-17 20:08:33 정영일 기자
기사사진
프랑스 교도소 수감자들에게 '공부'가르치는 대학생들 눈길

프랑스 툴루즈에서 대학생 두 명이 감옥 수감자들을 대상으로 과외활동을 해 주목받고 있다. 매주 월요일마다 26세 대학생 로랑 마비유(Laurent Mabille)는 지역 교도소를 방문한다. 약 1시간 30분간 4~5명의 수감자에게 수학을 가르치는 그는 "이들이 과거에 무슨일을 했는지는 알 수 없다. 나는 그저 수학을 가르쳐주는 일에 집중할 뿐이다. 내 수업이 끝나면 수감자들이 나에게 수업을 제공한다. 이들 중 한 명이 나에게 영화에 대해 수업을 하기도 한다"라고 설명했다. 로랑은 대학생 봉사동아리 제네피(Genepi) 소속으로 6년째 교도소를 찾아가 과외활동을 하고 있다. 한편 올해 20살인 다미엥(Damien) 역시 과외활동을 위해 교도소를 찾았다. 그는 "두 달 전 감옥사진을 보고 이 일을 하겠다 결심했다. 내가 수업하는 과목은 영어로 내용은 고등학교 수준이다"라고 밝혔다. 현재 툴루즈의 감옥에선 수감자 50여명이 제네피 동아리 학생들에게 과외수업을 받고 있다. ◆ 수감자 20%는 문맹 로랑은 수감자들의 환경에 대해 "이들은 수업을 통해 감옥에서 감시 및 폭력을 당하고 표현의 자유를 잃는 것을 토로한다. 우리의 역할은 이러한 문제점을 알리고 사람들이 교도소에 관해 갖는 고정관념을 깨는 것에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교도소에서 학업을 이어가는 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우린 이들이 출감한 이후 새출발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한다"라고 덧붙였다. / 델핀 타약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3-17 19:52:29 정주리 기자
기사사진
캐나다 대학연구팀, 식료품 판매량 통해 '시민들 건강상태 분석'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한 대학연구팀이 음료 판매량으로 시민들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맥길대학의 사회역학부 다비드 부케리쥬(David Buckeridge) 교수는 "지금까지 시민들의 식품섭취는 설문조사를 통해서만 분석이 가능했다. 사람들은 평상시 식료품을 구입하면서 모든 정보를 제공하는 반면 이를 활용하는 방식은 지금까지 거의 시도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실제로 마트에서 식료품을 구입하거나 자동판매기를 이용할 경우 제품 판매량이 기록되며 이는 주로 기업의 마케팅에 활용된다. 구체적으로 어느 지역에서 얼마나 특정 상품을 구입했는지도 데이터를 통해 파악이 가능하다. 다비드 교수팀은 먼저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탄산음료 판매량에 초점을 맞췄다. 연구팀은 탄산음료 판매량이 높은 지역을 분석한 뒤 이 지역들이 특히 서민들이 사는 곳이 많다고 밝혔다. 현재 연구팀은 소금 및 설탕의 섭취량에 따라 지역을 나누고 분석을 진행할 예정이다. 섭취량은 제품별로 제공되는 영양성분표를 기준으로 구분된다. 다비드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잘 활용하기 위해선 퀘벡 정부의 협조가 절실하다. 문제점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면 이후엔 대대적 캠페인을 통해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 로잔느 레우종 기자 · 정리 = 정주리 인턴기자

2014-03-17 19:51:40 정주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