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북 잇단 미사일 발사…사거리 500km 이상 스커드형 '긴장'

북한이 3일 새벽 스커드 계열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동해 상으로 추가 발사했다.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진행중이던 지난달 21일 사거리 150㎞ 수준인 300㎜ 신형 방사포 추정 발사체 4발을 발사한 데 이어 한미 훈련이 시작된 이후인 지난달 27일에는 사거리 220㎞ 정도인 스커드 계열 추정 단거리 미사일 4발을 발사한데 이은 추가 도발이다. 군 관계자는 3일 "최근 북한이 잇따라 미사일을 발사하는 것은 한미 연합 군사훈련에 대한 대응 측면이 강한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달 이산가족 상봉 행사 이후 남북관계 개선 기대가 큰 상황에서 북한이 주도권을 쥐려고 저강도 도발을 감행한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지난달 24일 밤부터 25일 새벽까지 경비정 1척을 서해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3차례 이동시킨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최근 북한이 쏘는 발사체의 사거리가 점차 길어져 500㎞ 이상 수준에 도발했다는 점이다. 북한이 지난해 발사한 KN-02 개량형이나 300㎜ 신형 방사포는 사거리가 150㎞를 넘지 않았지만 이번 발사체의 사거리는 훨씬 길었다. 사거리를 고려할 때 지난달 27일 발사체는 스커드-B, 이날 발사체는 사거리 500㎞ 이상인 스커드-C 혹은 사거리 700㎞ 이상인 스커드-D 개량형인 스커드-ER로 추정된다. 이런 추정이 군 당국의 추가 분석을 통해 사실로 드러날 경우 북한은 2009년 7월 4일 이후 5년여 만에 스커드 계열의 미사일을 발사한 것이 된다. 당시 사거리는 400∼500㎞였다.

2014-03-03 11:06:07 김민준 기자
기사사진
LG유플러스, 아시아 최대 규모 글로벌 IDC 구축 '순항'

LG유플러스가 아시아 최대 규모의 글로벌 인터넷데이터센터(IDC) 구축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경기도 평촌 차세대 글로벌 IDC 구축작업이 지난해 12월 지하 흙막이 작업을 완료하고 8월 지상 골조 작업을 시작하는 등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이번에 구축되는 'U+ 평촌 IDC'는 대지 면적 1만7282㎡, 지하 3층, 지상 7층, 완공시 연면적 8만5547㎡로 축구장 12개 규모에 달하며 순수 전산상면 면적만 2만7768㎡로 상면 면적으로 아시아 최대 규모다. 전기용량은 165메가와트(MW)로 세계 최대 수준이며 2015년 7월 1단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번 IDC 구축 배경에 대해 해외 기업들이 아시아 지역의 데이터 트래픽 증가와 관련, 한국을 거점으로 활용하기 위해 진입을 서두르고 있어 IT거점 한국의 위상을 확보하려는 포석이라고 설명했다. 'U+ 평촌 IDC'는 랙당 평균 전력이 높아 클라우드 컴퓨팅 등 고전력을 요구하는 블레이드 서버 장비를 충분히 수용하고, 랙 공간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입주기업의 IT비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그린 IDC' 실현을 위해 무전력 외기 냉방에 최적화된 건물 구조 설계 방식을 채택, IDC의 에너지 효율평가 지수인 PUE 1.4를 목표로 구축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는 우리 정부가 정한 그린 데이터센터 기준인 PUE 1.75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국내 도심권에 위치한 상업용 데이터센터가 적정 온·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연평균 최저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다. PUE(Power Usage Effectiveness)는 데이터센터 전체가 사용하는 전력량을 순수 IT 장비가 사용하는 전력량으로 나눈 것으로 1에 가까울수록 효율성이 높다. 아울러 'U+ 평촌 IDC'는 상업용 IDC로는 국내 처음으로 'Tier-Ⅲ' 인증을 확보해 입주 기업에게 100% 무중단 전산환경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Tier-Ⅲ' 인증은 데이터센터 평가 기관인 미국 업타임(Uptime)이 데이터센터 주요 인프라에 대한 객관적인 안정성 평가 검증을 통해 24시간 365일 무중단 전산환경 서비스가 가능함을 검증하는 것이다. 'U+ 평촌 IDC'는 이달 중 인증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밖에도 'U+ 평촌 IDC'는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도록 사무동과 전산동을 물리적으로 분리해 보안성을 확보하는 한편, 센터 출입구부터 전산실에 이르기까지 총 5단계에 이르는 보안 시스템을 구성했다. 센터 출입에는 추가적으로 맨트랩 기능의 회전 게이트, 생체인식 출입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보안을 보다 강화할 방침이다. 구성현 LG유플러스 데이터사업담당은 "U+ 평촌IDC는 증가하고 있는 고집적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요구에 발맞출 수 있는 최적의 센터"라며 "글로벌 최고 수준, 아시아 최대 규모로 구축하고 있는 만큼 향후 글로벌 기업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거점 센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공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14-03-03 11:02:51 이재영 기자
기사사진
김생민..1박2일 멤버들에 까나리 액젓 뒤집어 쓴 후 몰래카메라 사실 알고...

방송 베테랑 김생민이 몰래카메라에 당했다. 지난 2일 방송된 KBS2 '해피선데이-1박2일' 멤버들은 '연예가중계' 리포터 김생민을 초대해 몰래카메라를 진행했다. 멤버들은 가짜 인터뷰 내내 김생민의 질문에 까칠하게 대답해 20년 경력의 리포터 김생민은 당황케 만들었다. 특히 김생민이 '1박2일'의 상징인 까나리 액젓 복불복을 제안하자 "뭘 벌써부터 하느냐"며 무안을 주기도 했다. 막내 정준영은 인터뷰 중 벽을 장식한 통나무의 나이테를 센 뒤 "애는 36살이에요"라고 답하는 등 인터뷰 진행을 방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심지어 마이크 배터리를 교체 시간 때 멤버들끼리 말다툼을 벌여 김생민을 당혹스럽게 했다. 김생민은 이에 굴하지 않고 "지금 분위기가 MT 온 분위기"라며 분위기를 띄우려 했지만 멤버들은 냉랭하기만 했다. 형들의 장점을 묻는 질문에 정준영은 "유명한 분들이에요"라고 짧게 답했고 김준호는 정준영의 매력을 묻는 질문에 "또라이"라고 답하는 등 까칠한 인터뷰 태도로 일관했다. 결국 마지막에 멤버들은 사전에 모의한 대로 복불복 게임에서 차태현이 까나리 액젓에 걸리자 김생민 얼굴에 뿜어버리며 몰래카메라를 마무리했다. 김생민은 까나리 액젓을 다 뒤집어 쓴 후에 몰래카메라라는 사실을 알고 허탈해 했다.

2014-03-03 10:52:45 김지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