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금융, '밸류업' 시동…주주환원 '40~50%' 추진
지방금융지주가 '밸류업' 목표를 공개하며 주주가치 제고에 나섰다. 금융기관의 기업 가치 평가에 수익성과 더불어 주주환원이 주요한 기준으로 떠오른 가운데, 각 지방금융지주는 40~50%의 주주환원율을 중·단기 목표로 제시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3대 지방금융지주(BNK·DGB·JB)는 3분기 실적 공개와 함께 '기업가치 제고 계획 보고서'를 발표했다. 각 금융지주는 중·단기 경영 전략과 함께 40~50%의 주주환원율 목표치를 공개했다. 금융당국의 지침에 따라 올해 시범 도입된 '기업가치 제고 계획'은 '밸류업(국내 기업가치 저평가 현상 해소)'를 위해 각 기업이 자율적으로 공개하는 투자 정보 보고서다. 사업보고서, 기업지배구조보고서, 경영사항공시 등 기존의 보고서 및 공시 자료에 산재한 주요 지표들을 한데 모아 공시한다. 각 지방금융은 권고 기준에 따라 핵심 수익성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 보통주자본비율(CET1) 등 경영지표를 명시하고, 중·단기 달성 목표치도 함께 제시했다. 이어 주주환원율 목표치도 공개했다. BNK금융은 지난해 말 기준 6.4% 수준인 ROE를 오는 2027년까지 해외 금융기관과 비슷한 10% 수준까지 끌어올리고 전체 주가 대비 25%로 낮은 주가순자산비율(PBR)을 개선한다는 목표다. 이어 목표 CET1은 12.5%, 초과분에 대한 주주환원율은 50%를 제시했다. 이는 빠르게 성장한 자산규모 대비 낮은 수익성을 끌어올리고, 이를 통해 성장 동력을 확보해 기업가치를 제고한다는 목표다. 아울러 BNK금융의 CET1은 이미 12.3% 수준인 만큼 이른 시일에 직접적인 주주환원 확대에도 나설 전망이다. DGB금융은 지난해 말 기준 6.7% 수준인 ROE를 오는 2027년까지 9%까지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여신·자산 포트폴리오 재구성, 대손비용 절감 등을 통해 건전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전략도 함께 공개했다. 목표 CET1은 12.3%, 주주환원율은 40%로 제시했다. 이는 시중금융지주 전환에 따른 영업망 확대를 통해 수익 확대를 꾀하는 한편, 악화했던 비은행 부문 수익률을 빠르게 회복해 기업가치 상승의 원동력으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DGB금융은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통한 주주가치 제고도 함께 추진한다. JB금융은 지난해 말 기준 12.1%였던 ROE를 향후 15%까지 끌어올리고, 현재 69% 수준인 PBR을 외국은행 수준인 100% 수준으로 상승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어 분기 배당을 위한 CET1 수준으로는 13%를, 주주환원율 목표는 50%를 제시했다. 앞서 JB금융이 분기 배당 도입 및 높은 수익성 지표를 바탕으로 밸류업의 수혜를 크게 본 만큼, 현재의 수익성 개선·주주환원 확대 기조를 유지해 기업가치를 극대화한다는 목표다. 지방금융지주가 적극적인 주주환원 확대에 나서는 것은 금융주가 대표적인 '저평가주(기업가치 대비 주가가 낮게 형성된 주식)'로 꼽히기 때문이다. 지난 10월 말 기준 4대 금융지주(신한·KB·하나·우리)와 3대 지방금융지주의 연초 대비 주가 상승률은 평균 43.2%에 달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주는 외국 금융기관 대비 낮은 주주환원율 및 ROE를 이유로 저평가된 경우가 많다"라며 "밸류업 정책에 따라 각 금융지주가 주주가치 제고에 힘쓰고 있고, 이에 특히나 주가가 낮게 형성됐던 일부 지방금융지주는 기업가치 향상의 여지가 크다"라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