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00일' 맞은 김정각 증권금융 사장 "글로벌 역량·사회 안전판 역할 강화할 것"
한국증권금융이 증권사에 대한 평시 유동성 공급 규모를 기존보다 4조2000억원 늘어난 30조7000억원으로 확대하는 등 자본시장 안전판 역할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김정각 증권금융 사장은 취임 100일을 맞아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해 향후 주요 사업방향 등을 설명했다. 변화하는 금융환경에 따라 자본시장에서의 안전판 역할과 글로벌·디지털 업무 역량을 제고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김 사장은 "최근 증권사가 대형화되고 자본시장이 복잡화됨에 따라 증권업권과 투자자들의 수요가 다양해지고 있다"며 "증권금융도 이에 대응해 맞춤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증권금융은 증권사에 대한 유동성 공급 규모를 전년보다 4조2000억원 증대한 30조7000억원까지 확대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더불어 만기·금리를 다변화하는 한편, 고객 니즈에 맞춰 담보부족 시 담보의 범위를 확대(해외증권 등)하는 것을 추진한다고 덧붙였다. 그간 증권금융은 평시와 위기 시, 자본시장의 자금 수요에 맞춰 유동성 자금을 공급해 왔다. 또한, 증권사 유동성 위기가 발생할 경우 지원될 ▲3조원+α ▲PF-ABCP 매입 프로그램 ▲증권시장안정펀드 등도 차질 없이 가동될 수 있도록 대비한다고 전했다. 이어 김 사장은 "현재 외화예탁금은 외화예금, 머니마켓펀드(MMF), 환매조건부채권(RP) 및 스왑 등으로 운용되고 있으나 향후 수익률 제고를 위해 MMF와 스왑의 운용 비중을 확대하고 해외 국채를 편입하는 등 운용 수단을 다변화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외화 전담 조직을 팀에서 부서로 확대 개편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체계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구축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서학개미(해외 주식에 직접 투자하는 개인 투자자)의 증가에 따라 8월 말 기준 7조9000억원 규모로 늘어난 외화예탁금을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조치다. 아울러 이달 말 개소 예정인 홍콩 사무소 등 해외거점에 대해 설명했다. 김 사장은 "홍콩 사무소의 경우, 현재 단계에서는 본격적인 비즈니즈를 원활히 수행하기는 어렵지만 다음 스텝을 위한 진출이며, 증권금융이 한국에서 하던 역할을 해외에서도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홍콩에 국내 증권사들이 많이 진출해 있는 상황이고, 추후 법인이나 지점 형태 등의 인가를 취득해야 실제적인 업무를 추진할 수 있다는 부연이다. 홍콩 이외에 추가적인 해외 진출 계획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해외 투자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 시장을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증권금융은 내년도 배출권거래법 개정안의 시행에 맞춰 증권금융에 예치될 예정인 온실가스 배출권거래 예탁금의 안전한 보관·관리를 위한 관계 기관과 제도·시스템 구축 방안도 지속해 협의할 예정이다. 김 사장은 "최근 티메프 사태로 e-커머스 업체의 고객자금 관리에 문제점이 드러났으나, 자본시장의 투자자예탁금은 증권금융이 전담함에 따라 증권사의 신용위험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며 "증권금융은 이러한 관리 노하우를 바탕으로 외화예탁금도 더욱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글로벌 역량을 키워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