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병우 DGB 차기 회장, 행장 겸직 유력
황병우 대구은행장이 DGB금융그룹을 이끌 차기 회장으로 낙점되면서 황 행장이 지주 회장과 은행장을 겸임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태오 현 DGB금융 회장도 취임 초기에 대구은행장을 겸임한 바 있다. DGB금융에 강력한 리더십 재탄생 여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DGB금융은 이달 예정된 주주총회에서 황병우 회장 선임을 최종 의결할 예정이다. 임기는 오는 3월 말 시작한다. 국내에서는 지주사 회장이 은행장을 겸임하는 사례가 드문 만큼 황 행장의 취임 이후 행장직 겸임 여부에 금융권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DGB금융은 황 행장의 회장 취임 이후 행장 겸임 여부에 대해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DGB금융 관계자는 "회장 후보 단독 추천 안건을 우선 의결해야 하는 만큼, 차기 대구은행장에 대해 아직은 결정된 사항이 없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황 행장의 임기가 오는 12월까지로 1년 미만을 남겨뒀고, 대구은행장 승계 프로세스가 재임 기간을 2년 이상으로 정하는 만큼 겸임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DGB금융 회장이 대구은행장을 겸임하는 사례는 처음이 아니다. 김태오 현 DGB금융 회장도 취임 초 대구은행장을 겸임했고, 전임자인 박인규 전 DGB금융 회장도 임기 동안 대구은행장을 겸임했다. 특히 김 회장은 대구은행장 겸임 당시 강한 지도력을 바탕으로 하이투자증권 인수, 그룹 핵심 인재 육성 프로세스 도입, 지배구조 개선 등을 성사시킨 바 있다. 대구은행이 시중은행 전환을 앞둔 만큼 행장을 공석으로 두기 어렵다는 것 역시 황 행장의 겸임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요인이다. 은행장 선임에는 내·외부 후보군 선정, 이사회 평가 등의 과정에 통상 수개월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 인사인 김태오 회장의 취임 당시에는 DGB금융 내부에서 김 회장의 대구은행장 겸임에 반대하는 분위기가 우세했지만, 황 행장은 DGB금융 내부 인사인 만큼 겸임에 찬성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금융권에서는 황 행장이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을 직접 이끌었던 만큼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이후 조직 안정화 및 영업망 확대 전략에 주안을 둘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앞서 황 행장은 대구은행의 시중은행 전환 이후 전략으로 기존 거점지역에 본점을 둔 '뉴 하이브리드 뱅크'를 제시한 바 있다. 기존 거점지역 내 고객에게 영업점을 기반으로 하는 금융 서비스를 계속해서 제공하는 한편 전국단위 거점 영업점을 설치해 비대면 개인 금융 서비스, 맞춤형 기업 금융 서비스를 함께 공급하겠다는 것. 황 행장은 "대구은행은 기존 대형 시중은행과 달리 전국의 중소기업과 중·저신용자를 포용하고, 지역과 동반 성장하는 새로운 시중은행이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황 행장의 회장 취임 이후 행장 겸임 여부는 3월 주총 이후 분명해질 전망이다. DGB금융 관계자는 "은행장은 임원후보추천위원회가 선임하도록 정하고 있고, 선임 절차에는 최소 3개월 이상이 소요된다"며 "회장 후보 확정 안건을 우선 처리해야 하는 만큼 은행장 겸임 여부 및 임기에 관한 내용은 3월 주총 이후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