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자 손실 리스크, 하반기 증권사 실적 가른다
글로벌 금리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증권사들의 하반기 실적 차별화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3분기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해외 대체투자 익스포저가 많은 증권사의 실적 타격이 컸다. 5일 한국신용평가(한신평)에 따르면 1분기에 금리 안정화 영향으로 증권사들이 대체로 예상보다 양호한 실적을 거두었던 것에 비해, 2분기와 3분기 실적은 업체별 차별화가 발생하고 있다. 증권사의 하반기 실적 흐름도 비우호적으로 변하고 있다며 실적은 상고하저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로 지난 3분기 하나증권은 488억원 순손실을 입으며 전분기(-489억원)에 이어 적자를 지속했다. 신한투자증권은 3분기 순손실 185억으로 적자 전환했으며, BNK투자증권은 4억원에서 31억원으로 적자폭을 키웠다. 하이투자증권은 3분기 순이익이 8억원에 그쳐 전분기 대비 95% 급감했다. 반면, KB증권은과 NH투자증권은 전년 대비로는 감소했지만 3분기 각각 1115억원, 1007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한신평 김예일 수석애널리스트는 "금리 상승, 운용 실적 저하, 기업금융(IB) 부문 수수료 수익 감소, 대체투자 등 평가손실, 부동산 PF에 따른 충당금 설정 등이 주요 요인"이라며 "특히 3분기에는 국내 부동산 PF와 해외 대체투자 익스포져가 많은 증권사의 실적이 크게 저조한 편"이라고 분석했다. 어려움은 연말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을 중심으로 주요 선진국의 고물가, 고금리 상황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어 금융시장이 단기간 내 안정화 될 것이라 예측하기 어렵고, 국내 시장금리도 빠르게 오르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김 수석애널리스트는 "상반기 차액결제거래(CFD) 사태, 하반기 대규모 미수금 발생 사태 등 일부 회사가 리스크 관리에 실패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향후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되는 등 금융시장 환경이 우호적으로 변하지 않는 한 투자중개부문의 실적도 유의미한 회복은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반적인 투자심리 악화로 기업금융 및 투자, 부동산금융 시장이 모두 위축된 상황에서, 증권사 IB부문의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은 여전히 부동산금융 시장에 대한 민감도가 높을 것으로 내다봤다. 김 수석애널리스트는 "중소형사의 경우 국내 부동산PF(브릿지론 포함)에 대한 손실 부담이, 대형사의 경우 해외 부동산 투자에 따른 손실 부담이 손익과 재무구조에 앞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 IB부문의 저조한 실적 역시 4분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김 수석애널리스트는 "하반기 정기평가에서 증권사의 부동산금융 건전성 저하 및 사업기반 위축에 대비한 사업구조 개편, 이익창출력 및 재무구조 개선 성과를 점검할 것"이라며 "부실화 발생 규모와 지속성, 회사별 사업적, 재무적 대응력에 따라 신용도가 차별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세경기자 seilee@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