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다시 2%대 반등..."높은 체감물가 관리할 것"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다시 2%대로 올라섰다. 가공식품·석유류 가격 오름세에 따른 영향이 컸다. 전년동월대비 물가상승 폭이 다행히 3% 아래에 묶여 있으나 정부는 픔목별 추이 및 자극요인 등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2일 정부는 그간 누적된 상승에 따른 체감 물가가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6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물가지수는 116.31로 1년 전 같은 달에 비해 2.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넉 달 연속 2%를 넘어선 뒤 5월에 1.9%로 내려온 바 있다. 이후 6월에 다시 2% 선을 넘어섰다. 수산물(+7.4%) 가격이 크게 뛴 것을 비롯해 가공식품(+4.6%), 축산물(+4.3%), 외식(+3.1%) 등 먹거리 가격이 상승을 주도했다. 특히 수산물 값은 지난 2023년 11월 이후 1년 7개월 사이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농산물 가격은 전년동월보다 내렸으나 하락폭(-1.8%)은 전월인 5월(-4.7%)보다 줄었다. 세부 품목별로 마늘(+24.9%), 고등어(+16.1%), 김치(+14.2%), 라면(+6.9%), 빵(+6.4%), 달걀(+6.0%), 돼지고기(+4.4%), 국내산소고기(+3.3%) 등이 크게 상승했다. 이 중 달걀은 3년 5개월 만에, 라면은 1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지난 5월 내림세(-2.3%)를 기록했던 석유류 가격은 6월 국제유가 오름세에 따라 상승(+0.3%)으로 돌아섰다.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의 경우 10.6%나 뛰었다. 또 지역난방비(+9.8%), 도시가스(+6.9%), 상수도료(+3.6%) 등도 전체 물가 상승폭을 웃돌았다. 다만 전기료는 0.4% 내렸다. 서비스 품목 중에서는 가전제품수리비(+25.8%), 보험서비스료(+16.3%), 공동주택관리비(4.3%) 등의 개인서비스에서 상승폭이 컸다. 박병선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가공식품 등의 가격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전년대비 상승폭이 커졌다"며 "원재료비 인상, 환율 상승, 인건비 상승 등이 (가공식품) 물가에 순차적으로 반영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또 "수산물은 바다 수온이 높아져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고등어, 조기, 오징어 등에서 올라 전체적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임혜영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물가 상승률이) 수치상으로는 2% 내외의 흐름을 유지 중이지만 누적된 인플레(물가 상승)가 있어서 체감물가는 여전히 높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생계비 부담과 체감물가 안정에 방점을 찍고 계속 물가 관리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임 과장은 추가경정예산이 물가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경기가 어렵고 내수가 부진한 상황이라, 추경으로 인한 상승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보고 있다"고 했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