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철강·석유화학·배터리, 신용등급 하락 압력 지속"
국내 철강, 석유화학, 배터리 산업이 글로벌 수요 둔화와 공급 과잉, 산업 구조 전환 등의 영향으로 신용등급 하방 압력을 받고 있다.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한국 기업들이 전기차 전환, AI 확산, 미중 무역갈등 등 복합적인 구조 변화에 직면해 있으며, 하반기에도 부정적 전망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박준홍 S&P 아태지역 기업 신용평가 부문 한국 기업 신용평가팀 상무는 2일 서울 은행회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철강, 석유화학, 배터리 관련 산업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한국 기업은 무역 갈등, 관세 이슈, 전기차 전환, AI의 성장, 과잉 공급 등 구조적 변화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박 상무는 "현재까지 신용평가를 진행한 결과 '부정적' 전망이 많았다"며 "포스코가 포함된 철강이나 LG화학, 한화토탈과 같은 화학 업종, LG에너지솔루션 같은 배터리 산업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S&P는 올해 들어 포스코홀딩스(A-), 포스코(A-)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은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으로 각각 조정했다. 박 상무는 "반도체, 유틸리티의 경우 실적이 회복되거나 탄탄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업종별로 어려움을 겪는 섹터가 더 많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중국과 중동에서 공급이 늘면서 과잉 공급으로 인해 수익성이 하락한 화학 업종의 경우, 구조적 이슈로 단기간 내 회복이 쉽지 않다"고 부연했다. 또한 "미국의 관세 정책이 시행되면서 한국 기업들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전기차로의 전환과 수요의 변화도 상당한 영향을 준다"고 밝혔다. 그는 "AI의 빠른 성장은 기업에 따라 기회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위험 요인이 되기도 한다"며 "최근 중국에 대한 무역 의존도가 낮아지고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미국의 관세 정책이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 상무는 "상반기 국내 기업에 대한 부정적 예측이 많았는데, 향후에도 부정적 영향에 무게가 더 실릴 것"이라며 "하방 압력은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