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수출 중소기업 철강·알루미늄 '직격탄'
중기부 집계…철강등 -17.8%, 알루미늄등 -7.6% 기록 관련 상품 '관세부과 대상' 포함 3월12일 발효 영향 탓 1분기 中企 수출, 270억 달러로 전년동기比 0.7% 증가 화장품, 車 수출 1분기 역대 최고…수출 1위 국가 미국 미국에 수출하는 중소기업들의 철강, 알루미늄 제품이 직격탄을 맞았다. 미국이 철강, 알루미늄 그리고 관련 파생상품을 관세부과 대상 품목에 포함시키는 내용이 지난 3월12일 본격 발효되면서 우리 중소기업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모습이다. 14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25년도 1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철강 제품(파생상품 포함)은 -17.8%, 알루미늄 제품(〃) -7.6%를 기록하며 모두 감소했다. 올해 들어 1월부터 3월까지 월별 중소기업 철강 수출액은 9000만(-17%)→9000만(-0.2%)→7000만(-33%)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에 비해 모두 하락했다. 같은 기간 알루미늄 수출액 역시 2억(-13.5%)→2억1000만(-7.7%)→2억3000만 달러(-1.8%)로 마찬가지 양상이다. 이런 가운데 올해 중소기업 수출은 1분기 들어 전반적으로 선방했다. 전체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 늘면서다. 특히 중소기업 수출 1·2위 품목인 화장품과 자동차가 1분기 기준 역대 최고 수출액을 기록했다. 다만 1분기 집계인 만큼 3월부터 본격화한 미국 관세 정책의 여파가 크게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중기부에 따르면 1분기 중소기업 수출액은 총 270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동기대비 0.7% 늘었다. 중소기업 수출은 지난해 1분기(0.1%) 플러스로 전환된 후 5분기 연속으로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1월(-10.4%)에는 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줄었지만 2월(7.1%), 3월(5.2%)에는 증가세가 유지됐다. 수출 중소기업수는 6만3135개사로 전년동기대비(6만2118개사) 1.6% 증가했다. 수출 1·2위는 화장품(18억4000만 달러, 19.6%)과 자동차(17억4000만 달러, 67.4%)로, 두 품목 모두 1분기 역대 최고 수출액을 갈아치웠다. 특히 화장품은 K-뷰티 인기가 지속됨에 따라 최대 수출국인 미국에서 역대 1분기 최고실적을 찍은 것은 물론 상위 10개국 중 8개국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면서 시장 다변화를 입증했다. 수출기업 또한 5760개사로 11.3% 증가하며 역대 1분기 중 가장 많았다. 자동차는 최대 수출국인 키르기스스탄을 포함한 독립국가연합(CIS) 지역에서 한국산 중고차의 높은 인기로 호조세를 보였다. 플라스틱 제품(11억3000만 달러), 자동차부품(10억4000만 달러), 합성수지(7억6000만 달러), 반도체제조용장비(7억2000만 달러)가 화장품과 자동차의 뒤를 이었다. 수출국 1위는 미국으로, 44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기타기계류, 전자응용기기의 수출이 줄면서 전년동기대비 총 2.5% 감소했지만 화장품과 전력용기기의 선전으로 중국(43억2000만 달러)을 제치고 자리를 지켰다. 상위 10대 수출국 가운데 중국을 포함해 일본, 홍콩,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 6개국은 전년동기대비 수출액이 증가했다. 중기부 이순배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중소기업 수출은 화장품 등 주력품목의 수출 강세로 5분기 연속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다만 3월부터 미국 관세 조치가 본격화되고 있는 만큼 중소기업 관세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추가지원 방안을 조속히 추진, 수출 호조세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