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 부산형 워케이션 네트워킹 2월 일정 공개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이하 부산창경)는 부산형 워케이션 네트워킹 프로그램인 'W-DAY' 2월 일정을 21알 공개했다. W-DAY란 다양한 직군의 워케이션 참가자들이 일과 휴식을 체험하고 서로 네트워킹도 하며 워케이션 문화 확산 및 스타트업 생태계 협력 커뮤니티 활성화를 목적으로 개최되는 행사다. 그동안 IT, 마케팅, 로컬의 세 가지 테마로 진행해 온 W-DAY는 올해부터 '스타트업' 테마를 추가해 비즈니스형 워케이션 취지를 한층 더 강화한 행사로 거듭날 예정이다. 그 하나로 지난 15일에는 부산창경 보육 기업이자 해양 수산계의 구글을 꿈꾸는 '링스업' 송건호 대표가 강연을 한 바 있다. 부산 수산업과 IT를 접목한 비즈니스 모델로 국내 수산 유통과 가공 업계의 혁신을 일으키고 있는 스타트업의 강연에 워케이션 참가자와 다수의 부산 수산업 관련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2월에 진행될 행사는 ▲워케이션 참가 기업의 2025년 정부 지원 사업 사업 계획서 작성 팁 센서블 컴퍼니 ▲부산 출신 독립 영화계 올라운더 영화감독 인간 형슬우 GV ▲1인 콘텐츠 기획사의 성장 노하우를 담은 시선커뮤니케이션 최윤형 대표 강연 ▲영도 로컬 기업인 조비215 목공방의 조휘동 대표의 이야기와 미니 전시회로 진행될 예정이다. W-DAY는 부산형 워케이션 거점 센터에서 매주 수요일 진행되며 워케이션 참가자 외에도 부산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참가 신청 방법은 부산 워케이션 홈페이지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01-21 16:39:08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Unpacked D-2, Key Points to Watch? Focus on the Smarter AI Phone and the Debut of XR Devices

IT tipster Evan Blass posted a photo on his social media, which is believed to be a promotional image of the Galaxy S25 series. / Evan Blass X 4o mini As the Galaxy Unpacked event approaches, attention is focused on the new products to be revealed. The upgraded 'Galaxy S25' series, featuring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AI) capabilities, is expected to be Samsung Electronics' flagship release. With this, Samsung aims to find a breakthrough in the smartphone market and gain a competitive edge. In addition, anticipation is rising for the unveiling of the second-generation 'Galaxy Ring' and Samsung's first mixed reality (XR) product, the 'Moohan' headset.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21st, Samsung Electronics will hold the "Samsung Galaxy Unpacked 2025" event on the 22nd (local time) in San Jose, USA, where the new Galaxy S25 series will be unveiled. The event will take place at 3 AM Korean time on the 23rd. The Unpacked event will be themed "The Next Big Leap in Mobile AI Experience," showcasing the new AI features that will be integrated into the Galaxy S25. The biggest features of the upcoming Galaxy S25 series are its redesigned look, significantly upgraded AI capabilities, and camera improvements. The lineup is expected to include the same models as the previous generation: ▲ Galaxy S25, ▲ Galaxy S25 Plus, and ▲ Galaxy S25 Ultra, with the addition of a new ▲ Galaxy S25 Slim model. Samsung Electronics has traditionally offered three models: the standard, Plus, and Ultra. However, in order to break through in the smartphone market, which is currently focused on thickness competition, Samsung has expanded its lineup by adding the "Slim" model. The biggest change is in the design. While the previous Galaxy S25 series featured sharp, angular corners, it is expected that the new series will adopt a more rounded design. Samsung hinted at this change in a recent video for the Galaxy S25 Unpacked invitation, showcasing the alignment of four smartphones, suggesting a shift in the design. The Galaxy S25 features a 6.2-inch Dynamic AMOLED 2X flat display and weighs 162g. The Galaxy S25 Plus, on the other hand, comes with a 6.7-inch display supporting a 120Hz refresh rate and WQHD resolution, with a weight of 190g. One of the key features of the upcoming Galaxy devices is the advanced AI capabilities and enhanced camera performance. Last month, Samsung introduced key features of its next-generation 'Galaxy AI,' including 'Nowva' and the 'Personal Data Engine.' 'Nowva' is a new notification system that displays the user's real-time activities, such as their schedule, music listening, translations, and health data, directly on the smartphone's lock screen. It is predicted that the voice assistant "Bixby" embedded in the Galaxy S25 will be integrated with Samsung's large language model (LLM) "Gauss" or Google's LLM "Gemini." While Bixby has previously been capable of only simple commands, combining it with an LLM model will enable it to perform more complex tasks. In addition, a "text conversion" feature, which transcribes call content into text, will be added. The scope of features such as text summarization and grammar and spelling checks, which were previously available on individual apps, is expected to expand across the entire device. These AI features will be enabled by Qualcomm's "Snapdragon 8 Elite," which will be integrated into all Galaxy models. The industry analyzes that this chip will see a 40% improvement in GPU performance and a 45% enhancement in AI capabilities compared to the previous generation, the Snapdragon 8 Gen 3. Additionally, Samsung is expected to unveil the upgraded second-generation Galaxy Ring. The new Galaxy Ring will include size options 14 (diameter 23mm) and 15 (diameter 23.8mm), bringing the total number of available sizes to 11. In addition, there is growing attention on whether Samsung will unveil its first XR (extended reality) product at this Unpacked event. Samsung has been developing an XR headset under the project codename "Moohan." While details on the headset's size, screen resolution, and other specifications remain unclear, it is expected to feature a Qualcomm Snapdragon chipset, as it has been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Google and Qualcomm. Last month, Google revealed prototype images of the headset. While similar to Apple's Vision Pro, the key difference lies in its design, which includes large lenses and a headband for improved comfort during wear. Meanwhile, the price of Samsung's latest premium smartphone, the Galaxy S25 series, is expected to be similar to that of its predecessor. For the Galaxy S24, the prices were 1,155,000 KRW for the standard model, 1,353,000 KRW for the Plus, and 1,698,400 KRW for the Ultra. If predictions hold, the 256GB model of the Galaxy S25 is likely to be priced similarly.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21 16:33:25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Trump's Blade] K-Industry at a Crossroads…Secondary Batteries and Steel 'Uncertain' vs. Shipbuilding and Power 'Bright'

President Donald Trump has begun his second term. As a result, the tariff hikes and protectionist policies that the Trump 2.0 administration had previously warned about are expected to impact the entire domestic industry. While some sectors are expressing concerns and tension due to the uncertainty surrounding Trump's return to power, there are also voices expecting potential benefits. According to industry sources on the 21st, with U.S. President Donald Trump officially inaugurated as the 47th president on the 20th (local time), domestic companies highly dependent on exports to the U.S. are facing heightened concerns. During his inauguration speech, President Trump had indicated trade policy reforms through the imposition of tariffs. Given this situation, there is widespread belief that domestic industries heavily reliant on the U.S. market will find it difficult to avoid the impact. ◆ Growing Tension in Secondary Battery and Steel Industries Amid Uncertainty in U.S. Exports The industry most focused on the Trump risk is the secondary battery sector. In his inaugural speech, President Trump stated, "We will end the Green New Deal and revoke the mandate for electric vehicles to revive the automotive industry and honor a sacred pledge to the great American auto workers." The Green New Deal refers to the Biden administration's policy for environmentally sustainable economic growth. Nevertheless, the industry believes that President Trump's statement about "ending the Green New Deal"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e repeal of the U.S. IRA (Inflation Reduction Act). Repealing or modifying the IRA would not be possible through an executive order alone, and would require a process involving agreement and voting in both the House and Senate.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seats in the House, analysts believe that such a move is unlikely to be realistic. Therefore, it is argued that assuming the repeal of the IRA based solely on the phrase "ending the Green New Deal" is an overstatement. However, a gradual reduction in electric vehicle subsidies is considered inevitable. There is increasing concern that this could negatively impact the profitability of domestic battery companies such as LG Energy Solution, Samsung SDI, and SK On, which have been increasing investments, including establishing local factories in the U.S. Th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and Trade predicts that battery exports could decline by 6.1% to 25.2% following the start of the Trump 2.0 administration. The steel industry is also closely monitoring the potential introduction of universal tariffs and carbon taxes. President Trump has made it clear that he intends to impose up to a 60% tariff on Chinese products, signaling his firm stance on containing China. The problem is that South Korean steel products, due to the carbon-intensive nature of the industry, will likely be affected by carbon taxes as well. Steel companies are expressing concerns about additional cost burdens and the potential weakening of export competitiveness. Currently, the U.S. applies a quota system to South Korean steel products. Under the Trump 1.0 administration, the quota system limited the amount of steel imported from South Korea, allowing domestic companies to benefit from duty-free access for 2.63 million tons of steel. However, if carbon taxes are applied to the limited export volume, the cost of the finished products would rise,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price competitiveness in the U.S. market. ◆ Shipbuilding and Power Industries Find 'Growth Drivers' in Trump's Re-elec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industries that are welcoming President Trump's re-election. Notably, the shipbuilding industry is expected to benefit from a double boost, with increased demand for eco-friendly ships and President Trump's cooperation requests further enhancing the outlook. In his inaugural speech, President Trump emphasized, "We will declare a national energy emergency and expand oil and natural gas drilling extensively." Additionally, in a phone call with President Yoon Suk-yeol in November 2024, he mentioned, "The U.S. shipbuilding industry needs South Korea's help and cooperation." Last month, President Trump also stated, "I am well aware of South Korea's world-class capabilities in building warships and vessels," adding, "I believe close cooperation with South Korea is necessary not only in ship exports but also in the areas of maintenance, repair, and servicing." Especially as President Trump places emphasis on traditional energy and fossil fuel-based industries, the demand for liquefied natural gas (LNG) and LPG carriers is expected to increase. Domestic shipbuilding companies such as HD Hyundai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Hanwha Ocean, and Samsung Heavy Industries possess the technical capabilities to build around 80% of the world's LNG carriers, and are expected to strengthen their market position in the LNG carrier construction sector. Power equipment companies are also among the industries expecting to benefit from Trump's re-election. This is because President Trump's return to power has accelerated the replacement of power demand in the North American region. President Trump stated, "I will invoke emergency powers to secure the electricity needed for industrial development." Additionally, the day before his inauguration, President Trump stated, "I will use emergency powers to allow wealthy companies and individuals to build large factories and AI factories," and added, "We need twice as much energy, and perhaps even more." As the need for expanding the power grid grows, driven by the strengthening of the AI industry's foundation, U.S. power demand is rapidly increasing. In fact, the U.S. import value of power equipment rose significantly, from $164.34 million in January 2024 to $333.18 million in November of the same year. South Korea ranks as the second-largest importer, accounting for 12% of the total import value, and the overall trend is on the rise. Additionally, the increasing need for power equipment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renewable energy sources into the power grid is a positive factor for the industry. Furthermore, as the U.S. replaces its aging power infrastructure, there is rising demand for transformers, which is expected to benefit the power equipment sector. An industry insider stated, "The concerns over the tariff wars due to President Trump's re-election and the U.S.-China conflict are intertwined, meaning that the entire domestic industry will inevitably be significantly impacted." They continued, "In particular, in response to the changing global economic environment, domestic companies are adopting various strategies such as supply chain restructuring and expanding new businesses, but it is expected that, in the short term, it will be difficult to avoid overall confusion in the industry."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21 16:14:5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트럼프 "북한 핵 보유…김정은과 잘 지내"

제47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북한을 두고 핵 보유국이라고 언급했다. 1기 행정부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우호적인 관계였다는 점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도중 취재진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취재진들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주요 안보 위협에 대해 질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재 우리는 많은 위협에 직면해 있지만, 당시 북한 문제는 잘 풀렸다고 생각한다"면서 "많은 사람이 북한을 엄청난 위협으로 간주했는데, 이제 그는 뉴클리어 파워(nuclear power·핵보유세력)"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핵능력 보유국으로 지칭한 것은 이례적이란 평가다. 최근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 후보자가 상원 청문회에서 북한을 핵능력 보유국으로 표현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북한 비핵화라는 기존 원칙에 변화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과의 관계에 대해 "난 김정은과 매우 우호적이었다. 그는 나를 좋아했고, 나도 그를 좋아했다. 우린 매우 잘 지냈다"며 "그는 내가 돌아온 것을 반길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난 김정은이 엄청난 콘도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는 많은 해안선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2025-01-21 16:14:10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尹측 "한동훈·우원식 체포 지시한적 없다"

21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3차 변론기일에 출석한 윤석열 대통령 측은 "12·3 비상계엄 당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나 우원식 국회의장에 대한 체포를 지시한 바 없다"고 말했다. 또, 비상계엄 당시 선포한 포고령은 집행할 의사가 없었다는 점도 강조했다. 윤 대통령 측은 이날 "한 대표 사살은 터무니없는 지시"라며 "지시한 적도 없는데 황당한 것을 가지고 탄핵소추 사유로 언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지난달 27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구속기소하며 김 전 장관 공소장에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당시 조지호 전 경찰청장에게 수차례 전화해 '국회 들어가려는 국회의원들 다 체포해, 잡아들여, 불법이야'라고 지시한 정황을 담았다. 아울러, 윤 대통령 측은 "포고령은 계엄의 형식을 갖추기 위한 것이지 집행할 의사가 없었고 집행할 수도 없는 것이었다"며 "집행의 구체적인 의사가 없었으므로 실행할 계획도 없었고, 포고령을 집행할 기구 구성이 전혀 포함되지 않은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에 군을 투입한 것과 관련 "망국적 행태를 국민에게 알리고 시민이 몰리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답했다.

2025-01-21 15:42:35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Joint Growth" Hyundai and Kia: First-Tier Supplier Sales Exceed 90 Trillion KRW…"Continuing to Expand Global Competitiveness"

The sales of small and medium-sized first-tier suppliers directly providing parts to Hyundai and Kia surpassed 90 trillion KRW for the first time in 2023. Hyundai and Kia announced on the 21st that the combined sales of 237 small and medium-sized first-tier suppliers, as of 2023, amounted to 90.297 trillion KRW. This marks a 326% increase compared to 21.1837 trillion KRW in 2001. Once the final business performance figures for the suppliers are confirmed, the annual sales figure is expected to be even higher. The sales figures were compiled by analyzing the 2023 business performance of 237 small and medium-sized suppliers, excluding Hyundai Motor Group affiliates, companies with less than 10% revenue dependency on Hyundai and Kia, and non-specialized parts manufacturers among Hyundai and Kia's domestic first-tier suppliers. When adding the sales from the 2nd and 3rd-tier suppliers, which total around 5,000, the overall scale exceeds 100 trillion KRW. The 237 suppliers have also shown growth alongside Hyundai and Kia in terms of key financial indicators such as asset size and debt ratio. In 2023, their combined sales exceeded Hyundai's sales of 78.0338 trillion KRW by more than 12 trillion KRW and accounted for 66% of the combined sales of Hyundai and Kia, which totaled 136.5537 trillion KRW. The analysis, based on the Bank of Korea's input-output table (2022 extended version), shows that the sales of the 237 suppliers (90.297 trillion KRW)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national economy.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was estimated at 237.8 trillion KRW, and the value-added inducement effect reached 55.6 trillion KRW.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s estimated to be around 600,000 jobs. The trend of individual suppliers becoming larger is becoming more evident. The average sales per supplier, which was 73.3 billion KRW in 2001, increased to 239.1 billion KRW in 2013 and was recorded at 381 billion KRW in 2023. The proportion of suppliers with sales exceeding 100 billion KRW has grown from 62 companies (21%) in 2001 to 160 companies (68%) in 2023. Hyundai and Kia have maintained an average transaction period of 35 years with their suppliers. This is about three times longer than the average operational lifespan of 13.5 years for international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Additionally, 36% of their suppliers have been in business with them for over 40 years. In addition, Hyundai and Kia have established local production plants in key global regions such as the U.S., Europe, India, Brazil, and Mexico. By supporting not only first-tier suppliers but also second-tier suppliers in their expansion, they have contributed to helping their suppliers secure global competitiveness. A Hyundai Motor Group official explained, "The growth of our suppliers is a result of increased production volumes following Hyundai and Kia's global sales growth, as well as leveraging the trust of being a Hyundai and Kia supplier to increase supply to other overseas automakers, thereby creating various revenue streams." He continued, "We will support sustained growth based on our philosophy that joint growth with suppliers is the source of automotive competitiveness and on long-term partnership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21 15:41:1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트럼프 2기 출범 동시에 "무역협정 재검토"…"파리기후협약·WHO 동시 탈퇴"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GA·Make America Great Again)" 제47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취임식에서 2기 행정부의 출범을 알리며 이렇게 외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연설 내내 "미국을 지구상에서 가장 위대한 국가로 만들겠다"며 "새 행정부에서 단 하루도 우리가 (타국에) 이용당하는 일이 없게 하겠다. 미국을 최우선으로 두겠다"고 강조했다. 그의 핵심 공약이 '미국 우선주의(First America)'였던 만큼 연설 중 '미국인(American)'은 21차례, '국가(Nation)'는 20차례 언급했다. 이를 두고 주요 외신들의 평가는 엇갈렸다. 월스트리트저널(WSJ)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새로운 황금기를 선언했다"고 전했다. 반면, 워싱턴포스트(WP)는 "자신을 구세주로 묘사하며 거짓 주장을 늘어놨다"고 비판했다. 취임 첫 날부터 트럼프 대통령은 100여 개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 조치를 무효화하는 이른바 '이전 행정부 지우기' 일색이었다. 1호 행정명령으로 쿠바에 대한 테러지원국 지정 해제를 원점으로 돌렸다. 바이든 전 대통령은 4년 만에 쿠바를 테러지원국에서 해제했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했다. 그는 또, 서안지구에서 팔레스타인 주민을 대상으로 폭력 행위를 한 유대인 정착민에 대한 제재도 해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리기후협약과 세계보건기구(WHO)를 동시 탈퇴하는 내용에도 서명했다. 다자협정과 국제기구도 철저히 자국의 이익을 기준으로 판단하겠다는 '미국 우선주의' 기조에 따른 것이다. 그는 파리기후협약에 중국도 가입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들어 "불공정하고 일방적인 강도질"이라고 맹비난했다. 세계보건기구 탈퇴 또한 코로나19 대응에 실패한 점을 이유로 들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 무역협정 재검토를 지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과 함께 불공정하고 불균형적인 무역 문제에 대응하고, 적절한 조치를 강구할 방침이다. 이로써,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도 영향이 불가피해졌다. 트럼프 1기 행정부는 이미 한 차례 한미 FTA를 재협상 테이블에 올린 바 있다. 2기 행정부는 미국에 더 유리한 방향으로 재협상을 압박할 가능성이 크다. 각국 정상들은 더 강해져 돌아온 트럼프 대통령에게 미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기를 원한다는 내용의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대한민국은 트럼프 1기 행정부였던 제45대 때처럼 제47대 때에도 한미동맹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도 "일미(미일) 관계를 강화하고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이라는 공통 목표 실현을 함께 추구해 나가기 위해, 트럼프 대통령과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관심을 모았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분쟁(전쟁)과 관련해 미국의 새 행정부와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푸틴 대퉁령은 "러시아와 직접적인 접촉을 복원하고 3차 세계대전을 방지하려는 새 미국 행정부의 태도를 환영한다"면서 "(우크라이나 전쟁은) 단기적인 휴전이 아니라 모든 이들의 합법적 이익을 존중하는 지속적인 평화여야 한다"고 밝혔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트럼프의 취임을 축하하며 "정의로운 평화를 이룰 기회"라고 강조했다.

2025-01-21 15:15:06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공수처, 尹 서신 수·발신 금지…"대면조사 할 것"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석열 대통령의 서신 수·발신 금지 결정을 내렸다. 증거인멸 등을 고려해서다. 공수처는 또, 윤 대통령의 서면조사는 검토하지 않고 대면조사 할 뜻을 분명히 했다. 공수처는 21일 "서신 수·발신 금지 결정서를 전날 오후 3시께 서울구치소에 보냈다"고 밝혔다. 이어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변론 일정에 따른 공수처 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에 "그런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대면조사를 위한 시도를 중단하거나, 아예 거둘 수 없는 상황"이라며 "서면조사 방식은 현재 검토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공수처는 윤 대통령에 대한 강제구인 재시도 방침도 밝혔다. 공수처는 "전날 강제구인하려고 했지만 피의자 측 거부로 구인하지 못했다"며 "이날 오후 탄핵심판 일정이 있고, 거기 출석이 예고된 상황이다. 일단 오전 구인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수사기관이고, 수사기관 입장에서 (윤 대통령은) 피의자다. 피의자를 수사하는 건 당연한 수사기관의 의무"라며 "또 조사에 응하지 않거나, 응하지 않을 의사 있더라도 조사를 위한 노력은 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덧붙였다. 공수처는 지난 19일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구속영장을 발부받았지만, 윤 대통령은 여전히 조사에 응하지 않고 있다.

2025-01-21 15:15:04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김태경 한국외대 교수 연구팀, MoO3 나노구조체의 유전상수 이미징화 성공

한국외국어대학교(총장 박정운)는 김태경 전자물리학과 교수 연구팀이 전기 힘 현미경(EFM) 기술을 활용해 MoS2 박막을 산화해 생성된 MoO3 나노구조체의 국소적 유전상수 값을 이미징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21일 밝혔다. MoO3는 약 25에 달하는 높은 유전상수를 가지며, 이는 기존의 SiO2 소재 대비 6배 이상 높은 값이다. 이로 인해 MoO3는 차세대 나노 전자 소자를 위한 유망한 고유전율(high-k) 유전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MoS2 박막을 산화시켜 얻은 MoO3 나노구조체의 정확한 유전 특성은 그동안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다. 김태경 교수 연구팀은 산화 주사 탐침 리소그래피(o-SPL) 기법을 통해 MoS2 박막을 산화하여 MoO3 나노구조체 어레이(array)를 제작했다. 이후 전기 힘 현미경과 유한 요소 계산(FEM) 방법을 활용해 MoO3 나노구조체가 높은 유전상수를 가지며, 구조체 크기와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함을 입증했다. 이 결과는 기존 나노 전자 소자에서 흔히 관찰되는 크기 의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돌파구를 제공한다. 즉, 향후 MoO3 나노구조체가 고성능 집적 회로 및 나노스케일 절연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팀은 고해상도 전자현미경(HRTEM)과 에너지 분산 X선 분광법(EDS)을 활용해 MoO3 나노구조체가 비정질 상태임을 확인했으며, 이는 기존 비정질 MoO3에 대한 부족한 이해를 보완하는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된다. 김태경 교수는 "MoO3 나노구조체는 전자 소자뿐만 아니라 광학 및 센서 응용 분야에서도 높은 활용 가능성을 지닌다"라며 "이번 연구는 나노스케일 전자 소자에서 고유전율을 갖는 새로운 나노소재의 가능성을 열어줌과 동시에 차세대 소자에서 새로운 개념의 절연체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나아가 나노 전자 소자 및 재료 과학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저명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에 지난 13일 자로 온라인 게재됐으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본연구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5-01-21 14:39:30 이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