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외국인 유학생, 지역 기업 구인난 해소 대안 부상”

청년들의 산업 현장 기피와 탈부산 영향으로 지역 기업들의 기술·기능직 구인난이 갈수록 심화되는 가운데 지역 소재 대학에서 전문적 교육을 받은 외국인 유학생이 구인난 극복의 중요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5일 지역 주요 기업 503개 사를 대상으로 외국인 유학생 채용 의향과 목적, 일자리 유형 등의 의견을 파악한 '부산 지역 기업체 외국인 유학생 채용 관련 인식 및 의견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 유학생 채용이 활발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응답 기업의 13.5%는 외국인 유학생을 채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전문 취업 비자인 E-7 비자를 발급받아 채용한 경우가 63.9%로, 아르바이트와 같은 단기 채용 기업들의 91.2%가 생산성을 비롯한 성과 측면에서 내국인 못지않은 결과가 있었다면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E-9 비자 등 다른 유형의 외국인 근로자와 비교했을 때 장점으로는 ▲전문성(35.3%) ▲생산성(27.9%)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한국어 능력(16.2%) ▲문화 적응력(7.4%) ▲근로 의식(5.9%) 등의 순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외국인 유학생 채용 의견과 의향을 물은 응답에서 응답 기업의 45.7%가 외국인 유학생 채용 확대가 기업의 구인난 해소에 직접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으로 신규 채용을 희망하는 비중도 25.6%에 달해 앞으로 지역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력으로 활용될 여지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지역 기업이 채용을 희망하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력 수준은 전문 학사가 60.6%로 가장 높았고, 이어 ▲4년제 학사(37.2%) ▲석사급 이상(2.2%) 등의 순이었다. 선호 국적은 ▲베트남 등 동남아가 41.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국적 무관(33.2%) ▲중국(9.7%) ▲우즈벡(6.2%) ▲북미(3.4%) ▲네팔(2.6%) 등이 뒤를 이었다. 지역 기업이 중요하게 평가하는 역량으로는 근무 태도가 30.0%로 가장 높았는데, 내국인과 달리 인력 관리에 부담이 높은 만큼 근무 태도를 중시하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어 ▲한국어 구사 능력(20.3%) ▲업무 숙련도 및 직무 경력(17.9%) ▲한국 문화 적응력(11.6%) ▲영어 구사 능력(9.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학생을 가장 채용하고 싶어 하는 직무로는 제조·생산직이 64.2%로 가장 높았다. 생산 분야의 구인난이 매우 심각한 만큼 이를 해소하고자 하는 기대가 반영된 가운데 이어 ▲사무 관리(11.5%) ▲운송·물류(10.3%) ▲영업·마케팅(8.9%) ▲연구·개발(2.2%) 등의 순이었다. 다만 현행 제도에서 외국인 유학생 채용 시 취득해야 하는 E-7 비자는 규정상 기업이 가장 필요한 단순 제조·생산 인력에는 허가를 받을 수 없어, 기업의 인력 수요와 제도 사이에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부산상의 조사연구팀 관계자는 "지역 기업의 생산 현장에도 스마트 팩토리 도입 등 전문적 역량이 필요한 부분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E-7 비자의 직무 요건 범위의 개선이 필요하다"며 "장기적으로는 부산시가 추진 중인 비자 등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고용과 정주 여건을 개선해, 청년층 감소와 인력난 해소의 해법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했다.

2025-01-15 15:53:28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장성군, 설 선물로 좋은 고급 과일 ‘레드향’ 수확

장성군이 아열대과일 '레드향' 수확을 시작했다. 서지향과 병감의 꽃가루를 교배해 개발된 '레드향'은 감귤보다 조금 더 크고 붉은 빛깔을 띤다. 선물용으로 인기있는 고급 만감류 과일이다. '레드향'이 사랑받는 이유는 '고급스러운 맛'에 있다. 만감류지만 신맛이 과하지 않고 단맛이 풍부해 남녀노소 누구나 선호한다. 특히 장성산 '레드향'은 평균 14~15브릭스(brix)로 당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상큼한 향도 빼놓을 수 없는 장점이다. 껍질을 벗기는 순간부터 향긋함이 주위를 에워싸기 시작한다. 부드러우면서 알알이 톡톡 터지는 식감도 일품이다. 건강에도 이롭다. 비타민 A, B, C 등이 풍부해 피로 회복과 동맥경화 예방,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 항산화 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성군은 '레드향'의 당도와 과즙 함유량이 가장 이상적인 시기로 알려진 12월 말부터 1월 중순 사이 수확해 상품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15일 농가를 방문해 일손을 보탠 김한종 장성군수는 "맑은 공기와 깨끗한 환경에서 자란 장성산 '레드향'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하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가격은 3kg 상자 3만 6000원, 5kg 상자 6만 원이며 장성로컬푸드 첨단직매장, 농협장성군로컬푸드직매장에서 방문 또는 택배로 구입할 수 있다. 농가 직거래는 장성군농업기술센터 농업기술과로 문의하면 된다.

2025-01-15 15:51:04 양수녕 기자
기사사진
尹측 "공수처 체포영장 불법…탄핵소추 부당, 기각 받아낼 것"

윤석열 대통령 측 석동현 변호사는 15일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은 서울중앙지법에 청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체포영장을 서부지법에서 발부받은 것이 위법이자 무효라는 주장이다. 석 변호사는 이날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관할이 없는 서울서부지법이 아닌 중앙지법으로 청구하는 등 정당한 법 절차를 지켜달라"며 "이번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자행한 불법 행위에 대해 반드시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부당 체포와 구속에도 좌절하지 않고 탄핵심판에서 대한민국이 현재 처한 망국적인 비상 상황을 알리고 탄핵소추의 부당함을 밝혀서 반드시 기각 결정을 받아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석 변호사는 윤 대통령의 향후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출석 계획 관련 "쟁점들이 정리되면 대통령께서 적극적으로 출석해 입장을 밝힐 것"이라며 "지금 공수처의 무도한 체포 집행에 의해 구금 상태가 될 가능성이 크지만, 그로 인해 위축되지 않고 출석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아울러, "국회 측이 탄핵소추 사유에서 내란죄를 철회하겠다는 기괴한 주장을 했고, 이 사안은 국회의 탄핵소추안 재표결이 필요하다"며 "탄핵심판 소추사실 등이 정리가 빨리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16일 예정된 윤 대통령 탄핵심판 2차 변론 참석 여부에 대해선 "공수처가 현직 대통령을 영장 집행을 빙자해 사실상 강제로 출석하게 한 상황이다. 이 조사가 내일까지 가는 상황에서 내일 탄핵심판 출석이 되겠나"라고 반문했다. 석 변호사는 '체포적부심사를 고려하고 있느냐'는 질문엔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그는 "윤 대통령이 경호처 직원들의 임무 의지와 시민 안전을 고려해 불상사를 막아야 한다는 판단에서 자진 출석을 결심했다"며 "출석 일정은 윤 대통령과 변호인단이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탄핵 심판 과정에서 내란죄 혐의의 부당함을 밝히고, 대한민국 법치주의 붕괴의 현실을 알리겠다"며 "구속영장 청구가 진행될 경우 윤 대통령이 직접 의견을 피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날 공수처는 내란 수괴 혐의로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30분까지 조사했다. 이어 오후 2시 40분부터 조사를 재개한 상황이다.

2025-01-15 15:34:37 원승일 기자
기사사진
'16 New Models' Audi Korea, Expanding Premium Offerings and Network… "We Will Continue to Grow with New Strategies"

"If last year was about strengthening our foundation, 2025 will be focused on driving growth based on new strategies through enhanced networks and collaboration with dealer partners." Steve Klotz, President of Audi Korea, held a "New Year Media Roundtable" at the Yeongbin Hall of the Shilla Hotel in Seoul on the 13th, where he unveiled the company's strategy for the year. The key strategies for this year include delivering premium value, actively responding to changing customer demands, and adapting to changes in the automotive environment. Audi Korea plans to expand its customers' options by launching a total of 16 new models this year, including the electric vehicle 'The New Audi Q6 e-tron,' the A6 e-tron,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models like 'The New Audi A5' and 'The New Audi Q5.' This will be the largest number of new car launches ever in global markets, including South Korea. President Klotz stated, "This year, Audi Korea will focus on expanding its network strategy, with the goal of a new leap for the Audi brand, based on a strong partnership with our dealer partners. We will work to ensure that customers can continue to experience the premium brand in a more convenient and accessible way." The model Audi Korea is focusing on this year is the Q6 e-tron, which is the first production model to apply the Premium Platform Electric (PPE) technology jointly developed by Audi and Porsche. It received the highest rating in the Euro NCAP test, the European new car safety evaluation. The Q6 e-tron is equipped with a 100 kWh lithium-ion battery, allowing for a maximum driving range of up to 641 km on a single charge according to the WLTP standard. The vehicle will be delivered to customers starting with an official launch event next month. President Klotz stated, "Despite the challenges in the electric vehicle market last year, the Q4 e-tron has solidified its position as a leader in the premium electric vehicle segment in the Korean market." He added, "We will continue to align with changing customer demands and environmental changes, striving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mobility with innovative technologies and products." He further emphasized, "We must strengthen our partnership with dealers and pursue sustainable growth as one Audi team." The New Audi A5 and The New Audi Q5 will be launched as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plug-in hybrid models. These models are equipped with the newly developed "PPC" (Premium Platform Combustion) platform. The New Audi A5 is a coupe-style sedan that combines the strengths of Audi's representative mid-sized sedans, the A4 and A5. The New Audi Q5, on the other hand, is a completely redesigned version of Audi's signature SUV, the Q5, and features next-generation high-efficiency engines that significantly enhance its output. In particular, Audi Korea plans to expand customer touchpoints by transforming its showrooms into flagship store concepts in the form of city mall showrooms starting this year. As a result, the number of showrooms will increase from the existing 33 to 35, and the number of service centers will also be expanded from 32 to 37. President Klotz stated, "We plan to establish a network where customers can access a service center within 30 minutes in area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customers, such as Seoul and Gyeonggi." He added, "For routine maintenance and regular inspections, we will operate service stations in a non-face-to-face format, ensuring that customers can receive service 24/7 year-round." Meanwhile, Audi Korea sold only 9,304 units in 2023, a sharp decline of 47.9%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due to the prolonged global economic downturn and high interest rate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15 15:33:2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U.S. 'TikTok Ban Law' Sparks Mass Migration of TikTok Refugees… Meta Left Surprised

As the deadline for the potential ban of TikTok in the U.S. approaches, TikTok "refugees" are on the move in search of alternatives. Contrary to expectations that many would migrate to Instagram, owned by Meta, they are instead flocking to apps originating from China, surprising industry insiders. On the 19th, ByteDance and TikTok will reach the 360-day deadline set by the U.S. Congress for the sale of TikTok. In April of last year, the U.S. Congress claimed that TikTok's installed backdoor (malicious code that allows unauthorized access to systems) was illegally collecting personal information of U.S. citizens and transmitting it to the Chinese government, thereby acting as a "spy balloon." As a result, the U.S. Congress has forced TikTok to sell its ownership to an American company in order to continue its operations in the U.S. TikTok and the Chinese government have opposed this, arguing that it is an attempt to counter China and seize valuable companies. Bloomberg reported on the 13th (local time) that Chinese authorities are enforcing TikTok to comply with the U.S. ban law by selling its U.S. business rights. Additionally, as part of discussions on potential cooperation with the next U.S. administration, they are considering transferring TikTok's U.S. operations to Elon Musk, CEO of Tesla. ByteDance has not provided any separate comment on the report. In April, ByteDance filed a motion for a temporary injunction against the enforcement of the TikTok ban law with the U.S. Supreme Court, which is currently pending. The estimated valuation of its parent company, ByteDance, is $268 billion, with TikTok's business valued at around $30 to $50 billion. Amid the political power struggle surrounding TikTok, users of the platform began a large-scale migration to other platforms. President-elect Donald Trump had previously expressed a favorable stance on the matter, stating regarding the sale of TikTok, "No one knows what will happen with TikTok (in the Supreme Court)," and added, "I will make a decision after taking office." Nevertheless, TikTok users are proactively trying to establish a presence on multiple platforms, fearing that access to TikTok in the U.S. may become difficult, and they may lose access to accumulated data and content. TikTok users have particularly focused on the apps "Rednote" from XiaoHongShu (Little Red Book) and ByteDance's app "Lemon8." Rednote, the international version of China's Instagram-like platform XiaoHongShu, ranked first in the Apple App Store downloads as of the afternoon of the 13th, and 8th in the social media category of the Google Play Store. "Lemon8" was the second most downloaded app on the U.S. App Store. U.S. users are migrating to XiaoHongShu instead of Rednote. On the 13th, TikTok refugees posted thousands of posts on XiaoHongShu announcing their sign-up, using the hashtag "#tiktokrefugee." Instagram, which was expected to benefit the most from the TikTok ban law, has seen somewhat stagnation. Unlike XiaoHongShu and Lemon8, which share subculture and content similar to TikTok, Instagram has not been able to meet the expectations of U.S. TikTok users, as its culture differs somewhat from that of the major TikTok users in the U.S. An industry insider in marketing commented, "TikTok users tend to share a subculture rather than the fashion and shopping culture shared by Instagram Reels users," and added, "I expected them to move to YouTube Shorts, but I'm very surprised that they migrated to Chinese apps instead."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1-15 15:33:00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우주항공청, 유럽우주청과 우주 협력 강화 세미나

우주항공청은 유럽과의 우주 협력 강화를 위해 15일 오후 우주항공청 청사에서 유럽우주청(European Space Agency, ESA)과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유럽우주청 대표단 전략법무대외협력국장의 방한을 맞아 양 기관이 우주 분야 협력 확대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두 기관은 ▲위성항법 시스템 ▲우주 탐사 ▲우주 환경 모니터링 ▲지구 관측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과 연구 현황을 공유했다. 더불어 우주청과 ESA 간 협력 기반을 더 공고히 하기 위해 체결을 논의 중인 양해각서(MOU)의 세부 사항에 대한 검토도 병행됐다. 특히, ESA는 라그랑주점 5를 목표로 하는 L5 태양권 탐사선을 개발해 우주환경 관측 임무를 운영할 예정이며 우주청은 L4 태양권 탐사선을 개발할 계획이다. 따라서 두 미션 간의 협력은 태양 활동과 우주 환경 예보 연구를 심화시키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ESA는 EU의 글로벌 위성항법 시스템인 갈릴레오를 설계·개발해 고정밀 항법 기술도 보유하고 있으며 우주청은 지역 위성항법 시스템인 한국형위성항법 시스템(Korea Positioning System)을 개발 중이다. 저궤도 위성항법 시스템(Low Earth Orbit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LEO-PNT) 등과 같은 양 기관의 협력은 위성항법 정확도와 안정성 향상은 물론 위성항법 신호의 상호 보강 및 신뢰성 향상 등 실질적 성과로 연계될 수 있다. 한편, 더 효율적인 우주 활동을 위해 ▲심우주 통신 인프라 개발 및 공동 활용 ▲지속 가능한 목표 달성을 위한 지구 관측 및 환경 모니터링 ▲우주 과학 및 데이터 분석 등에 관한 협력도 함께 논의했다. 이런 우주청의 활동은 한국의 우주 개발 역량을 글로벌 우주 연구 개발의 중심에서 발휘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ESA는 유럽의 우주 탐사 및 연구를 총괄하는 기구로 유럽의 총 23개국이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우주 기술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글로벌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지구 관측 ▲위성 항법 시스템 ▲탐사 미션 ▲발사체 개발 ▲우주 환경 모니터링 등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고 있어 유럽과 우주 기술 공유를 통해 다양한 협력을 기대할 수 있다. 윤영빈 청장은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한-유럽과의 우주 분야 협력을 강화하는 것은 물론 국제적 우주 연구 개발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할 것"이라며 "우주청은 앞으로 ESA는 물론 개별 ESA 회원국과의 글로벌 우주 협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1-15 15:28:11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동래교육지원청, 학교 교육 계획 수립 워크숍 개최

부산시교육청 동래교육지원청은 오는 16일 부산교육대학교 참빛극장에서 '2025학년도 학교 교육 계획 수립을 위한 워크숍'을 관내 초등학교 ▲교감 ▲교육 과정 부장 ▲수석 교사를 대상으로 개최한다. 이번 워크숍은 2025 부산 교육 계획과 동래교육지원청의 주요 업무를 안내해 단위 학교가 새 학년도 교육 활동을 알차게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학교의 교육 과정 운영 우수 사례를 공유함으로써 학교 교육 과정 업무 담당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2025년 동래교육지원청 중점 사업인 '지혜 UP! 동래 다·맞·춤 학력 프로젝트'와 '3색 향기로 피어나는 동래 인성 교육' 활성화를 위해 2024학년도 BASS 운영과 독서 교육 우수 사례를 공유한다. 그리고 2022 개정 교육 과정의 주요 사항인 '학교 자율 시간 운영의 실제'와 '교육 과정 편성·운영 New 디딤돌'을 안내함으로써 업무 담당 교원이 구체적인 사례를 얻을 수 있도록 했다. 동래교육지원청은 이번 워크숍에서 나눈 교육 과정 편성·운영 방안에 따라 앞으로 단위 학교의 교육 계획 수립 과정에 컨설팅 지원도 이어간다. 지구별로 컨설턴트를 배정해 배움과 삶, 교실과 지역 사회를 연계한 창의적인 교육 과정의 운영을 지원하게 된다. 하승희 동래교육지원청 교육장은 "학교 교육 과정은 학생들에게 배움의 길을 제공하는 나침반"이기에 "학교 구성원이 함께 교육 비전을 설계하고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는 학교 교육 계획 수립 지원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1-15 15:27:40 이도식 기자
기사사진
남해군, 농업 분야 단체와 민생 정책 간담회 개최

남해군은 지난 10일 마늘연구소 세미나실에서 농업 분야 단체 대표들과 민생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극심한 경기 침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마련됐다. 남해군은 농업 현장 목소리를 경청하고 체감 가능한 정책적 지원을 강구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남해군 농어업회의소 ▲전국마늘생산자협회 남해군지회 ▲보물섬 남해 시금치 연합회 등 15개 단체 대표가 참석해 농업인들이 처한 현실과 개선책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했다. 특히 ▲기후 변화로 인한 밭작물 관수 시설 설치 건의 ▲선진 농업 연수 지원 ▲귀농 귀촌인을 위한 '농업 생애 첫 도우미' 지원 ▲남해군 사계절 테마 음식 개발 등 실질적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책을 펼쳐줄 것을 주문하는 등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 남해군은 시금치 산업 활성화를 위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고, 마늘 산업 분야에서는 면적의 규모화와 기계화를 추진하는 등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충남 남해군수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우리 농업의 가치를 지켜나가고 있는 농업인분들의 노력에 감사를 표하며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해 정책 역량을 결집해 공감하는 행정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남해군은 지난해 12월 23일 소상공인 단체와 민생 간담회를 개최한 바 있으며 앞으로 ▲해양 수산 분야 간담회 ▲청년 크리에이터 간담회 등을 차례대로 개최할 예정이다.

2025-01-15 15:19:05 이도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