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인상 효과?…'주택경기 침체등에도 시멘트社 실적 '선방'
3분기까지 쌍용, 한일, 아세아, 성신, 삼표등 매출·영업익 '동반 상승' 시멘트값 인상 효과, 유연탄 가격 안정, 원가절감 노력 등 복합 작용 강화되는 환경규제등에 대규모 투자 '현재진행형'…年 평균 4000억 ↑ 주택 건설 경기 침체, 수요 위축 등에도 불구하고 시멘트 회사들이 양호한 실적을 기록하며 선방하고 있다. 시멘트값 인상 효과와 주원료인 유연탄 가격 안정, 원가절감 노력 등의 결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지난해에 비해 전반적으로 나아지면서다. 이런 가운데 탄소 중립 등 친환경을 위한 시멘트 업계의 대규모 설비투자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15일 관련 업계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쌍용C&E는 연결기준으로 올해 들어 3·4분기까지 1조318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매출 1조1451억원보다 15.2%(1735억원) 늘어난 액수다. 쌍용C&E는 3분기까지 영업이익도 78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678억원보다 15.6%(106억원) 증가했다. 쌍용C&E 관계자는 "3분기까지 실적은 상반기 수요 증가와 가격 인상 효과에 힘입어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면서 "시멘트는 내수 판매량이 5% 정도 증가했고, 유연탄 가격 안정화와 지속적인 원가절감 노력으로 영업이익도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쌍용C&E의 경우 지난해 톤(t)당 평균 7만6652원이던 시멘트값이 올해 3분기엔 8만5235원으로 11.2% 올랐다. 쌍용C&E는 올해 매출 1조9000억원, 영업이익 2000억원을 목표하고 있다. 지난해는 1조7059억원의 매출과 1920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둔바 있다. 한일시멘트도 올해 3분기까지 1조3057억원의 매출과 1818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지난해 동기엔 1조674억원의 매출과 855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특히 영업이익은 벌써 2배를 훌쩍 넘어섰다. 한일시멘트는 내수가격 기준으로 지난해(평균) 대비 올해 3분기 현재 시멘트(15%), 레미콘(17.5%), 레미탈(22.7%) 가격이 모두 올랐다. 아세아시멘트 역시 매출(3분기 기준)은 7449억원에서 8864억원으로, 영업이익은 808억원에서 1067억원으로 각각 늘었다. 성신양회(매출 7540억→8012억원, 영업이익 223억→391억원)와 삼표시멘트(매출 4962억→6000억원, 영업이익 322억→644억원)도 실적이 지난해보다 나아졌다. 시멘트 전방산업의 하나인 주택시장은 녹록치 않은 분위기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9월 누계 기준으로 전국 주택 착공은 12만5862호로 전년 동기의 29만4059호에 비해 57.2%나 감소했다. 특히 수도권이 지난해 9월까지 약 14만9000호가 착공했지만 올해엔 6만호 정도에 그쳐 지방(약 14만5000→약 6만6000호)에 비해 크게 줄었다. 이런 가운데 갈수록 강화되는 환경규제를 맞추기 위한 업계의 대규모 설비투자는 현재 진행형이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시멘트산업의 설비투자 규모는 2021년 4226억원, 2022년 4468억원, 2023년(예정) 5764억원 등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4063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공해·환경·안전 등 환경규제, 자동화·에너지절약 등 원가절감 등 '합리화설비투자'가 연평균 3549억원으로 전체의 87.3%를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주택 경기 불확실성 확대, 갈수록 강화되고 있는 환경규제 등으로 시멘트회사들이 설비투자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게다가 고금리로 인한 자금 시장 불안도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업계 1위인 쌍용C&E는 앞서 오는 2030년까지 8000억원을 투자해 탄소중립과 환경개선에 집중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세아시멘트도 ▲대기 배출 오염 저감을 위한 NOx 배출농도 감소 ▲대체연료 증대를 통한 탄소저감 ▲통합환경관리체계 구축 ▲안전강화를 위한 설비 개조 등 친환경 설비 투자에 오는 2025년까지 53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삼표시멘트는 시멘트 주요 생산설비인 소성로에 질소산화물 저감 장치를 설치하고 기존의 전기집진기를 여과집진기로 전환하는 등 오는 2027년까지 총 1400억원을 환경설비에 투자할 방침이다. 한라시멘트는 2·3호 예열기 개조에 1000억원을 투자하는 것을 비롯해 매년 친환경 설비 유지보수에 220억원 정도를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