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장비 중국 반입 열리나…최악 지나는 반도체 업계
반도체 업계 악재가 조금씩 해소되는 분위기다. 다만 시장이 회복하기까지는 여전히 갈길이 멀다는 게 중론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한국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중국 장비 반입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앞서 미국은 지난해 중국에 첨단 반도체 장비 반입을 통제하는 규제를 시작한 바 있다.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는 1년간 유예를 적용했지만, 기간이 끝나는 오는 10월부터는 추가로 장비를 반입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컸다. 최근 미국이 유예를 연장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왔지만, 장기적으로 투자 계획을 세워야하는 반도체 산업 특성상 불확실성으로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문제는 여전했다. 특히 미국 정부가 반도체 투자 보조금에 적용하는 가드레일 조항에도 중국 투자 제한 내용을 포함하면서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내 반도체 업계에는 막대한 피해가 예상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미국이 중국으로 반입할 수 있는 반도체 장비 수준을 정하는 대신, 기간에는 따로 제한을 두지 않는 내용을 검토중일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현실화하면 중국 공장을 첨단 기지로 활용하기는 여전히 어렵겠지만, 범용 제품을 만드는 데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중국 현지 공장을 레거시 제품 중심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시안 반도체 공장은 128단 낸드를, SK하이닉스 우시 공장은 2세대 10나노(1y)급 D램과 함께 인텔에서 인수한 다롄 공장에서는 144단 낸드까지를 만들어왔다. 미국이 첨단 반도체로 규정한 제한 수준이다. 최첨단 노광장비인 ASML EUV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EUV 없이도 생산 효율을 높일 대안도 새로 마련되고 있다. 아직 심자외선(DUV) 장비 반입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방침이 정해져있지 않고, 일본 캐논이 만드는 나노 임프린트 리소그래피(NIL)장비 도입도 꾸준히 거론된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좌우하는 전방 산업도 모처럼 기지개를 켜는 모습이다. 구글이 신형 스마트폰 '픽셀 폴드'를 공개할 예정, 중국 바이두도 스마트폰을 만들겠다고 나서는 등 신제품 출시가 본격화하고 있다. 반도체 시장이 저점에 다가왔다는 분석도 힘을 얻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최근 컨퍼런스콜에 2분기 부터는 반등을 점친 가운데, 증권가에 이어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최근 반도체 경기 흐름과 거시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통해 3분기 전에 저점에 근접할 것으로 내다봤다. 컴퓨터와 모바일기기 교체 주기가 임박했다는 이유다. 삼성전자가 단행한 감산 효과도 조만간 본격화될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다만 완전한 '업턴'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우려도 적지 않다. 메모리가 경기 영향을 많이 받는 업종인데, 글로벌 경기 침체가 좀처럼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 수요가 늘지 않으면 가격도 오르지 않는 탓에 내년까지도 수익을 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도 나온다. 실제로 트렌드포스는 전분기 대비 2분기 D램 평균판매가격(ASP) 하락폭을 최대 15%에서 18%로 확대 전망했다. 수요 축소를 감산 효과로도 상쇄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다. /김재웅기자 juk@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