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
기사사진
[2018평양정상회담] 文 “김정은 2차 회담 원해” 북미대화 급물살

북한 비핵화를 위한 제2차 북미회담이 이르면 연내 열릴 전망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오후 남북 정상회담 대국민 보고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비핵화, 북미 대화와 관해 많은 대화를 나눴다"며 "첫날 회담도 대부분의 시간을 비핵화 논의에 사용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이 확고한 비핵화 의지를 거듭 확약했다"며 "가능하면 빠른 시기에 완전한 비핵화를 끝내고 경제발전에 집중하기를 희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김 위원장은) 미국이 6·12 북미 정상회담 4개 사항에 상응하는 조치를 하면 영변 핵 시설의 영구적 폐기를 포함한 추가적인 비핵화 조치를 계속 할 용의 있음을 표명했다"며 "다시 한 번 분명 밝히는 차원에서, 우선 동창리 (미사일) 시험장과 발사대를 유관국 참가 하에 영구 폐기를 확약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대국민 보고에서 이번 '9월 평양 공동선언'에 담긴 '영구 폐기' 용어에 대해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와 같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이 비핵화 과정 진행을 위해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과 트럼프 대통령과의 2차 정상회담이 조속히 열리길 희망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회담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폼페이오 장관이 리용호 북한 외무상을 뉴욕으로 초대한 점을 볼 때,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연내 열릴 가능성이 높아진 셈이다. 문 대통령은 이번 회담 최대 관심사였던 '종전 선언' 개념에 대해서도 "평화 회담의 시작을 위한 정치적 선언"임을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군사적 긴장 완화를 위한 비무장지대 무장 해제 조치에 대해 유엔사 지위와 주한미군 철수 관련 논란이 일어난 데 대한 반응이다. 주한미군 배치는 남북 간 전쟁이 끝났다는 정치적 선언 이후 본격적인 평화 협정이 이어질 때, 동맹 당사국인 한국과 미국이 논의할 문제라는 설명이다. 그는 "우리가 사용하는 종전선언 개념은 원래 65년 전 정전 협정 당시 그해 내 빠른 시기에 하기로 한 전쟁 종식 선언이었다"며 "평화협정을 하겠다는 약속이 65년 간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 출발로 우선 전쟁을 종식한다는 정치적 선언을 하고, 평화협정 체계를 위한 협상의 출발점으로 삼아 북한이 완전 비핵화를 할 때 평화 협정과 함께 북미 관계를 정상화 한다는 것이 우리의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것이(종전선언이) 마치 평화체제 비슷하게 생각해서 유엔사의 지위 해체라거나 주한미군이 철수 압박을 받게 하는 효과가 생긴다거나 하는 것은 이를 평화협정처럼 생각하는 개념 같다"며 "김 위원장도 저와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2018-09-20 19:48:04 이범종 기자
기사사진
文 대통령 "연내 종전선언 목표하고 있다"(종합)

문재인 대통령은 "연내 종전선언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문 대통령은 20일 오후 서울 동대문 DDP에 마련된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대국민보고를 통해 "가급적 종전선언은 조기에 이뤄지는 게 좋겠다고 생각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은 풍계리 핵실험장을 완전히 폐기했다. 언제든 검증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동창리 미사일 엔진시험장과 발사대도 폐기한다면 북한은 추가적인 미사일 발사도 할 수 없게 되고, 미사일을 더 발전시켜나가기 위한 일도 할 수 없게 된다"면서 "더 나아가서 (미국의)상응하는 조치가 있을 경우 북한 핵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영변 핵시설도 영구히 폐기할 용의가 있다고 천명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그렇다면 그에 대해 미국측에서도, 우리로서도 북에 대한 적대 관계를 종식시켜나가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면서 "종전선언은 이제 적대관계를 종식시키자는 것으로 이를 통해 북한에 신뢰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종전선언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가 사용하는 종전선언의 개념은 그 출발로 정치적 선언을 먼저하고 평화협상의 출발점으로 삼아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이룰 때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것을 말한다"면서 "김 위원장도 제가 생각한 종전선언과 똑같은 개념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적대관계를 끝내겠다는 정치적 선언이 중요하다. 그와 함께 평화협정 체결을 위한 협상이 시작되는 것이다. 이는 완전한 비핵화를 시작하는 것이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주한 미군은 한미동맹에 의해 주둔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종전)선언과는 무관하다. 김 위원장도 동의했고, 관련 개념이 정리된다면 빠르게 전달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런 가운데 사흘간 문 대통령을 만난 김 위원장은 완전한 비핵화를 끝내고 경제발전에 집중하고 싶다는 희망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문 대통령은 "지난 3일간 김 위원장과 비핵화와 북미대화에 대해서 많은 대화를 나눴다"면서 "첫 날 회담에서도 대부분의 시간을 비핵화를 논의하는 데 사용했고, 김 위원장은 확고한 비핵화 의지를 거듭 거듭 확약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2박3일간의 평양정상회담 마지막 일정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백두산을 함께 오른 뒤 삼지연 공항에서 공군 2호기를 타고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 이날 오후 늦게 국내외 취재진이 몰려있는 서울 프레스센터를 깜짝 방문했다.

2018-09-20 19:33:34 김승호 기자
기사사진
프레스센터 방문한 문 대통령, "올해 안 종전선언 목표" (상보)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이 20일 서울 프레스센터를 방문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대국민보고를 통해 '북의 비핵화를 통해 연내에 종전선언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20일 오후 6시 30분쯤 서울 프레스센터를 방문한 문 대통령은 "정상회담 기간 동안 대부분의 시간을 비핵화를 논의하는데 사용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확고한 비핵화 의지를 거듭거듭 확약했는데, 가능한 한 빠른 시기에 완전한 비핵화를 끝내고 경제발전에 집중하고 싶다는 희망을 밝혔다"고 전했다. 다만 문 대통령은 "종전선언에 대한 개념이 다른 것 같다. 우리측의 개념은 평화협상(종전선언)의 출발점으로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이루는 것이고, 이후 평화협정이 이뤄지는 것이다. 김위원장도 제가 생각하는 것과 똑같은 개념으로 종전선언을 생각하고 있고, 완전한 비핵화가 시작되면 평화협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측의 조속한 비핵화를 통해 연내 종전선언을 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문 대통령은 사흘 뒤인 23일 유엔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한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대통령을 만나고 중재외교에 돌입할 예정이다. 평양에서 이뤄진 남북정상회담 결과를 공유하고 북한 비핵화 문제와 체제보장 문제애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통해 교착상태에 있는 북미간 대화를 촉진시키려는 의도다.

2018-09-20 19:18:19 나유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