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이현우의 '무림학교' 입학이 안쓰러워
[기자수첩] 이현우의 '무림학교' 입학이 안쓰러워 배우 이현우의 '무림학교' 입학은 과연 옳은 선택이었을까. KBS2 월화드라마 '무림학교'가 당초 20부작에서 16회로 축소 편성이 확정되면서 올해 첫 조기종영 드라마라는 오명을 안게 됐다. 홈페이지에 '무림학교'는 취업과 스펙쌓기가 목적이 아닌, 정직, 신의, 희생, 소통, 관계 등 사회에서 꼭 필요한 덕목을 배우는 참교육 과정을 그린 글로벌 청춘액션드라마로 소개돼있다. 과연 이 소개글에 걸맞는지는 의문이다. 제작발표회 당시 이소연 KBS 드라마 제작 PD는 "기존 학교 시리즈와는 다를 것"이라며 "청춘의 성장, 화려한 액션을 수준 높게 그리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수준 높은 드라마는 커녕 '색다른 학원물'도 아니었다. 엉성한 스토리와 말도 안되는 판타지 설정, 낯간지러운 CG까지 더해져 '병맛(맥락 없고 형편없으며 어이없음)'으로 치달았다. 특히 시도때도 없이 남자배우들의 상의 탈의 장면은 개연성 없는 스토리를 더 빈약하게 만들었다. 연기 경험이 전무한 다국적 배우들의 '발연기'도 시청자의 몰입도를 떨어뜨렸다. 시청자의 외면은 시청률로 증명됐다. 지난달 11일 5.1%의 시청률(닐슨코리아)로 스타트를 끊은 '무림학교'는 꾸준히 시청률 하락세를 보이더니 1일 방송한 7회는 3.5%를 기록했다. 결국 투자비용과 시청률을 놓고 KBS와 제작사는 입씨름을 벌였고, '무림학교'는 16회 조기종영이 결정됐다. 설 연휴가 있는 2월 둘째주에는 설 특선영화로 대체된다. 출연진은 무슨 잘못인가. 주인공 이현우는 톱아이돌이라는 설정에 맞게 댄스 연습과 보컬 트레이닝, 무술 훈련까지 받았다. 하지만 드라마 내용이 산으로 가다보니 그의 연기력까지 논란에 휩싸였다. 동반 성장하던 박보검이 tvN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을 통해 대세로 자리매김한 것과 대조되는 결과다. 신현준, 이문식, 신성우 등 선굵은 연기파 배우들에게도 굴욕이 아닐 수 없다. 제작진이 글로벌 콘텐츠를 앞세워 다양한 국적의 방송인을 섭외하기보다 탄탄한 스토리와 연출에 힘을 쏟았다면 어땠을까. 조기종영으로 10회도 채 안남은 '무림학교'는 우정도, 사랑도 깊이있게 그려내지 못했다. 시청자가 더 지치기 전에 현실적이고, 감동적인 이야기를 풀어놓는 건 어떨까. [!{IMG::20160202000072.jpg::C::480::이현우./KBS2 '무림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