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면으로 된 '스피어X', 스크린과 하나 된다
영화를 극장에서만 본다는 것은 이제 옛이야기가 됐다. 많은 사람들이 극장이 아닌 다른 플랫폼으로 영화를 관람한다. IPTV·스마트폰·태블릿 PC 등 이제는 언제 어디서든 영화를 즐길 수 있는 시대가 됐다. 이러한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극장은 다른 플랫폼과의 차별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은 바로 극장에서만 가능한 '몰입도' 있는 관람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다. 스크린, 좌석, 사운드, 그리고 영사 장비를 꾸준히 업그레이드하면서 오직 극장에서만 가능한 경험을 만들어내는데 온힘을 쏟고 있다. CJ CGV는 28일 오전 서울 CGV 영등포에서 'CGV 상반기 미디어 산업 포럼'을 열고 극장 기술의 새로운 트렌드를 소개했다. 이와 함께 CJ CGV가 자체 개발한 새로운 영사 시스템 '스피어X(SphereX)'를 언론에 첫 공개했다. 최근 극장은 아이맥스(IMAX)를 비롯해 다양한 영사 시스템으로 관객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CJ CGV는 2005년 국내 최초로 아이맥스 상영관을 도입하며 이런 흐름에 동참했다. 오감 체험 상영관 4DX와 양 벽면까지 스크린으로 활용하는 다면 상영 기술 스크린(ScreenX) 등을 자체 개발해 해외 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해왔다. 이날 첫 선을 보인 스피어X는 공간적 몰입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반구(半球) 형태의 상영관이다. 상영관을 들어서면 스크린의 사면이 곡면으로 기울어져 있는 모습이 눈에 띈다. 기존의 평면으로 된 스크린은 2D를 중심으로 설계돼 TV·스마트폰·태블릿 PC와 큰 차별점을 보여주지 못했다. 반면에 스피어X는 스크린 자체를 곡면으로 만들어 몰입감을 살리는데 초점을 맞췄다. 3D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실링 스피커(ceiling speaker), 객석 별로 최적화된 시야각을 제공하는 레이 백 체어(lay back chair)를 설치해 관객이 스크린과 하나가 되는 경험을 선사하는데 중점을 뒀다. 이날 발표에서는 '박물관이 살아있다3'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등 2D 영화와 '업' 등의 3D 애니메이션 예고편을 시연해 스피어X만의 몰입감을 느껴보는 시간도 함께 마련됐다. 2D 영화의 경우에는 기존 평면 스크린과 큰 차이를 느끼기 힘들었다. 보다 자연스럽게 스크린을 바라볼 수 있다는 정도였다. 반면 3D 영화에서는 몰입도가 기존 평면 스크린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았다. 입체감 있는 영화를 즐기기에는 최적의 시스템이었다. CJ CGV 영사팀 박노찬 팀장은 "스피어X를 만들면서 고민한 건 하나였다. 어떻게 몰입도 있게 볼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며 "돔 시어터의 강점을 멀티플렉스에 끌고 오되 일반적으로 영화를 볼 수 있게 하자는 것이 스피어X의 출발점이었다"고 설명했다. 관객들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박노찬 팀장은 "스피어X를 접한 관객들이 '화면이 나를 감싸안는 것 같다' '사운드가 풍부하다'는 반응을 많이 보였다"고 전했다. 다만 "스피어X는 상영관 앞에서 봐야 몰입도가 최적이 된다. 그러나 많은 관객들이 상영관을 선택할 때 뒷자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를 어떻게 바꿀 수 있을지 고민 중이다"라고 고민도 털어놨다. 보다 몰입도 있는 영화 관람을 위한 CGV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된다. 스피어X는 현재 국내에서 CGV 천호와 영등포 2개관에서 운영되고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상영관을 늘려갈 계획이다. 또한 스크린X와 4DX, 그리고 3D 입체 사운드 시스템인 사운드X를 결합한 미래형 복합 특별관도 개발 과정에 있다. 박노찬 팀장은 "IPTV와 모바일의 등장으로 영화관의 미래에 대해 어두운 전망이 많은 것이 사실"이라며 "CJ CGV는 이런 상황 하에서 스피어X, 스크린X, 4DX 등 토종 기술력이 녹아든 상영관을 지속 개발함으로써 글로벌 극장 트렌드를 주도해나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