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우대금리 간극 '최대 6배'…"체크카드 찬밥신세?"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에 적용하는 우대금리를 카드별로 최대 6배나 다르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신학용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시중은행 우대금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신용카드의 우대금리는 최대 0.3%, 체크카드의 우대금리는 최대 0.1%에 그쳤다고 밝혔다. 은행별로는 씨티은행의 우대금리 차이가 가장 컸다. 씨티은행은 신용카드에 최대 0.3%의 우대금리를 적용했고, 체크카드에는 최대 0.05%의 우대금리를 적용해 6배 차이를 보였다. KB국민은행은 신용카드에 최대 0.3%, 체크카드에는 최대 0.1% 우대금리를 적용해 3배 차이를 보였으며,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은 2배 차이를 기록했다. 우대금리를 아예 주지 않거나 신용카드에만 적용하는 곳도 있었다. 외환은행은 신용카드에만 최대 0.1%의 우대금리를 적용했고, SC은행은 신용·체크카드에 대한 우대금리를 적용하지 않았다. 반면 하나은행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신용카드와 체크카드의 차별을 두지 않았지만 모두 최대 0.1%의 우대금리만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은행권의 신용·체크카드 우대금리 간극에는 '수익성'이 자리잡고 있었다. 신용카드는 연회비 카드론 연체이자 등 부가수익이 있고, 사용실적도 체크카드에 비해 약 5배정도 더 많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신 의원은 "금융당국이 지난 2013년 가계부채를 완화하기 위해 체크카드 사용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상을 밝혀보니 허언장담이었다"며 "시중은행은 체크카드 이용고객을 우대하기는커녕 신용카드와 차별하는 행태를 지속해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금융당국은 체크카드 활성화 정책만 발표하고, 우대금리에 대한 내용은 한 번도 지적하지 않았다"면서 "가계부채 감소라는 좋은 취지에서 나온 정책인 만큼 가계대출 우대금리에 있어서도 체크카드도 신용카드와 동일한 혜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