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여금·성과급 잔치" 작년 기업, 노동자 1명당 월 585만원 썼다…대기업 더 많아
지난해 국내 기업이 근로자 1명당 쓴 비용이 월평균 585만원으로 전년보다 44만2000원(8.2%)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과 함께 4대 보험료, 복지비 등이 늘어난 것도 있지만 코로나19 이후 상여금, 성과급 등이 대폭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대기업일수록 노동비용이 커 중소기업과의 임금 등 처우 격차는 더 벌어졌다. 2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1 회계연도 기업체 노동비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10인 이상 기업체 3500여곳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은 585만원으로 집계됐다. 여기서 노동비용은 기업이 노동자를 고용하면서 부담하는 모든 금액을 말한다. 급여와 성과급, 상여금 등은 직접노동비용으로, 4대 보험료 회사 부담분, 퇴직금, 교통비, 식대, 교육훈련비 등은 간접노동비용으로 꼽힌다. 지난해 직접노동비용은 462만7000원으로 전년대비 8.0%, 간접노동비용은 122만4000원으로 8.8% 각각 증가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임금 수준이 낮은 서비스업 근로자 수가 감소하면서 전체 근로자의 평균 임금이 상승한 효과로 보인다"며 "2년간 축소됐던 상여금, 성과급이 확대되는 등 직접노동비용이 증가하고, 퇴직연금 연간 적립액도 증가해 간접노동비용도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정액·초과 급여는 전년보다 5.3% 증가한 382만3000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상여금과 성과급은 80만3000원으로 전년대비 22.9% 큰 폭으로 늘었다. 이 밖에 퇴직급여 등 비용은 52만9000원으로 12.1%, 4대 보험료 등 비용은 42만1000원으로 5.9%, 교통비와 식대 등 복지비는 24만9000원으로 6.5% 각각 증가했다. 노동비용으로 본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는 여전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1인당 월평균 노동비용은 479만5000원으로 전년대비 5.2% 증가할 때 300인 이상 대기업은 712만9000원으로 10.1% 늘었다. 노동비용으로 비교하면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의 67.3% 수준이다.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의 노동비용 수준은 2018년 67.8%에서 2019년 68.2%, 2020년 70.3%으로 커졌다 지난해 소폭 줄어들었다. 다만, 이는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성과급 등 지급이 줄어들면서 대기업의 노동비용이 크게 감소한 것과 비교했기 때문에 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게 정부 분석이다. 산업별 노동비용을 보면 금융·보험업이 1057만2000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전기·가스 공급업(919만6000원), 제조업(662만6000원) 순이었다. 사업시설관리·임대서비스업은 301만1000원으로 가장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