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기사사진
이진우 KAIST 교수, 다공성 2차원 무기질 합성 신기술 개발…“리튬-황 전지 성능 ↑”

이진우 카이스트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카이스트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서로 다른 크기의 기공을 동시에 갖고 있는 다공성 2차원 무기질 나노코인을 합성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이는 리튬-황 이차전지 분리막에 코팅해 전지의 성능을 높이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23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이광형)에 따르면, 이진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합성기술은 다공성 무기질 소재를 동전처럼 둥글고 납작한 형상으로 제어할 수 있고, 크기 및 두께 등의 물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이는 리튬-황 이차전지의 분리막에 사용돼 리튬-황 전지의 성능 저하 원인으로 꼽히는 리튬폴리설파이드의 용출을 효과적으로 억제해 성능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의 다공성 2차원 무기질 소재의 합성 방법은 기판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주형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소재의 형상 원판처럼 제어함과 동시에 두께를 조절해야 했다. 또한,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공정을 도입해야만 한다. 고분자 블렌드를 이용한 다공성 2차원 무기질 나노코인의 합성에 대한 모식도와 실험 결과./카이스트 제공 이진우 교수 연구팀은 블록공중합체와 단일중합체의 고분자 블렌드의 상거동을 이용해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합성 방식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다공성 2차원 무기질 나노코인을 3나노미터(㎚) 두께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나노코인은 동전과 같이 둥근 모양이면서 두께가 약 3㎚인 2차원 나노 소재를 말한다. 서로 섞이지 않는 단일중합체와 블록공중합체의 계면에너지가 달라짐에 따라서 나노구조의 배향과 입자의 모양이 달라지는 원리다. 이 합성 방법은 별도의 주형이 필요하지 않은 간단한 원팟(one-pot) 방법으로 기존의 복잡한 과정을 혁신적으로 줄여 생산력을 증대시켰다. 이를 이용해 연구팀은 다공성 2차원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나노코인을 차세대 전지인 리튬-황 이차전지의 분리막에 코팅해 리튬-황 전지의 성능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나노코인의 다공성 구조는 전해질과 리튬이온은 통과시키면서도, 리튬폴리설파이드는 필터처럼 걸러 물리적으로 막아준다. 또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고체산으로 염기성질을 가진 리튬폴리설파이드를 흡착해 용출을 억제한다. 이진우 생명화학공학과 교수는 "이를 통해 분리막의 두께 대비 용량 향상시켜 세계 최고 수준의 결과를 얻었다"며 "블록공중합체의 분자량 및 고분자 대비 질량을 조절해 손쉽게 나노구조(넓이 및 두께)를 조절할 수 있고 다른 소재로의 확장도 가능하여 맞춤형 나노소재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진우 교수 연구실의 김성섭 박사(現 전북대 교수)가 주도하고 임원광 박사가 참여한 이번 연구 결과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JACS)' 2021년 9월 1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1-09-23 14:08:28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내달부터 전기요금 kWh 당 3.0원 인상… 4인가족 월 1050원↑

내달부터 3개월간 전기요금이 킬로와트시(kWh) 당 3.0원 인상된다. 4인가족 기준 월 최대 1050원 오르는 수준이다. 최근 상승세인 물가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한국전력은 23일 홈페이지에 2021년 10~12월분 연료비 조정단가 산정내역을 공지하며 올해 10~12월분 연료비 조정단가를 kWh당 0원으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분기(-3원)보다 3원 오른 것으로 2013년 11월 이후 약 8년 만에 처음으로 전기요금이 인상된 것이다. 다만, 올해 1분기 내렸던 것을 다시 회복한 것으로 전년과 같은 수준으로 되돌아간 셈이다. 이에 따라 월평균 350kWh를 사용하는 4인 가구의 전기료는 매달 최대 1050원 인상된다. 이번 인상은 올 1월부터 도입된 연료비 연동제에 따른 것으로, 전기 생산에 드는 연료비가 증가하면서 전기료를 올린 첫 사례다. 연료비 조정 요금은 실적연료비(직전 3개월간 평균 연료비)와 기준연료비(직전 1년간 평균 연료비)의 차이를 요금에 적용한 값이다. 올해 6~8월 유연탄(이하 세후 기준 kg당 평균 151.13원), LNG(601.54원), BC유(574.40원)의 합계는 355.42원 으로 기준연료비(289.07원) 대비 66.35원 올랐다. 여기에 전력 1kWh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연료투입량인 변환계수(0.1634)를 곱한 값인 연료비 조정단가는 10.8원으로 급등했지만, 분기별 조정폭 상한에 따라 직전 요금 대비 3원까지만 변동됐다. 앞서 올해 2·3분기에도 국제유가 지속 인상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발생했지만, 정부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어려움을 겪는 상황과 물가 인상 압박 등을 고려해 전기료 인상을 유보했었다. 정부가 이번 4분기 전기요금 인상을 결정한 건 연료비 인상으로 인한 적자 누적을 더 이상 감내하기 힘들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이번 전기요금 인상에 따라 최근 5개월 연속 2%를 기록한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클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2021-09-23 13:56:20 한용수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 트래블] 서울관광재단, 어기영차 서울 시리즈 '태권도와 댄스' 영상 선봬

[메트로 트래블] 서울관광재단, 어기영차 서울 시리즈 '태권도와 댄스' 영상 선봬 태권도 영상 썸네일 사진=서울관광재단 서울시와 서울관광재단은 '2021 YOUR SEOUL GOES ON'(어기영차! 서울!) 캠페인의 두 번째 영상인 '어기영차 태권도' 편 23일 세 번째 영상인'어기영차 댄스' 편 10월 7일 각각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코로나19 펜더믹으로 국내외 여행이 어려운 시대에 '서울은 계속된다. 가장 서울답게'라는 슬로건 아래 가장 서울다운 모습으로 서울과 서울 시민들의 소소한 일상을 보여 줌으로써 서울의 도시 브랜딩을 강화하고 궁극적으로는 코로나19 이후 서울 방문을 유도하고자 기획됐다. 총 3편의 영상으로 구성된 '어기영차 시리즈'는 전 세계가 코로나19로 위기를 겪고 있고 자유롭게 여행할 수 없는 상황에서 서울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이른 시일 내에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는 응원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마련했다. 9월 23일, 오후 4시 비짓 서울을 통해 공개될'어기영차 태권도' 편에서는 태권도 군무를 통해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얻고 있는 K-타이거즈와 함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가 공존하는 서울의 긍정적인 에너지가 펼쳐질 예정이다. 영상은 태권도의 절도 있고 아름다운 동작을 서울의 관문이자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담은 "G7(GATE 7) 명소"를 배경으로 촬영됐다. 서울의 과거의 모습은 은평 한옥마을, 독립문에서, 서울의 멋스러운 현재의 모습은 건대 맛의 거리, 하늘공원, 그리고 서울의 미래는 세빛섬,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 서초 누에다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10월 7일에는 어기영차 캠페인의 세 번째 영상인 '어기영차 댄스' 편에서는 한국 힙합에 혜성처럼 등장해 독자적인 영역을 만들어 평가를 받는 DPR 크루와 '스트리트 우먼 파이터'를 통해 최근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안무가인 모니카가 출연해 서울의 25개 자치구 곳곳의 다양한 매력을 노래와 춤으로 선보인다. 특히 댄스 편 음악 제작에 DPR 크루가 직접 참여해 출연한다는 점에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또한 '어기영차 댄스'는 누구나 따라 하기 쉽고 재미있는 댄스 동작으로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모션이며, '어기영차 댄스 챌린지'로 이어질 예정이다. 서울관광재단 이준 글로벌마케팅팀장은 "전 세계적으로 모두 어려운 시기에 어기영차 서울 시리즈에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싶었다며, 특히 태권도가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은 이 시점에 시의적절하게 제작된 태권도 영상의 강한 에너지와 누구나 따라 하기 쉬운 댄스 영상을 통해 이 위기를 슬기롭게 이겨 나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 모두 다 같이 어기영차 힘을 낼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2021-09-23 13:36:10 이연근 기자
기사사진
지안건설, 차용증도 없이 하청업체서 1억여원 쓰고 이자도 안줘… 공정위 시정명령

정부세종청사 공정거래위원회 /메트로신문DB 세종특별자치시 소재 지안건설(주)이 차용증도 없이 하청업체로부터 1억여원을 쓰고 이자도 지급하지 않는 등 갑질을 일삼은 것으로 드러났다. 건설산업지시정보시스템 등에 따르면 지안건설은 2020년 기준 시공능력평가액 127억2400만원 규모 업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안건설이 수급사업자에게 토공사를 위탁하면서 부당한 특약을 설정한 행위, 경제적 이익을 부당하게 요구한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을 부과하기로 결정했다고 23일 밝혔다. 공정위 조사 결과, 지안건설은 2019년 10월 24일 수급사업자에게 부여 규암지구 친수구역 조성공사 중 토공사를 건설위탁하면서 하도급계약서와 별도로 '공사약정서'를 작성, 원사업자 자신이 부담해야 할 비용을 수급사업자에게 전가하는 계약 조건을 설정했다. 해당 약정은 공사 중 발생 민원 및 발주처 업무처리비용, 안전 관리나 사고에 대한 책임과 모든 비용, 인·허가, 환경관리 등 대관업무의 모든 책임과 비용을 수급사업자에게 부담토록 했다. 지안건설은 아울러 수급사업자에게 두 차례에 걸쳐 총 1억2000만원을 제공할 것을 요구해 제공받으면서 차용증서를 작성해주지도 않았고 이자도 지급하지 않았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조치는 부당 특약 설정행위 및 수급사업자에게 금전을 요구해 제공받은 행위에 대해 제재 조치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이번 조치를 계기로 건설업계에서 관행적으로 이뤄지는 행태가 개선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2021-09-23 12:00:25 한용수 기자
기사사진
언론7단체, 언론중재법 개정 논의 중단 촉구

언론7단체는 23일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 클럽에서 '언론의 자율규제 강화를 위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언론중재법 개정 논의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손진영기자 한국인터넷신문협회 등 언론7단체는 여야 협의체가 진행 중인 언론중재법 개정 논의를 즉각 중단하라고 다시 한번 촉구했다. 한국인터넷신문협회, 방송기자연합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한국신문협회, 한국여기자협회 등 언론7단체는 23일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 클럽에서 '언론의 자율규제 강화를 위한 공동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언론7단체는 "현행 언론중재법 개정안의 골격이 그대로 유지된다면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악법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면서 언론 피해자 구제법이라는 여당의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대한 주장에 "실제 피해 구제 강화 효과는 거의 없고, 모호하고 무리한 개념을 법률에 적용해 권력에 대한 감시 기능을 훼손하고 언론 자유만 침해할 것이라는 우려와 비판이 광범위하게 제기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의춘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회장은 모두 발언을 통해 현재 여야가 논의 중인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대해 "언론을 겁박하는 도구로 악용될 가능성이 너무도 큰 악법이다"면서 "헌법적 가치를 훼손하는 위헌적 입법으로 반드시 중단돼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이어 "언론중재법 개정안을 통해 언론에 재갈을 물리는 말 그대로 '언론재갈법'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언론7단체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언론중재법 개정안은 결코 언론 신뢰 회복과 좋은 저널리즘을 만들 대안이 아니다"면서 '통합형 언론자율규제기구' 설립 등 언론 신뢰 회복과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실천방안을 제시했다. /한창대기자 cd1@metroseoul.co.kr

2021-09-23 11:42:17 한창대 기자
기사사진
인하대, 학생 공모전 통해 공기업 ESG경영 혁신 아이디어 찾는다

지역 공기업-대학생, 경영 혁신 위한 콜라보 ESG경영 참신한 아이디어 위한 대학 최초 공모전 인하대학교 본관/인하대 제공 인하대학교(총장 조명우)는 대학 최초로 인천지역 공기업의 ESG경영 혁신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학생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대상 공기업은 인천국제공항공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한국환경공단,인천교통공사 등 4개 기관이다. 인하대 학부생으로 구성된 12개 팀들이 3개월 간 이들 공기업을 대상으로 ESG경영 혁신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12월 초에 경진대회를 개최해 우수 사례를 시상한다. 인하대 경영대학에서 주최하는 이번 공모전에서는 ESG경영을 위한 혁신 아이디어를 발굴해 인천지역 공기업이 지역사회 발전에 더욱 공헌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기업 경영에서 ESG경영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적 요소로 자리잡았다. 특히 기업의 환경보호(Environment)와 사회공헌(Social), 윤리경영(Governance)을 주요 가치로 삼는 ESG경영은 영리를 주목적으로 하는 사기업보다 국민복지와 사회발전에 주목적을 둔 공기업에 더욱 요구되고 있다. 공모전에 참여하는 공기업에서는 학생들의 프로젝트 수행 시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지원할 직원 1명 이상을 배정하게 되며 인하대에서는 교수와 전문가가 배정돼 학생 팀들을 멘토링하게 된다. 이 공모전 운영을 주관하는 박승욱 경영학과 교수는 "ESG경영이 우리 사회에 중요하다는 것을 대학생들에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이 사업을 기획하게 됐다"며 "이 사업을 통해 ESG경영을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는 참신한 아이디어들이 많이 발굴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1-09-23 11:31:45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취준생 5명 중 3명 '면접 들러리 경험'…"특정 지원자에게만 질문 쏟아질 때"

면접 들러리 경험자 절반 취업 의욕 상실 잡코리아 조사, 취준생 607명 대상 '면접 들러리' 주제 설문조사 올해 면접을 치른 취업준비생 10명 중 6명이 면접에서 '들러리'라고 느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잡코리아 제공 올해 면접을 치른 취업준비생 60%가 면접에서 '들러리'라고 느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준생들은 면접장에서 특정 지원자에게만 질문이 편중될 때 '들러리'라고 느끼는 경우가 많았으며 면접 들러리 경험자 절반은 취업 의욕을 상실하는 감정을 느꼈다고 답했다.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올해 면접을 치른 적이 있는 취준생 607명을 대상으로 '면접 들러리'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취준생61.4% 이 '면접 중 자신이 들러리라고 느껴진 적이 있었다'고 답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62.2%로 여성(60.9%)보다 소폭 높았다. 취업을 목표로 하는 기업 유형에 따라서는 공기업이 65.3%, 외국계기업이 63.8%로 소폭 높았으나 대기업(61.1%) 및 중소기업(58.5%) 지망 취준생이 들러리로 느낀 비중도 적지 않았다. 취준생들이 자신을 면접 들러리처럼 느낀 이유(*복수응답, 이하 응답률)는 다양했다. 1위는 '특정 지원자에게만 질문이 쏟아져서(32.4%)'가 차지했으며, ▲내정자가 이미 있는 것처럼 느껴져서(31.4%) ▲나에게 질문하거나 응답을 듣는 태도가 건성처럼 느껴져서(24.4%) ▲질문을 거의 받지 못해서(20.1%) ▲나한테만 압박·송곳 질문이 이어져서(19.3%)라는 응답이 이어졌다. 이 외에도 ▲면접 과정에서 오던지 말던지라는 인상을 받아서(18.5%) ▲특정 지원자에게 면접관이 계속 호의적이라는 인상을 받아서(12.6%) ▲나를 무시하는 듯한 발언, 태도 탓에(9.1%) ▲내 지원서와 다른 지원자의 지원서에 대한 숙지도가 달라서(5.9%) 등의 응답도 있었다. 자신이 들러리라고 느껴지는 경우에도 대부분의 취준생들은 최선을 다해 면접에 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들러리라고 느꼈던 면접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묻는 질문에 51.2%의 취준생이 '아무렇지 않은 듯 준비한대로 담담히 임했다'고 답한 것. 19.6%의 취준생들은 '오히려 더 필사적으로 임했다'고 답하기도 했다. 반면 '포기하고 편안히 임했다(25.7%)', '어차피 떨어질테니 대충 임했다(3.5%)'고 답한 취준생들도 있었다. 특히 면접장에서 취준생들이 가졌던 느낌은 대체로 합격 당락으로 이어졌다. 들러리라고 느꼈던 취준생의 81.5%가 '해당 면접에서 탈락했다'고 밝힌 것. 반면 들러리라고 느끼지 않았던 취준생들의 탈락 비중은 51.3%로 30.2%P낮았다. 다만 잡코리아는 똑같이 들러리라고 느꼈다고 하더라도 면접에 임하는 태도에 따라 결과는 다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어차피 떨어질 테니 포기하고 대충' 임했다고 밝힌 취준생 그룹에서의 합격률은 0%였으며 반면, '오히려 필사적으로' 임했다고 밝힌 취준생 그룹에서는 31.5%가 합격했다고 밝혀 차이가 있었다. 한편 면접에서 '들러리였다'고 느꼈던 경험이 있다면 이후 구직 과정에서 더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면접 이후 구직과정에 미친 영향을 물은 결과 면접 들러리 경험이 있는 취준생 그룹에서는 ▲구직, 취업의욕이 떨어졌다(49.9%) ▲자격지심 등 슬럼프를 겪었다(30.0%) ▲짜증, 스트레스가 늘어 예민해졌다(23.1%) 등 부정적인 감정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면접 들러리라는 느낌을 받지 않았던 취준생 그룹에서는 해당 면접 이후 '고칠 점을 발견하고 나를 정비하는 새로운 준비의 계기가 됐다(33.8%)'는 취준생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면접 노하우를 익힐 수 있었다(29.5%) ▲반드시 취업에 성공하고야 말겠다는 의지를 일깨웠다(27.8%) 등의 긍정적인 피드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1-09-23 11:18:09 이현진 기자
기사사진
강윤극 세종대 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 교수, 개인전 성료

강윤극 세종대 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 교수가 서울 나루아트센터에서 개인전을 열었다./세종대 제공 세종대학교(총장 배덕효)는 강윤극 만화애니메이션텍전공 교수가 서울 나루아트센터와 한국 소리문화의 전당 갤러리 I에서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 개인전을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개인전에서는 강 교수가 지난 30여 년간 작업한 작품의 애니메이션 캐릭터들과 영화 캐릭터 30여점과 그래픽 작품 30여점을 선별해 전시했다. 서울 나루아트센터에서 진행된 개인전은 '내 생애 가장 열정적인 순간들의 작품들(Works of The Most Passionate Moments of My Life)'이라는 주제로 베어울프(Beowulf), 라푼젤( Rapunzel), 그린랜턴(Greenlantern) 등의 작품의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영화 캐릭터 30여 점이 전시됐다. 이어 한국 소리문화의 전당 갤러리 I에서 지난 12일부터 18일까 지 열린 전시회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Alice in Wonderland), 이글 아이(Eagle Eye), 저주받은(Cursed), 지포스(G-Force), 비신(Visine), 리스(Reese), 007 에이전트 언더 파이어(007 Agent Under Fire), 나는 전설이다(I Am Legend) 등 영화와 애니메이션, 광고 등에 등장한 캐릭터와 소품 등 다양한 컴퓨터그래픽 작품 30여 점이 전시됐다. 강 교수는 월트 디즈니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소니픽쳐스, 드림웍스, 덱스터 스튜디오 등에서 라푼젤, 슈렉,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글아이 등 40여 편의 영화와 애니메이션 작품에 영화 시각효과, 3D 애니메이션 전문가로 참여했다. 현재는 세종대 만화애니메이션텍 교수로 재직중이며, 컴퓨터그래픽 관련분야 강의와 연구를 수행 중이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

2021-09-23 11:05:06 이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