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월급 들어와도 16일이면 '텅빈 통장'… 대출이자 등 주거비 지출 많아
- 사람인, 직장인 600명 조사 결과… 다음 급여일까지 평균 46만 원 더 써 직장인들이 월급을 받은 뒤 평균 16일이면 다 소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의 월급 통장을 비우는 가장 큰 지출은 대출이자 납부 등 주거비였다. 31일 사람인이 직장인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5%는 다음 급여일 전에 월급을 다 써버려서 어려움을 겪는 '월급고개'를 경험하고 있었다. 평균 소진 기간은 16일로 약 보름 정도가 지나면 월급이 모두 사라지는 것이다. 다음 급여일 전에 월급을 다 쓰는 이유(복수응답) 1위로는 '대출 이자 등 빚이 많아서'(44.4%) 였다. 이어 '월세, 공과금 등 주거비 지출이 많아서'(42.6%), '가족 부양비를 책임져야 해서'(32.8%), '식비, 음주 등 외식비용이 많아서'(32.1%), '보험 등 고정비용이 높아서'(28.2%), '계획없이 지출해서'(22.1%), '문화생활 등 여가에 드는 비용이 많아서'(19.5%) 등이 있었다. 다음 급여일까지 월급 이상으로 지출하는 금액은 평균 46만원이었다. 기혼자와 미혼자의 차이가 있었는데, 기혼의 경우 월급 이상으로 평균 51만원을 지출했고, 미혼의 경우 평균 35만원을 월급 이상으로 사용했다. 가족부양과, 육아 등의 이유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월급고개' 기간 중 지출(복수응답)은 '신용카드 사용'(72.1%)으로 충당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반면 월급고개를 겪지 않는(35%) 직장인들은 그 이유(복수응답)로 '계획적인 소비생활'(54.3%), '소비활동 자제'(51.9%),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 현금 사용'(28.6%), '술, 담배 등을 줄이거나 하지 않음'(28.6%) 등을 꼽아 최대한 소비생활을 자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현재 월급에 만족하고 있을까. 직장인 80.3%는 현재 월급이 한달 생활을 하는데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설문 응답자들은 한달 생활을 위해 평균 384만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실제 월 급여는 평균 270만원으로 114만원의 차이가 발생해 현실과의 괴리감이 있었다. 한편, 최근의 근로시간단축과 최저임금 인상 등의 노동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2.7%가 '소득에 영향이 없어 상관없다'고 밝혔으며, 35%는 '급여가 조금 줄더라도 근로시간 단축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소득이 줄어 부정적이다'라고 생각하는 이들은 22.3%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