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1000억원 지원’ 글로컬대학에 20곳 예비지정…8월 초 확정
교육부가 학교당 5년간 1000억원을 지원하는 '글로컬대학30' 사업에 33개교의 20개 기획서가 예비 선정됐다. 지난해 예비지정을 통과했다가 본지정에서 고배를 마셨던 순천향대와 전남대 등 5곳은 이번 예비지정 대학에 포함됐다. '글로컬(Global+Local, 글로컬)대학30'은 세계적 수준의 지방대학을 목표로 오는 2026년까지 30곳을 선정해 5년간 학교당 국고 1000억원을 투입하는 정부지원 사업이다. 교육부 대학재정지원사업 중 개별 대학 재정지원 액수로는 최대 규모다. 교육부와 글로컬대학위원회(위원장 김중수)는 예비지정 평가위원회 평가와 글로컬대학위원회 심의를 거쳐 16일 '2024년 글로컬대학 예비지정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 109개교 65건 선청…올해 신설 '연합 유형'에 초광역 팀 다수 뽑혀 올해 평가에서는 기존 단일 대학이 추진하는 '단독' 유형, 복수 대학의 통·폐합을 전제로 한 '통합' 유형 외에도 '연합' 유형이 신설됐다. '연합' 유형은 학사 조직은 그대로 유지하고 대학을 운영하는 본부 수준에서 거버넌스를 통합하는 개념이다. 올해 사업에는 '단독' 유형 39개(39개교), '통합' 유형 6개(14개교), '연합' 유형 20개(56개교) 등 총 109개교가 65개 기획서를 제출했다. 평가 결과 이중 단독 유형에 ▲건양대 ▲경남대 ▲경북대 ▲대구한의대 ▲목포대 ▲순천향대 ▲연세대(미래) ▲인제대 ▲전남대 ▲한남대 ▲한동대 등 11곳이 선정됐다. 통합 유형에는 3곳이 본지정 평가를 받게 된다. ▲충남대·한밭대 ▲원광대·원광보건대와, 창원대·경남도립거창대·경남도립남해대 3개교 통합 및 한국승강기대와 연합을 구성하는 복합 유형까지 포함해 3곳이다. 신설된 연합 유형은 ▲동명대·신라대 ▲동신대·초당대·목포과학대 ▲동아대·동서대 ▲대구보건대·광주보건대·대전보건대 ▲영남대·금오공대 ▲울산과학대·연암공과대 등 6곳이다. ■ 교육부 "7월 본지정 평가, 8월 글로컬대학 확정" 이번에 예비지정된 총 20개(33개교) 중 순천향대·연세대(미래)·인제대·전남대·한동대 등 5곳은 2023년 본지정 평가 때 미지정된 대학으로, 2024년에 한해 예비지정 자격을 유지했다. 평가위원회의 별도 평가를 통해 기존 혁신 모델의 기본방향은 유지하되 추진계획을 개선해 발전시킨 것으로 인정됐다. 아울러 올해는 대구보건대·광주보건대·대전보건대 등 지난해 예비지정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전문대학들도 이름을 올렸다. 이들 대학은 대구·광주·대전 소재 보건 전문 대학들이 초광역 형태로 연합한 사례다. 초광역 연합 유형에서 선정된 울산과학대·연암공과대는 물론, 원광대와 통합 유형에 선정된 원광보건대도 전문 대학의 선정 사례다. 예비지정 대학들은 7월 말까지 지방자치단체, 지역 산업체 등과 함께 혁신기획서에 담긴 과제를 구체화하는 실행계획서를 수립해 제출해야 한다. 교육부는 이에 대한 본지정 평가를 거쳐 8월 말 최종 글로컬대학을 지정·발표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예비지정 대학의 혁신기획서 과제를 구체화해 실현할 수 있도록 규제개혁 제안사항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공동연수(워크숍), 컨설팅 등의 방식으로 실행계획서 수립 과정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번 글로컬대학 신청을 통해 한층 고도화된 대학의 담대한 혁신 구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글로컬대학30 프로젝트와 함께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교육발전특구 등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혁신 엔진이 더욱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라고 밝혔다. /이현진기자 lhj@metroseoul.co.kr